지금 현재, 철학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우선은 인식론부터

(-)

예전에 어느분이 철학의 발전과 범위에 대해 여쭤보신 적이 있습니다.
그때 제 대답은 "...그걸 아는게 가능할까요?"였습니다.

그러다가 우연치 않게 흥미로운 자료를 발견해서 공유합니다.
철학과 대학원을 다니신다면 다들 아실 Philpaper라고, 논문 공유 겸 커리어 홍보용 사이트가 있습니다.

거기에 각 논문들을 분류하는 항목이 쫙 나열되어있는데, 왠 걸 현재 (영미권에서) 연구되는 항목들이 거진 나와있더군요.

초심자분들에게는 철학의 대략적인 범위를 가늠할 수 있는 자료가, 어느정도 공부를 하신 분들에게는 자신이 다루는 주제에 대한 보다 넓은 시각을 주는 지도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철학사와 지역별 철학 카테고리는 따로 번역하지 않았습니다.)

(0)

(X) 형이상학과 인식론

(1) 인식론

(A) 인식의 근원들

(a) 선험적/경험독립적인 것

(i) 경험독립성과 필연성
(ii) 수학에서의 경험독립성
(iii) 개념 분석
(iv) 양상 합리주의(rationalism)
(v) 도덕 합리주의
(vi) 합리주의
(vii) 경험독립적 종합 판단
(viii) 경험독립에 대한 이론들
(ix) 기타

(b) 상상

(c) 직관

(i) 직관에 대한 인식론 이론
(ii) 언어학적 직관
(iii) 수학적 직관
(iv) 양상적 직관
(v) 도덕적 직관
(vi) 도덕 직관주의
(vii) 직관의 본질
(viii) 기타

(d) 기억

(e) [감각] 지각으로 얻은 지식

(f) 추론 (reasoning)

(i) 논증(argument)
(ii) 비판적 사고 (critical thinking)
(iii) 연역 추론
(iv) [추론상의] 오류
(v) 귀납
(vi) 추리 (inference, 사실 reasoning/inference의 정확한 차이가 무엇인지 모르겠네요. 뒤져봐도 동의어로 쓰는 학자, 나름의 구분을 하는 학자 등 다양하게 있어서..우선 이렇게 번역해놓습니다.)
(v) 최선의 설명을 향한 추리 (보통 귀추적이라고 하는, abductive가 여기에 속하네요.)
(vi) 추론의 본질
(vii) 수사학
(viii) 기타

(g) 자기 인식/자기의식 (self knowledge)

(h) -처럼 보임/생각됨 (seemings)(예컨대, "불쌍한 사람을 도와줘야 할 것 같은데?" "저건 빨간색으로 보이는데?")

(i) 증언

(j) 기타

(B) 인식론적 상태와 속성

(a) 기반 관계 (Basing relation[제 맘대로 번역어], 어떠한 믿음에 이유가 있을 때, 이 이유 - 믿음 관계를 기반 관계라 한다)

(b) 믿음 (belief)

(c) 편견 (bias)

(i) 인종 차별
(ii) 성적 [정체성, 지향성 등등에 의한] 차별
(iii) 알고리즘의 공평성
(iv) 비의식적/암묵적 편견
(v) 기타

(d) 반박(defeat, 지식/믿음이 반박되는 것)

(e) [인식론적] 권리(entitlement)(특수한 학문적 용어라 어려운데, 인식의 주체에게 증거(evidence)에 의해 지지되지 않지만, 그럼에도 믿어도 괜찮은 믿음이 있다, 라는 주제. 통상 통 속의 뇌 같은 여러 형태의 회의주의를 반박하거나, 직관 등을 옹호하는 형태와 연관됨)

(f) 인식론적 가능성 (우리는 어떤 것은 알 수 있으나, 어떤 것을 알 수 없다. 이 가능성의 본질과 범위 등은 무엇인가?)

(g) 인식론적 운 (어떤 것을 아는데, 우리가 어찌할 수 없는 운의 개입이 있는가? [질병, 상황 등등] 있다면 무엇인가?)

(h) 증거(evidence)

(i) 증거와 지식
(ii) 증거론(evidentalism)
(iii) 지각의 증거
(iv) 오래된 증거의 문제
(v) 데이터에 의한 이론의 결정불가능성
(vi) 인식론적 허용주의 (epistemic permissivism, 어떠한 증거에 대해 가장 합리적인 태도/추론이 여러 개 일 수도 있다는 입장)
(v) 증거 기반 의학
(vi) 법에서의 증거와 입증
(vii) 기타

(i) 무시

(j) 연구 (inquiry)

(k) 정당화

(i) 정합론
(ii) 독단론(dogmatism)
(iii) 인식론적 외재론/내재론
(iv) 인식론적 퇴행
(v) 증거론
(vi) 토대론
(vii) 무한주의 (infinitism, 정당화에 있어서 인식론적 퇴행의 무한함이 문제가 아니라 보는 입장)
(viii) 도덕의 정당화
(ix) 지각의 정당화
(x) 명제와 신념의 정당화
(xi) 정당화에 대한 신빙주의
(xii) 기타

(l) 지식

(m) 합리성

(i) 망상
(ii) 비합리성
(iii) 도덕적 합리성
(iv) 합리성의 요건(rational requirement)
(v) 합리성과 인지과학
(vi) 이유와 합리성
(vii) 기타

(o) 이유

(p) 주관성과 객관성

(i) 사회과학에서의 객관성과 가치
(ii) 도덕적 객관성
(iii) 수학의 객관성
(iv) 주관성과 의식
(v) 상호주관성
(vi) 인식론적 객관성
(vii) 기타

(q) 생각과 생각함

(r) 이해

(s) 보증(warrant)

(i) 보증의 전달
(ii) 기타

(t) 지혜

(u) 기타

(C) 인식론 이론들

(a) 정합론

(i) 인식론적 퇴행
(ii) 토대론과 정합론
(iii) 기타

(b) 독단론

(i) 지각에 대한 독단론
(ii) 회의주의에 대한 독단론(무어적)의 대답
(iii) 기타

(c) 인식론적 구성주의

(d) 인식론적 맥락주의

(i) 회의주의에 대한 맥락주의적 대답
(ii) 인식론적 맥락주의와 불변주의(invariantism, 문장의 참/거짓이 맥락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는 입장)
(iii) 인식론적 맥락주의와 상대주의
(iv) 인식론적 대조주의 (contrastivism)
(v) 기타

(e) 인식론적 오류가능성 주의

(f) 인식론적 내재주의/외재주의

(g) 인식론적 상대주의

(i) 인식론적 맥락주의와 상대주의
(ii) 기타

(h) 경험론

(i) 증거주의

(j) 진화론적 인식론

(k) 토대론

(i) 토대론과 정합론
(ii) 인식론적 퇴행
(iii) 감각 소여 이론(sense datum theories)
(iv) 기반 관계
(v) 소여/주어진 것(the given)

(l) 무한주의

(m) 실용주의와 도덕적 침범(moral encroachment)(참이 아닌 도덕적 가치 등이 지식과 연관되어 있다는 입장)

(n) 합리주의

(o) 신빙론

(i) 지식에 대한 신빙론
(ii) 정당화에 대한 신빙론
(iii) 쉬운 지식의 문제
(iv) 신빙론 일반의 문제
(v) 기타

(p) 덕 인식론

(q) 기타

(D) 특정한 영역에서의 인식론

(a) 미학적 지식

(b) 수학에 대한 인식론

(c) 논리학에 대한 인식론

(d) 마음에 대한 인식론

(e) 철학에 대한 [메타적] 인식론

(f) 종교에 대한 인식론

(g) 법에서의 증거와 입증

(h) 행위에 대한 지식

(i) 감정에 대한 지식

(j) 의식에 대한 지식

(k) 언어에 대한 지식

(l) 양상 인식론

(m) 도덕 인식론

(n) 정치에 관한 인식론

(o) 다른 마음의 문제

(p) 자기 지식

(q) 기타

(E) 인식론의 기타 주제들

(a) 인식론적 부정의

(b) 인식론적 운

(c) 인식론적 모순

(i) 입증의 역설 (paradox of confirmation)
(ii) 인식 가능성 (knowability)
(iii) 아는 자의 역설 (paradox of the knower, 거짓말쟁이의 역설 같은 자기지시 역설 중 하나)
(iv) 기타

(d) 인식론적 가능성

(e) 무시와 관련된 인식론들

(f) 페미니즘 인식론

(g) 진화론적 인식론

(h) 역사적 인식론

(i) 메타 인식론

(j) 자연화된 인식론

(k) 기타

(F) 인식론적 규범성

(a) 믿음에 대한 조정 (doxastic voluntarism)

(b) 인식론적 규범들

(c) 인식론적 허용주의 (Epistemic Permissivism)

(d) 인식론적 책임

(e) 인식론적 가치

(f) 인식론적 덕

(g) 이론적 덕

(h) 믿음의 윤리

(i) 주장의 규범들

(j) 기타

(G) 형식 인식론

(a) 믿음 개변

(i) 비단조 논리 (Nonmonotonic logic, 전제를 추론 과정에서 파기할 수 있는 형태의 논리)
(ii) AGM 믿음 개변 이론
(iii) 순위 기능(?)(ranking functions)
(iv) 기타

(b) 인과적 추론

(i) 인과적 모델링
(ii) 기타

(c) 과학적 방법론

(d) 인식 논리

(e) 형식 사회인식론

(i) 상식 (common konwledge)
(ii) 판단 결합 (judgement aggregation)
(iii) 의견 불일치의 인식론
(iv) 기타

(f) 확률적 추론

(g) 기타

(H) 지식

(a) 지식에 대한 정의

(i) 자연종으로서의 지식
(ii) 지식에 대한 근원주의(primitivism, 더 이상 분석 불가능하다는 입장)
(iii) 지식의 개념
(iv) 게티어 문제
(v) 기타

(b) 지식의 종류들

(i) 직접 대면을 통한 지식
(ii) 노하우 지식
(iii) wh-(what, who 등등) wltlr
(iv) 기타

(c) 지식에 대한 이론들

(i) 인식론적 맥락주의
(ii) 지식에 대한 인과 이론
(iii) 지식에 대한 파기 가능성 이론(defeasibility theory)
(iv) 인식론적 상대주의
(v) 자연종으로서의 지식
(vi) 지식에 대한 근원주의
(vii) 지식에 대한 신빙론
(viii) 기타

(d) 지식의 규칙

(i) 지식의 폐쇄성 (closure of knowledge)(연역 등의 규칙이 지식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입장)
(ii) 무오류성(infalibility)
(iii) 인식 가능성(knowability)
(iv) KK 규칙 (무엇을 아는 것을, 그 인지자가 스스로 알 것)
(v) 명증성 (luminosity, 우리는 우리가 아는 것을 언제나 안다)
(vi) 안전성과 민감성 (safety and sensitivity)
(vii) 기타

(e) 기타

(I) 회의주의

(a) 회의주의의 종류

(i) 시뮬레이션 가설
(ii) 통 속의 뇌
(iii) 데카르트류의 회의주의
(iv) 꿈과 회의주의
(v) 귀납에 대한 회의주의
(vi) 메타철학적 회의주의
(vii) 양상 회의주의
(viii) 도덕 회의주의
(ix) 감각 지각과 회의주의
(x) 피론주의 회의주의
(xi) 종교 회의주의
(xii) 기타

(b) 회의주의에 대한 반론

(i) 맥락주의적 반론
(ii) 귀추적 입장에서의 반론
(iii) 독단론과 무어주의적 반론
(iv) 내용 외재론 입장에서의 반론
(v) 오류 가능성 입장에서의 반론
(vi) 연관된 대안 입장에서의 반론
(vii) 초월적 관념론 입장에서의 반론
(viii) 실용주의 입장에서의 반론
(ix) 일상 언어 입장에서의 반론
(x) 기타

(c) 기타

(J) 사회인식론

(a) 증언

(i) 증언의 인식론
(ii) 증언의 본질
(iii) 인식론적 차이
(iv) 증언상의 부정의
(v) 기타

(b) 의견 불일치

(i) 철학에서의 의견 불일치
(ii) 깊은 불일치
(iii) 존재론적 불일치
(iv) 집단 불일치
(v) 정치적 불일치
(vi) 도덕적 불일치
(vii) 언쟁
(viii) 인식론적 허용주의
(ix) 의견 불일치의 인식론
(x) 믿음 양극화
(xi) 기타

(c) 집합적 인식론

(i) 집합적 믿음
(ii) 집합적 의도
(iii) 판단의 결합
(iv) 사회적 선책 이론
(v) 기타

(d) 인식론적 부정의

(i) 증언에서의 부정의
(ii) 해석학적 부정의
(iii) 기타

(e) 정치적 인식론

(f) 관점주의 인식론(standpoint epistemology)

(g) 신뢰

(h) 기타

(i) 논쟁
(ii) 음모론
(iii) 인식론적 상대주의
(iv) 확장된 인식론
(v) 가짜뉴스
(vi) 페미니즘 인식론
(vii) 형식 사회인식론
(viii) 지식 사회학
(ix) 과학 사회학
(x) 기타

와우. 인식론만 번역했는데도 이리 길군요.

형이상학과 인식론이라는 대분류 아래에는 아직도 형이상학, 행위 철학, 언어철학, 심리철학이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대분류가 가치 이론(윤리학과 미학, 사회철학들) 그리고 과학/논리학/수학의 철학이 남아있습니다.

18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