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파괴 란 뭘까요?

의견을 듣고싶어요.
자기파괴의 정의, 역할, 존재이유와 배경, 등등
저는 속뇌와 겉뇌의 부조화로 인해 생기는 생리적 현상 정도로 생각하고있어요.

단순히 특정한 단어에 대해 논한다고 해서 철학적인 논의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더구나 두뇌에서 생기는 생물학적 현상 같은 것을 염두에 두고 계신 것이라면, (생물학의 철학이나 심리철학 같은 매우 특정한 논의 맥락이 전제되지 않는 이상) 그런 것을 딱히 철학에서 논의해야 할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6개의 좋아요

흠... 그럼 철학은 무엇인가요?

진지한 학술적 논의 속에서 철학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해 어떤 대답들이 있느냐 하고 물으시는 거라면, 다음 책을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

3개의 좋아요

감사합니다! 그렇지만 전 newhegel님의 의견이 궁금해요!

자신의 견해를 완전히 배제하고 권위자의 의견에만 치우치는것이 철학의 근본적인 목표가 맞는지 의문이 들어요.

저는 자신의 견해를 완전히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한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기존 철학자들의 연구성과들을 전혀 참조하지 않은 채 자신의 견해만 내세우면 진지한 의미에서는 '철학적'인 의견이라고 보기 어렵지요.

혹 연구활동과 학문으로서의 철학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토의하는 일이 아니라 단순히 사색적인 대화를 나누고 즐기는 일을 기대하셨다면, 이 사이트는 그러한 기대와 맞지 않는 사이트라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11개의 좋아요

이미 정립된 철학 이론들을 숙지한 상태로, 토론자가 자신의 견해를 그 이론들과 비교하면서 밝히는 일은 권위자의 의견만 따르는 이들의 행태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어려운 철학 책을 읽으면서 권위 있는 철학자들의 이론을 배우는 일은 힘들고 시간도 많이 들죠. 그러니 저도 논리학 이외의 철학을 공부할 시간을 아직 거의 못 내고 있고요. 논리학은 곧 또 배울 듯합니다.

철학이 무엇인지 답하기 어려운 원인 중 하나는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철학인지 정하기 어렵다는 점 아닐까요? 예를 들어, 사회 선택 이론은 철학 이론으로 여길 수 있나요?

여담을 덧붙이면, 한번은 제가 어느 수학 교육학 전공자에게 계산 가능성 이론(재귀론)도 수학의 한 분야임을 '설득'해야 했습니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수학인지 따지는 일도 어려워요.

5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