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올린 '현상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유튜브 영상에 어떤 분이 댓글을 남겨주셨네요. 저는 '본질직관(Wesensanschauung)'이 우리의 일상적 대상 지각 속에서도 언제나 수동적으로 수행된다고 해석하는데, 댓글을 써주신 분은 본질직관이 능동적 의식작용에 한정되는 용어라고 말씀하시네요.
제가 후설 전공자가 아니다 보니, 제 이해가 일반적인 것인지 일반적이지 않은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른 분들은 '본질직관'을 어떻게 이해하고 계신지 궁금하네요. (1) 수동적 발생에서 이루어지는 구성작용도 '본질직관'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 아니면 (2) 능동적 발생에서 이루어지는 구성작용만 '본질직관'이라고 한정해야 하는지 말이에요.
댓글 1
ja ra : 약간 부정확한 내용이 있어서 댓글 답니다. '형상적 환원'은 우연적인 사실에 관해 판단을 중지하고 오직 선험적인(a priori) 것만 다루는 절차입니다. 가령 내 마음 속에 사과에 관한 의식이 있다고, 그 의식이 여러 특징들을 가진다고 말하는 것은 아직 의식에 관한 '사실'을 말하는 것입니다. 나에게 사과에 관한 의식이 있다는 것, 그것이 이런저런 특징을 갖는다는 것은 일어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우연적인 사실입니다.
그러나 형상적 환원에서, 우리는 '어떤 것이 사과에 관한 의식이라면 필연적으로(선험적으로) 이러저러하다.' '어떤 것이 물체에 관한 의식이라면 필연적으로 이러저러하다.'와 같은 선험적 명제들만 말합니다. 이처럼 형상적 환원은 '사실학'을 '본질학'으로 전환하는 것이고, 그래서 현상학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컨대 물리적 사건에 대한 보고에 형상적 환원을 적용하면, 물리적인 것에 대한 존재론, 형이상학이 생기게 됩니다. 영상에는 이 점이 잘 드러나지 않은 것 같았습니다.
또한 본질직관은 우리가 매순간 아무 대상이나 의식할 때마다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과'라는 보편자(플라톤적 의미의 형상), '물체는 연장되어 있다'라는, '의식은 시간적이다'라는 명제 같은 '선험적인 것'을 대상으로 만들 때만 수행하는 것입니다. 물론 우리가 사과를 '사과'로, '물체'로 의식하게 만드는 어떤 틀이나 규칙이 의식 안에 있겠습니다만, 그런 규칙이 우리가 사과를 의식할 때 바로 그 의식의 대상인 것은 아닙니다. 이 점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이 점들을 제외하면 깔끔하고 군더더기 없이 잘 소개하신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영상 많이 올려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댓글 2
오징어의 철학 노트: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만, 저는 이 영상에서 '수동적 발생(passive Genesis)' 혹은 '수동적 종합(passive Synthesis)'에서 일어나는 본질직관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흔히 형상적 환원은 '자유변경'을 통해 대상의 다양한 측면을 상상하여 그 중에서 본질형식을 의식적으로 구별해내는 작업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사실 후설은 의식적인 자유변경 없이도 우리의 일상적 지각이 언제나 본질직관을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합니다. 우리는 매 순간 사과를 지각하는 과정에서 이미 '사과'라는 대상의 본질을 어렴풋하게 파악하고 있으며, '자유변경'과 같은 의식적인 형상적 환원의 작업은 그렇게 암묵적으로 파악한 본질을 명시적으로 만드는 과정으로서 수행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점은 후설의 『데카르트적 성찰』 제38절 '능동적 발생과 수동적 발생'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여기서 후설은 "[……] 어떠한 경우에도 능동성의 모든 구축은 필연적으로 [대상을] 미리 부여하는 수동성을 가장 낮은 단계로 전제하며, 능동성의 구축을 추적해가면, 우리는 수동적 발생에 의한 구성에 직면하게 된다."라고 말합니다.
또한 이남인 교수도 『현상학과 해석학』이라는 책에서 형상적 환원을 해설하며 이 점을 강조해서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남인 교수는 개별적 대상에 대한 경험인 '개별적 직관(individuelle Anschauung)'과 본질에 대한 경험인 '본질직관(Wesensanschauung)'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우리의 의식이 개별적인 경험적 대상에 대한 개별적 직관을 수행하고 있을 경우에도 우리의 의식은 비록 막연한 양상에서나마 비주제적으로 본질을 향하면서 본질직관을 수행하고 있다."(55쪽.)라고 설명합니다.
다만, 영상의 분량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제가 형상적 환원 부분을 좀 더 명확하게 다루지 못한 문제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댓글 중에도 형상적 환원에 대해 물어보시는 분이 있어서 이 부분은 기회가 되면 좀 더 설명을 보강하여 영상을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댓글 3
ja ra: 사실 본질직관은 능동적 발생에 속합니다. 데카르트적 성찰의 해당 절 152쪽에서 다음과 같은 구절을 발견하실 수 있을 겁니다. "집합작용에서는 집합이, 셈하는 작용에서는 수가, 나누는 작용에서는 부분이, 진술하는 작용에서는 술어 또는 술어적 사태가, 추론하는 작용에서는 추론 등이 산물로 나타난다. 근원적인 보편성 의식도 보편자가 대상적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활동이다."
후설은 이런 활동들을 통틀어 "범주적 직관"(152)이라 부르는데요. 후설에게 범주적 직관은 예외 없이 능동적인 사건에 속합니다. 그것은 153쪽의 "특수한 의미에서 이성의 그와 같은 능동성과 이와 상관적으로 이성의 산물(이념적 대상)이라는 높은 단계의 형태"에 해당합니다. 수, 사태, 집합, 보편자 같은 것들이 바로 이념적 대상입니다.
해당 절의 취지는 수동적 발생이 능동적 발생에 "질료"(153)를 제공한다는 것, 지각이나 감각 등 '수동적' 의식이 "논리적 이성"(152)의 '능동적' 의식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수동적 발생 자체가 본질직관이 아니라, 본질직관의 전제 혹은 근거, "낮은 단계'(153)를 마련해 주는 거예요.
이남인 교수님의 해석은 '본질직관'이라는 말의 의미를 과도하게 넓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상학과 해석학 56쪽에서 인용된(41번 주석) 구절도 경험에 이미 본질직관이 있다는 뜻이 아니에요. 인용구는 경험과 판단 477쪽 "경험적으로 주어진 것에서 맨 처음 부각된 보편자"인데, 이 말은 보편자에 관한 의식에서 처음으로 보편자가 경험 사물로부터 분리된다는 뜻일 뿐입니다.
감각적 경험이 낮은 단계, 본질직관(기타 모든 범주적 직관)이 높은 단계라는 점은 후설의 지속적인 기본 전제입니다. "보편자는 산출하는 자발성 속에서 구성"(경험과 판단 454)됩니다. 논리연구 6연구 2부('감성과 지성'), 경험과 판단 2부 2장과 3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듯합니다.
덧붙이자면, 저는 『이념들』 제1권 제22절의 다음 구절도 후설이 수동적 발생에서 수행되는 구성작용을 '본질직관'으로 보았다는 근거가 되지 않을까 하네요. 후설은 우리가 '이념들'과 '본질들'을 언제나 보고 있다고 주장하니까요.
"참으로 모든 사람은 '이념들'과 '본질들'을 보며, 이른바 언제나 보고, 사유 작용 속에서 이것들로 조작하고, 본질판단들──다만 그들이 자신들의 인식론적 '관점'에서 이 본질판단들을 [잘못] 해석하지만──도 수행한다. 명증적으로 주어진 것들은 끈기 있고, 자신들에 관한 이론들이 어떻게 논의하든 내버려두지만, 그것들이 존재하는 그대로 남아 있다. 주어진 것들로 향하는 것은 이론의 사항[임무]이고, 주어진 것들의 근본종류를 구별하고 이것들의 고유한 본질에 관해 기술하는 것은 인식론의 사항이다."(에드문트 후설,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제1권, 이종훈 옮김, 한길사, 2009, 103쪽, 인용자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