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작년 이맘때 비슷한 주제로 좋은 논의가 오갔던 것을 감사히 읽었습니다. (다음의 글입니다: 철학과 문학이론) 이 글을 써도 될지 며칠 고민하다가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타자를 두드리네요. 철학에 대해 여쭙고 싶은데 저는 국문학을 전공한 사람이어서 선생님들보다 말에 두서가 없고 아는 것이 많지 않음을 널리 양해 부탁드립니다.
저는 국문학과 대학원을 수료했습니다. 논문을 제출할 수 없었네요. 그때에는 저의 부족함이 논문을 쓰는 데 두려움을 키웠다고 생각했지만, 10년이 넘은 지금 돌이켜 생각해 보면 또 다른 주저함이 있었던 듯합니다. 이런 뒤늦은 생각은 최근 박사과정 중인 친구와 저의 논문 주제를 이야기하면서 나온 말 덕분에 가능했습니다. 친구는 제가 생각하는 '전쟁이나 정권 찬탈 등의 거시 역사가 시대를 흘러 잠잠해지면서 한국문학은 개인의 사생활에 집중하기 시작했다'는 (지금은 관둔) 석사논문의 가설을 듣고 그 논문을 써 보면 어떻겠냐며 푸코 초기 저작을 찾아 읽기를 추천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오랜만에 아득한 공포를 느꼈습니다.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푸코의 <말과 사물>을 이해하기 위해서 <지식의 고고학> 외에 초심자에게 선독을 권하는 자료가 있다면 추천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 푸코의 저작이 문학을 논하는 데 주석으로 쓰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바보 같은 질문으로 들리시겠지만 순수한 궁금증입니다. 작년에 이곳에서 논의하셨던 내용을 읽어 보면 철학과 문학이론(혹은 문예학?)은 분명히 서로 구분되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철학이론보다는 문학이론을 찾아 인용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 아닌가 해서요. 혹시나 저에게 도움이 될 것 같은 문학이론을 알고 계신다면 알려 주시면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예전에 막연히 느꼈던 공포 중에, 철학을 (아무것도 모르면서) 문학의 영역으로 끌어오는 것이 무섭지 않은가 하는 게 있었습니다. 당시 지도교수께서는 어려운 서양 철학을 들먹이지 않아도 좋은 논문을 쓸 수 있다고 하셨지만 그때의 논문 트렌드라는 것은 결코 그렇지 않았습니다. 당시에 저는 학업과 병행한 스터디로 지각의 현상학, 천 개의 고원 등을 읽었습니다(그냥 봤습니다). 요즘도 그럴지 모르겠네요. 어쨌든 저는 그때 튕겨져 나왔습니다. 배운 것 중 아무것도 인용할 수 없었고, 이상하게도 인용할 수 없게 되니 제 이야기를 펼칠 힘도 없더군요. 저도 결국은 뭔가를 들먹여야 논문을 쓸 수 있는 사람이었던가 봅니다.
고작 석사논문입니다만 논문을 다시 도전할지, 문학과 철학을 평생에 취미로만 남길지, 친구의 말을 들은 이후로 생각이 들끓습니다. 도움을 주신다면 겸허히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