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논리학을 처음 공부하는 사람은 괴델의 완전성 정리와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가 공존한다는 사실에 혼란을 느끼곤 합니다. 여기에 페아노-데데킨트 공리계에 대한 잘못된 이해까지 포함되면 더욱 혼란스럽습니다. 흔히 혼란은 위 세 정리에 대한 다음의 (오해의 여지가 큰) 요약에서 비롯됩니다.
괴델의 완전성 정리. 1차 논리는 완전하다.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자연수를 포함하는 모든 수학 체계는 불완전하다.
페아노-데데킨트. 1차 논리적 페아노 공리계는 자연수를 정의한다.
이렇게 위의 세 정리를 요약하면 그저 망했습니다. 더 정확한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괴델의 완전성 정리. 1차 논리는 의미론적으로 완전하다.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자연수를 포함하는 모든 1차 논리 이론은 형태론적으로 불완전하다.
페아노-데데킨트. 1차 논리적 페아노 공리계는 자연수와 비슷한 일군의 집합들을 정의한다.
먼저 세 번째 정리부터 보겠습니다. 1차 논리에는 뢰벤하임-스콜렘 정리가 적용됩니다. 뢰벤하임-스콜렘 정리는 저의 이전 글인 자연수라는 신기루: 수리논리학과 언어철학에 관한 짧은 이야기 에서도 잠깐 다뤘는데,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1차 논리 이론만으로 무한한 크기의 모델을 유일하게 특정할 수 없다.
즉, 1차 논리만으로는 자연수의 필요충분조건을 기술할 수 없습니다(자연수는 무한하므로). 때문에 우리는 완벽한 자연수의 정의를 찾는 대신 적당한 자연수의 정의를 찾는 것으로 만족해야 하는데, 페아노 공리계가 이 역할을 꽤 잘 만족합니다. 그러나 자연수 집합이 아니면서 페아노-데데킨트 공리계를 만족하는 어떤 괴상한 집합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염두에 둬야 하겠습니다.
이제 괴델의 완전성 정리 및 불완전성 정리의 수정본을 살펴 봅시다. 형태론적 완전성과 의미론적 완전성이라는 표현이 등장했는데요, 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T ⊢ φ는 φ가 T에서 증명 가능하다는 의미이며, T ⊨ φ는 T의 모든 모델에서 φ가 참이라는 의미입니다.
의미론적 완전성. 임의의 문장 φ에 대해 T ⊨ φ라면 T ⊢ φ일 때, T는 의미론적으로 완전하다.
형태론적 완전성. 임의의 문장 φ에 대해 T ⊢ φ이거나 T ⊢ ¬φ일 때, T는 형태론적으로 완전하다.
둘의 미묘한 차이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례로 T ⊢ ¬φ와 T ⊬ φ는 동치가 아님이라는 사실에 주목합시다. T ⊢ ¬φ는 ¬φ의 증명이 존재한다는 긍정적 의미인 한편, T ⊬ φ는 φ의 증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부정적 의미입니다.
또한 의미론적 완전성이 형태론적 완전성을 함의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합니다. 수리논리학을 처음 공부하면 의미론적 완전성이 형태론적 완전성을 함의한다는 다음의 추론에 빠지기 쉽습니다.
- T가 의미론적으로 완전하다고 하자.
- T ⊨ φ 또는 T ⊭ φ이다.
- T ⊨ φ라면 T ⊢ φ이다. (의미론적 완전성의 정의)
- T ⊭ φ라면 T ⊨ ¬φ이고, 따라서 T ⊢ ¬φ이다.
- 따라서 T는 형태론적으로 완전하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추론입니다. 잘못된 이유는 2.2, "T ⊭ φ라면 T ⊨ ¬φ이다"에 있습니다. 모델 M에 대해 M ⊭ φ라면 M ⊨ ¬φ인 것은 맞지만, 이론 T에 대해 T ⊭ φ 라면 T ⊨ ¬φ인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다음의 이론, 문장, 그리고 모델을 생각해 봅시다.
- T = { ∀x P(x, x) }
- φ = ∃y ¬P(a, y)
- M = { P: { (a, a), (b, b) } }
- N = { P : { (a, a) } }
이 때,
- M ⊨ T, N ⊨ T
- M ⊨ φ, M ⊭ ¬φ (둘은 동치)
- N ⊨ ¬φ, N ⊭ φ (둘은 동치)
입니다. 하지만 N ⊭ φ이므로 T ⊭ φ인 동시에 M ⊭ ¬φ이므로 T ⊭ ¬φ입니다. 즉,
- T ⊭ φ, T ⊭ ¬φ
입니다. 즉, T는 1차 논리의 이론이므로 의미론적으로 완전하지만 T ⊭ φ인 동시에 T ⊭ ¬φ일 수도 있기 때문에 언제나 T ⊢ φ이거나 T ⊢ ¬φ인 것은 아닙니다.
결론을 내리자면 이렇습니다. 어떤 자연수 문장은 참이지만 증명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1차 논리 페아노 공리계 PA와 자연수 모델 N에 대하여 N ⊨ PA이고 N ⊨ φ 이지만 PA ⊬ φ인 경우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같은 경우가 발생하는 이유는, 위의 반례의 경우에서도 드러나듯이 이론의 모델이 여럿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PA의 모델이 유일하다면 참과 증명 가능성의 괴리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뢰벤하임-스콜렘 정리에 의해 1차 논리 PA는 자연수만을 유일한 모델로 가질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괴델의 완전성 정리, 불완전성 정리, 그리고 페아노-데데킨트 공리는 모순 없이 공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