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를 발휘하는 경험의 구조 및 발생에 대한 현상학적인 관심을 갖고 사적인 탐구를 진행 중인데, 막히는 부분이 생겨 고견을 구하고자 용기를 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i)과 (ii)가 서로 모순되는 것 같아 고민입니다.
(i) 저는 그 자체로 용감한 행위의 목록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동일한 행위가 주체의 개인사 및 그가 속한 상황에 따라 용감한 것일 수도, 비겁한 것일 수도, 용기와 무관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심각한 불안장애 환자에게 외출은 용감한 행위이지만, 그러한 고통을 모르는 사람에게 외출은 용기와 무관한 행위가 됩니다. 따라서 무엇이 실존적인 위기이고 무엇이 그에 대적하는 용감한 행위인지는 주체가 처해있는 지평에 상관적으로 규정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무엇이 실존적인 위기이고 무엇이 그에 대적하는 용감한 행위인지는 해당 주체의 입장에서—말하자면 1인칭의 관점에서—밝혀져야 할 것 같습니다. (제가 용기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이 온당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ii) 그런 동시에, ⟪라케스⟫에서 영감을 받은 직관인데, 어떤 행위는 그것이 훌륭한 또는 고귀한 목적을 지향하거나 그 자신이 고귀해야만 용감한 행위로 규정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달리 말해, 훌륭하거나 고귀하지 않은 목적을 지향하거나 그 자신이 고귀하지 않은 행위는 아무리 용기의 지향성을 규정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이런저런 조건들(e.g. 세계 편에서의 어떤 위기상황, 주체 편에서의 두려움과 그 두려움에 대한 극복, 자유로운 행위자성에 입각한 선택, 인내 등등)을 만족한다 하더라도 용감하다고 말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자신보다 훨씬 힘이 센 이웃이 백화점에 폭탄을 설치할 것이라는 망상에 사로잡힌 한 사람이 세상을 보호하겠다는 목적을 위해 ‘용기’를 내 이웃을 선제공격하는 상황은 용감한 행위가 성립한 상황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 경우, 무엇이 실존적인 위기이고 무엇이 그에 대적하는 용감한 행위인지는 해당 주체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선 안 될 것 같습니다. 1인칭 관점에서의 분석은 주체의 인식적, 윤리적 오류를 도외시할 위험이 있어 보입니다.
당장 떠오르는 해결책으로는 (i)의 직관을 유지하되, (ii)를 일종의 규제적인 조건으로 내거는 것입니다. 무엇이 용감한 행위인가를 판단할 적에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행위자에게 중대한 인식적, 윤리적 오류가 없었어야 한다는 조건을 내세우는 것입니다…… 그런데 저는 이 해결책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애초에 이 문제가 용기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라는 저의 목적과 과연 유관한지부터 의문스럽습니다. 용기의 체험이 아니라 어떤 행위에 용기라는 덕성을 할당할 것이냐는 판단의 문제인 것 같아서요. 그러나 또 마음 한 켠으로는 용기에 대한 경험이 대체 무엇에 대한 경험인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작업에서 그 둘이 구분될 수 있는지 모르겠고요.
저는 정확히 어떤 문제에 처해있는 것이고,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까요……? 흑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