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사합니다.
(2) 아무래도 저야 논문을 쓰지 않아도 되고, 흘러가는데로 보다보니 다양한 주제로 낙서를 하는 듯합니다. 원래 관심사인 메타윤리학이 (a) 규범적 발화라는 언어 철학의 영역에도 (b) 규범적 속성이라는 형이상학의 영역에도 (c) 그로 인해 촉발되는 행위라는 행위 철학/심리 철학의 영역에도 있다보니 두루두루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결국 좋은 메타윤리학적 이론이란 이 세 영역을 모두 잘 설명할 수 있어야 할테니깐요.
(1) 감사합니다.
(2) 아무래도 저야 논문을 쓰지 않아도 되고, 흘러가는데로 보다보니 다양한 주제로 낙서를 하는 듯합니다. 원래 관심사인 메타윤리학이 (a) 규범적 발화라는 언어 철학의 영역에도 (b) 규범적 속성이라는 형이상학의 영역에도 (c) 그로 인해 촉발되는 행위라는 행위 철학/심리 철학의 영역에도 있다보니 두루두루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결국 좋은 메타윤리학적 이론이란 이 세 영역을 모두 잘 설명할 수 있어야 할테니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