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러 가지를 생각하다가, 도덕적 사실이라는게 참 애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2) 도덕적 사실/참을 주장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인간은 모든 사실에 동등하게 동의하면서도, 무엇이 더 "옳은지" 혹은 "좋은지" 동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같은 빨강색을 보면서도, A는 좋다고 B는 좋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A-B가 "좋다"/"좋지 않다." 말한 것이 도덕적 사실에 기반해 나왔다고 도덕적 사실주의자들은 주장하는 셈이다.
(무어의 열린 질문 논증의 결도 비슷하다.)
(3) 무어의 열린 질문 논증이 사실 도덕적 자연주의자에게 문제가 되지, 도덕 사실주의-비자연주의나 도덕 픽션주의, 도덕 비인지주의자들한테는 다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덕 사실주의는 저 좋음이 곧 도덕적 사실에서 나온 것이고, 비인지주의자들에게는 도덕적 사실과는 다른 감정/계획 등에서 나온 것이니깐 말이다.
(4) 근데 간단하게 도덕적 사실이 있다고 인정해도, 이게 실제 도덕적 판단에 얼마나 유의미할지 난 잘 모르겠다. (뭐 메타윤리학자들은 관심이 없을 수도 있지만 말이다.)
여기서 우리는 모두 제각기 다른 것들이 "옳다" 주장할 수 있다.
좀 더 단순한 문제로 돌아가보자. 줄기세포 문제로 가보자.
줄기세포를 만드는 것은 옳은가?
(i) 줄기세포로 여러 불치병 환자를 살릴 수 있으므로 옳다.
(ii) 줄기세포로 여러 예상하지 못한 유전학적 재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옳지 않다.
도덕적 사실주의를 가정하더라도, 만약 도덕적 사실의 범위가 "상황 전체"가 아니라면 우리는 사실상 도덕적 딜레마를 해소하는데 실패한다. (i)(ii)의 주장은 상호대립적이지 않기에 둘 다 참이여도 상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실상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능력은 (a) 도덕적 사실(혹은 그 사실의 기반인 가치)들을 비교해서 무게 달 수 있는 능력-원칙-사실에 기반하는 셈이다. 이런 사실이 있을 수 있는가?
(4-1) 나아가 도덕적 상황에서, 도덕적 참이 걸리는 부분들은 어디까지인가?
줄기세포의 예시는 사실 행위의 결과에만 도덕적 속성이 부여되었다. (다만 두 결과가 모두 일어날 수 있는 독립적인 행위이기에, 각 결과를 만드는 행위 대한 판단 역시 독립적이라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다.)
행위자의 동기 역시 누군가에게는 도덕적 참이 걸리는 영역이라 여길 것이다. 또한 도덕적 대상의 심적 상대 역시 도덕적 참이 걸릴 수 있는 영역처럼 보인다. 예컨대, 내가 거지를 도와주었는데 그 거지가 굴욕감을 느낀다면 이건 도덕적으로 옳지 않아 보인다. (이 문제는 양자택일의 문제와 구분되어야한다. 혹자는 그래도 도와줘야한다 주장할 수 있다. 이는 거지의 감정과 거지의 실질적 이익을 저울질한 판단이다. 그 사람조차 거지의 감정/실질적 이익 모두를 달성할 수 있는 선택지가 있다면, 그게 옳다 여길 것 같다.)
(4-2) 여기까지 오면 뭐 답이 없다. 각 상황의 구성요소와 결과값을 모두 알고, 그에 대한 도덕적 참값을 계산한 다음에, 행동하는 것. 이게 사실상 가장 이상적인 도덕적 "참"이다.
이게 가능이나 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