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요근래 생각하고 있던 몇 가지 윤리학적 개념들에 대한 정리? 낙서입니다. 사실 정확히 어느 분야에 해당할지도 모르겠고, 관련된 정확한 용어들도 모르겠고, 선행 문헌도 모르겠지만 여하튼, 그렇습니다.
(1) 기본적으로 도덕이란 (a) 특정한 상황에서 (b)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c) 옳은 것인지 묻는 질문/학문이다. 이 정의에 대해서는 대다수 사람들이 별 문제 없이 수용할 것이라 생각한다. 쟁점은 각 부분들이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 일 것이다.
(2) 규범윤리학/메타윤리학에 있어서, 가장 치열하게 논쟁을 벌였던 부분은 (c) '옳음'이란 도대체 무엇인지 일 것이다. 하지만 내 질문은 이를 살짝 빗겨 나가있다. 내가 볼 때, 우리가 아무리 (c)에 대한 합의에 이른다 해도, 우리는 윤리적 문제를 결코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a)와 (b)가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기 때문이다.
(3) '옳다'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행동에 대해 적용되는 평가다. 문제는 이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내가 X를 죽였다고 해보자. 이 행동은 일반적으로 도덕적이지 않다. 이제 이 상황의 범위를 넓혀보자. X가 미래의 연쇄살인범이 되는 것을 내가 알았기 때문에 죽였다고 하자. 그럼 이 상황은 (트롤리 문제 같은) 윤리적 딜레마 상황으로 바뀐다. 한 번 더 가정해보자. 이 미래의 연쇄살인범이 죽인 피해자 중에, 대량학살을 저지르는 미래의 독재자가 있다고 해보자. 그렇다면 내가 연쇄살인범을 죽인 행위는 곧 독재자를 살려놓는 행위가 된 셈이다. 이는 한층 더 복잡한 윤리적 딜레마로 사람을 몰아넣는다.
(3-1) 이런 극단적인 예시를 배제하더라도,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이러한 범위의 모호성은 지속된다. 계속 지각하는 친구가 있다고 해보자. 이 친구가 이번에도 지각할 경우, 수업에서 지나친 결석으로 F를 맞는 상황이라 해보자. 난 이 친구를 도와서 대리 출석을 해줘야 하는가? 이 행동의 '옳음'을 평가할 관점은 내 생각에는 적어도 3가지 측면은 존재할 수 있다.
(i) 친구가 F를 받지 않게 도와줬다는 점에서, 그것은 옳다.
(ii) 친구가 요청하지 않았던 일을 했다는 점에서, 그것은 옳지 않다.
(iii) 뭐가 되었든, 거짓말을 했으므로 그것은 옳지 않다.
(3-2) 결국 내가 말하려는 핵심은 이렇다.
(i) 도덕이란 (a) 특정한 상황에서 (b)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c) 옳은 것인지 묻는 질문이다.
(ii) (옳음이 무엇인지 자체는 차치하더라도) 이 옳음은 맥락(context sensitive)이 있어야 하는데, 이 맥락은 상황의 범위라던가 상황의 측면에 있어서 정확히 경계 지을 수 없는 모호성(vagueness)을 가지고 있다.
(iii) 그러므로 도덕적 판단이란 언제나 (부분적으로) 실패할 수 밖에 없다.
(4) 전지/전능한 신이 아닌 이상, 우리의 도덕적 판단은 언제나 실패한다. 모든 맥락의 '옳음'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 특정한 상황이 윤리적인지 조차 문제가 될 수 있다. 윤리적 고려의 범위에 논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줄기 세포, 동물, 식물, 생태계 혹은 미래 세대. 이들은 윤리적 고려의 범위 안에 있는가? 있다면, 우리가 윤리적으로 문제 삼지 않는 여러 일상적 활동들조차, 사실 윤리적 상황일 수 있는 셈이다.
(5) 언제나 실패하는 도덕적 판단을 해소할 방법이 무엇인가? (이 질문이 어떠한 사실의 기술을 목표로 하는지, 아니면 규범적으로 마땅히 해야 된다는 주장인지 나조차 모호하다.)
나는 일종의 변명이라 생각한다. "살인은 안 된다."라는 이상적인 도덕적 명제는 "하지만 지금은 상대방이 날 죽이려고 하는 상황인지 살인으로 이 상황을 벗어나야 한다." 아니면 "상대방은 최악의 학살자이니 살인으로 그 참사를 막아야 한다." 등등의 변명을 통해, 예외 상횡이 설정된다.
[적어보니 위의 언급했던 아이디어와는 결이 다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