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고대 철학(제자백가 혹은 선진)에 대한 한 가지 아쉬움 ; <여씨춘추>

(0) 오늘날 동북아철학이라고 하면, 상대적으로 "낡았다."는 평가를 받는 기분입니다. 특히 이는 동북아 철학의 핵심을 이루는 형이상학/존재론/인식론의 술어들이 오늘날 철학에 응용되기에는 지나치게 '나이브'해 보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1) 사실 동북아 고대 철학에서는 리/기라는 단순한 구분 외에도 때로는 아리스토텔레스에 비견될 만한 (!) 형이상학적 사유의 단초들이 발견되곤 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묵자><장자><순자><공손룡자> 등에서는 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들 사상은 역사의 질곡 속에서 어느 순간 학자들에게 연구되지 않고 사라졌습니다.

(2) 제가 아래에 소개할 내용은 <여씨춘추>라는 책의 한 부분입니다. 아마 잘 모르실텐데, 보통 제자백가가 모두 나오고, 유학이 국가 학문이 되기 전 짧은 시기 동안 제자백가 내용들을 모두 종합하려하는, 속칭 "잡가"라고 부르는 책들이 나옵니다. 이 흐름을 대표하는 책이 <여씨춘추>와 <회남자>입니다. 이 두 책이 중요한 이유는, 이 책이 많은 경우/혹은 부분적으로 지금은 실전된 여러 학파들의 주장을 원문으로 혹은 요약으로 수록하고 있다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양주 학파의 견해를 대체로 <여씨춘추>와 <회남자>에 나온 견해를 재구성해서 다룹니다.)

(2-1) 이 책이 흥미로운 이유는,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 중에 '사물을 분류하는 방법'에 대한 초보적인 고찰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인과론이나 존재론, 자연학, 형이상학의 측면에서 굉장히 흥미로운 내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아가, 기본적으로 요약본이라는 <여씨춘추>라는 저서의 특성상, 저는 추측하기로는 원래 여기 수록된 내용보다 심화된 내용이 있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이제 우리는 그 내용을 알 방법이 없습니다.

여러 서양 철학 혹은 분석 철학을 하시는 분들도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이니 읽고 즐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김근역, 글항아리본 <여씨춘추>에서 가져온 내용입니다.)

별류 ; (사물의) 유형에 대한 구분

"옷칠도 액체이고 물도 액체인데 이 두 가지 액체를 섞으면 응고되고, 축축하게 만들어주면 건조된다. 금도 유연하고 주석도 유연한데 이 두 가지 유연한 것을 융합하면 단단해지고 불을 가하면 액체가 된다. 어떤 것은 축축하게 만들어주면 건조되고, 어떤 것은 불을 가하면 액체가 된다. [즉, "불을 가함"과 "건조됨"이 항상 동시에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사물의 유형은 본디부터 필연적인 것이 아닌데, 어떻게 유추할 수 있겠는가?

작은 네모는 큰 네모와 같은 유형이고, 작은 말은 큰 말과 같은 유형이지만, 작은 지혜는 큰 지혜와 같은 같은 유형이 아니다.

(중략)

고양퇴가 바야흐로 집을 지으려고 하자 장인이 대답하여 말하기를 "아직 안 됩니다. 나무가 아직 생것이어서 그 위에 진흙을 바르면 장차 틀림없이 휘어질 것입니다. 생나무로써 집을 지으면 지금은 아무리 좋더라도 나중에는 반드시 무너질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고양퇴가 말하기를 "그대의 말대로라면 집은 무너지지 않을 것이다. 나무는 마르면 마를수록 더 야물어지고 진흙은 마르면 마를수록 더 가벼워질 것이므로, 갈수록 야물어지는 것으로 갈수록 가벼워지는 것을 맡아 지도록하면 무너지지 않는다."라고 했다. 장인이 아무 말로도 대답하지 못하고 명령을 받아서 집 짓는 일을 했다. 집이 처음 지어졌을 떄는 훌륭했는데 나중에는 정말로 무너졌다." (후략)

9개의 좋아요

혹시 푸코가 『말과 사물』 서문에서 "어떤 중국의 백과사전"을 인용한 다음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솔직히, 너무 극단적인 범주화라서, (a) 이런 백과사전이 실제로 있는지도 모르겠고, (b) 설령 있다 한들 이걸로 서양과는 다른 동양적 분류법에 대해 일반화할 수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인용하신 『여씨춘추』와 비교해 봐도, 아래의 분류법은 너무 이상해서요.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어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과 불확실성을 오래도록 불러일으키고 급기야는 사유, 우리의 사유, 즉 우리의 시대와 우리의 지리가 각인되어 있는 사유의 친숙성을 깡그리 뒤흔들어 놓는 웃음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에 인용된 "어떤 중국 백과사전"에는 "동물이 a) 황제에게 속하는 것, b) 향기로운 것, c) 길들여진 것, d) 식용 젖먹이 돼지, e) 인어, f) 신화에 나오는 것, g) 풀려나 싸대는 개, h) 지금 분류에 포함된 것, i) 미친 듯이 나부대는 것, j) 수없이 많은 것, k) 아주 가느다란 낙타털 붓으로 그린 것, l) 기타, m) 방금 항아리를 깨뜨린 것, n) 멀리 파리처럼 보이는 것"으로 분류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경이로운 분류에서 누구에게나 난데없이 다가오는 것, 교훈적인 우화의 형식 덕분으로 우리에게 또 다른 사유의 이국적 매력처럼 보이는 것은 우리의 사유가 갖는 한계, 즉 그것을 사유할 수 없다는 적나라한 사실이다. (미셸 푸코, 『말과 사물』, 이규현 옮김, 민음사, 2012, 7.)

(1) 이 백과사전이 보르헤스 창작이에요 ㅎㅎ...푸코가 착각했거나 역자가 착각해서 애매하게 번역된거같네요.
보르헤스는 없는 책을 있는 것처럼 쓰거나 있어도 내용을 자기 마음대로 날조하기 때문에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6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