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겐슈타인이 수학철학에서 말하려는 핵심이 무엇인가?: 비트겐슈타인-튜링 논쟁과 비트겐슈타인-괴델 논쟁을 중심으로

말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불편하실까봐 혹시 질문을 드려도 될런지 모르겠습니다만 아무튼 남겨 보겠습니다.

저는 이 논쟁에서 철학 일반이 무엇인지에 관해서 서로 경합하는 용인 가능한 수준의 견해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당연히, 철학이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Mandala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근데 전 단순히 유용성, 그니까 철학이 쓸모가 있냐 없냐를 논하는 것도 아니고, 그 다양한 의견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도 아닙니다. 단지, 철학을 저렇게 생각하는 것만큼은 도저히 철학 내에서는 용인이 될 수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Mandala님은

이것이 흄에 대한, 철학에 대한 옳게 된 정식화라고 생각하시나요? 이는 굳이 흄에 관한 전문적 연구가 필요한 그런 질문이 아닌 것 같습니다. 애초에 이 정식화도 흄의 텍스트에 대한 전문적 연구를 통해서 이끌어낸 게 아니죠. 그냥 흄에 대한 "이미지"에 관한 논의여도 크게 상관없습니다.

저는 이게 흄을, 철학을 진지하게 이해해보려는 사람에게서는 도저히 나올 수가 없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a) (b)에서부터 (a') (b')가 도출 되나요?

진짜 관대하게 도출된다고 인정해도, 그게 '일상적'(제가 보기엔 '과학적', '관습적' 등이 더 적절합니다), '형이상학적'이라는 표현만 탈락되어서 모순처럼 보이는 것뿐이지 실제로는 모순이 아니지 않나요?

진짜 관대하게 정말로 모순이라고 인정을 해도, 이걸 우리가 철학적 문제에 도달했다는 것으로 이해해야지, 모순이 발생했으니까=철학적 문제가 발생했으니까 여기엔 반드시 오류가 있으며 그 오류는 바로 그 모순을 받아들였다는 것이다로 이해하는 게 말이 되나요?

철학자는 강박증 같은 것 때문에 무언가를 요구하는 게 아니고, 회의적 논변을 통해서 철학적 탐구가 요청됨을 "합리적으로" 제시하는 것입니다. 근데 위와 같은 이해는 철학자의 과정을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그 합리적 과정을 완전히 배제해 버립니다. 철학자의 논변 과정을 공격하는 것은 굉장히 topic-sensitive하고 텍스트의 내적 논리에 천착하는 연구 또한 필요로 합니다. 근데 저렇게 이해하면 이런 연구 작업은 전혀 필요가 없습니다. 철학자가 무슨 주제를 가지고 작업을 시도하는지만 알아도 곧바로 모순으로 정식화할 수 있습니다. 철학자는 강박증.과대망상증 환자고, 과대망상의 "증상"인 모순을 폭로당함으로써 치료받아야 합니다.

저의 "철학적" 직관으로는 이런 사고방식이 철학 내에서 용인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3자에게 여쭤볼 필요가 있다고 느끼는 겁니다. 제가 느끼기에 더 이상 논쟁의 핵심은 비트겐슈타인 해석에 있지가 않아 보입니다.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