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푸코의 자기 되기 전략 - 권력과 저항 中

저자에 따르면 후기 푸코는 자아를 '자기로의 생성변화(자기 되기)'를 통해 구조주의적 권력 이론의 아포리아 —권력에 대한 저항의 사유 불가능성— 을 극복한다. 이는 타자로의 생성변화(타자 되기)를 통해 그 극복을 꿈꿨던 들뢰즈-가타리와 대조된다. 이 '자기 되기' 전략은 '실존의 미학화'라고도 불린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해지는 미적 실존의 주체 개념은 이전의 주체 개념과 무엇이 다른지, 그리고 그런 주체화는 어떻게 가능하고, 그로부터 왜 권력에 대한 저항이 가능한지 알아보아야 한다.

푸코가 『DP』에서 강조한 점은 "규율 권력은 신체에 권력을 투여함으로써 실현된다"는 것이다. 즉, 규율권력은 개개인의 신체를 감시, 관리, 훈육하고, 자신의 신체를 자신이 통제하는 반성적이고 규제적인 자아 —경험적-초월론적 이중체— 를 만들어냄으로써 실현된다. 그리고 <초기 푸코>에서 살펴봤듯이 이러한 전략을 통해서는 저항의 가능성을 발견하기 어렵기에, 그는 일종의 전회를 한다. 따라서 『DP』를 비롯한 초기작에서 '타자'로서 규율권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규정된 복종화된 주체와 다른 주체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그런 주체는 무엇이고 어떻게 구축하는가?

푸코는 그러한 주체를 '윤리적 주체'라고, 주체 구축을 '윤리적 주체화'라고 일컫는다. 푸코는 도덕과 윤리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전자는 "공동체에 대한 개인의 순응이나 순응의 강제"를 함축하며 '도덕성', '법규'이 해당한다. 이러한 도덕은 '일반성-특수성'이라는 축에 속해있다. 반면 후자는 '일반성-특수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특이성에 관련된다. 도덕의 측면에서 개체는 특수성인데, 그것은 규율권력의 메커니즘에 의해 규범을 내면화한 개체일 뿐이다. 반면 특이성으로서의 주체는 "일반성으로 환원 불가능한, 다른 나로는 대체 불가능한 '나'"를 의미한다. 즉, 특이성으로서의 주체에서 핵심은 "자기에 대한 자기의 관계"이고, 그러한 관계 구축을 통해 만들어진 환원불가능한 나로부터 권력에 대한 저항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푸코는 윤리적 주체 구축을 위해서는 '반성적 시선'과 '타자의 개입'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때 반성적 시선이란 "주체를 자기에게 복종시키는 규제적 시선, 자기 감시와 자기징벌의 체계를 확립하고 규율을 내면화하는 규제적 반성"과는 구별된다. 오히려 그것은 "주체의 존재 양태를 변용시키는 시선"으로, "자기의 행위를 '점검'하고, 존재를 이성적·단독적 주체로 변모시키는 것", "실패를 회상하고 성찰하는 확인과정을 통해 현명한 처신을 확보해주는 이성적 각오를 강화"해주는 시선이다. 즉, 이러한 반성적 시선으로 인해 주체는 복종화된 양태를 변용하게 되고, 이런 주체화에 의해 권력에 의한 탈복종화가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러한 자기를 통치하는 기술(자기 통치의 기술)은 이러한 기술을 이미 알고 있는 타자(스승)을 통해서 가능하다. 즉, "자기에 대한 자기의 관계 구축은 '타자'에 대한 자기의 관계"로 인해 가능하다. 곧, 윤리적 주체로 자신을 구성한 자와의 관계를 통해 주체의 존재를 변양시키는 효과와 기능을 지닌 앎이 발생하고, 그를 통해 자기의 특이성을 행사할 수 있다. 바꿔말해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에의 배려를 통해 주체화, 나아가 권력 관계 역전의 가능성이 열린다.

저자는 이러한 푸코의 작업과 칸트의 작업을 또 한번 비교한다. 칸트의 경우,"가능적 경험의 한계를 초월하려는 이성의 사용을 순수이성의 월권행위라며 금지"했다는 의미에서 한계의 위반을 금지하고 인식의 내적 조건을 규정한다. 반면 니체에 의존하는 푸코의 경우, "우리에게 보편적,필연적,의무적으로 주어진 것 속에서 우리를 역사적(외적)으로 규정하는 우발적인 것, 자의적인 것"은 무엇인지를 따져봄으로써, 한계를 위반하려 한다. 달리 말해, 푸코적 주체는 역사적 우발성에 의해 규정된 것이라는 점에서 초월론적인 것의 규율성에 구성됐지만, 또 초월론적 시선인 반성성에 의해 초월론적 심급의 규율성을 비판할 수 있는 자이기도 하다. 따라서 푸코적 주체는 "초월론적 체계를 내재성(특이성의 장)과 내면화된 권력이 공존하는 혼종"이라고 재정의 가능하며, "권력관계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질 수 없는 존재"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렇게 변경된 주체의 역사적-반성적 비판을 통해 주체는 자기로의 생성변화를 끊임 없이 실현할 수 있고, 현재의 권력관계를 끊임없이 비판할 수 있다.


<초기 푸코>부분의 서술은 배운 것도 많고 깔끔했다고 생각하지만, <후기 푸코>부분은 별로다. 읽는 내내 느낀 불만족 때문에 사실 원문을 잘 요약했는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내가 생각하기에 해당 부분은 다음의 문제가 있다.

  1. 핵심 주장을 서술하는데 있어 초반 파트 대부분은 쓸모가 없다. 그래서 초반 파트에서 핵심을 자리 잡고 있는 '신체'와 '쾌락'에 관한 설명이 요약문에 없다.
  2. 그 설명이 중심 내용을 서술하는데 도움되지 않더라도, 정리 후에 쓸모 없는 부분이라고 비판할 수 있겠다. 하지만 저자가 푸코에게 있어 신체와 쾌락이 중심 문제가 되는 이유를 푸코의 저작으로 설명하지 않고, 들뢰즈의 책에서 나온 들뢰즈의 신체 이해를 들어 설명하기 때문에 다 뺐다. 푸코가 들뢰즈의 그러한 신체 이해를 그대로 가져온 것도 아닌데 왜 굳이 들뢰즈의 신체 이해를 푸코의 신체 이해로 둔갑시켜 설명하는가? 물론 저자도 이러한 비판을 예상한듯 <아마 푸코는 들뢰즈처럼 요래요래 생각했을것이다..>라는 식으로 설명하기는 한다.
  3. 저자는 푸코의 윤리적 주체 형성 전략을 '실존의 미학화'라고 소개하면서도, 그것이 왜 실존의 미학화인지, 주체의 윤리적 실존 양태가 가 미적 실존으로도 이해되는지 잘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즉, 푸코적 주체의 수식어인 '윤리적'과 '미적'이 왜 동치인지, 교환가능한지 잘 설명하지 못한다.

이런 문제 때문에 후기 푸코에서 대두되는 문제인 윤리적 실존 양태(실존의 미학)에 집중해서 보기에는 같은 옮긴이가 옮긴 다케다 히로나리의 『푸코의 미학』이 더 좋다고 본다. 최근 번역됐고 호평받는 프레드릭 그로의 『미셸 푸코』는 아직 사놓고 못읽어 봤지만, 히로나리의 책이 여태 본 푸코 개론서 중에 가장 훌륭했다.

https://www.aladin.co.kr/m/mproduct.aspx?ItemId=154419137

3개의 좋아요

(1) 후기 푸코, 특히 실존 미학 부분은 여러모로 매력적이지만 정교하게 다루기 어려운 부분처럼 항상 느껴집니다. 왜냐하면 푸코가 지속적으로 사유를 발전시키다 실존 미학에 딱 도달하고 나서 에이즈로 죽기 때문이죠.

대부분의 원전이 푸코가 죽기 직전에 쓰던 저서와 강의록에 기반하는데,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을 보면 푸코의 생각이 어떻게 급진적으로 변화하는지 알 수 있죠.

제가 추측하기로는, 이전의 담론 분석처럼 어떻게 성적인 규율이 개인을 규제하는가, 에 대한 관심으로 <성의 역사>가 시작된듯 합니다. (이때는 푸코가 현실 정치에 관심을 꽤 많이 가지던 시기이기도 합니다. 캘리포니아에 가시기도 하고 모로코에 가시기도 하고. 게이 인권 운동의 분위기 속에 계셨죠.)

그렇게 2권까지 쓰다가 집필을 중단하는데, 이때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들이 나옵니다. 이때 집중적으로 다루어지는 개념이 "생명 정치"인데, 아마 성에 대한 규제는 기존 담론과 다르게 이 "생명 정치" 개념으로 사유되어야 한다 느낀듯 합니다.

그러다가 강의의 후반부 네권 정도가 실존 미학을 직접적으로 다루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성의 역사> 3권과 유고로 나온 4권이 쓰였고 푸코는 에이즈로 죽습니다.

따지고보면 푸코 학문의 80프로 이상은 전기 푸코인셈입니다. 따라서 후기 푸코, 그것도 실존미학은 막 사유가 나오기 시작한 끄트머리를 보고 여러가지를 고려해야하는 셈인데, 쉽지 않아 보입니다.

1개의 좋아요

동감합니다. 저는 중-후기 푸코에만 관심이 있어서 그에 관련된 저작들(성의역사2/3/4, 주체의 해석학, 미공개선집 등)만 좀 봤는데, 알 것 같다가도 모르겠습니다. 잘 알고 싶어서 관련 논문들을 봐도 대부분 개괄적인 설명에 그치거나, 후기 푸코에서 니체적인 면모가 잘 드러난다라는 내용의 분석이 대다수일 뿐, 잘 해부하여 그 진면목을 잘 드러내주는 텍스트는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니체는 자기 사유를 정리해서 한 권의 책으로 내기 직전에 딱 정신병에 걸려버리고. 또 그 니체적 유산을 현대적으로 가장 잘 계승했다고 불리는 푸코도 자기 사유의 정점 도달 직전에 죽어버리니까 이 둘을 공부하는 입장에서 참 아쉽습니다. (누군가의 눈에는 그냥 문학작가나 사이비처럼 보이겠지만) 천재의 삶이란게 진짜 이런건가 싶기도 합니다. 물론 이런 알다가도 모를 오묘함때문에 더 끌리는 것도 있지만요.

(1) 어쩌다보니 그게 제 방황의 시작(?)이었죠. 푸코의 실존미학을 하고 싶어서 철학과에 왔더니, 푸코 후기철학하면 죄다 생명정치만 이야기하고 있지, 다른 대륙철학은 실존 미학과는 전혀 상관 없어 보이지...도대체 난 여기서 뭐하고 있는건가...싶었죠.

(2) 어떤 의미에서, 푸코의 '실존 미학'의 의도치 않은 후계자는 영미 분석철학의 '덕 윤리학' 작업들로 보입니다. 저는 푸코가 '실존 미학'의 단초를 고대 그리스 철학을, 단순히 논증으로 이루어진 학문을 넘어서 '종합적인 삶의 양식'으로 본 시점에서 탄생했다 여깁니다. (이렇게 고대 철학 - 나아가 철학 일반을 이렇게 재해석하는 것이 당대의 경향처럼 생각되기도 합니다. 피에르 아도의 <고대 철학이란 무엇인가>가 항상 푸코와 함께 이런 방향성을 제시한 책으로 나오더군요. 흥미롭게도 피에르 아도는 비트겐슈타인을 프랑스에 소개한 초창기 학자 중 하나입니다.)

비트겐슈타인의 제자인 앤스콤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비트겐슈타인적인 방향' (철학과 삶의 분리불가능성)으로 재해석해서 부활시킨 '덕 윤리학'은 어쩌면 푸코와 같아지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르겠습니다.

(3) 요근래 덕 윤리학의 작업들은 크게 두가지 방향성으로 움직이는 듯 합니다. (a) 덕 윤리학에서 추구하는 '덕'이 무엇인지, 일상 언어 용법과 도덕 심리학적 작업을 통해 명확히 규명하는 것. (b) 그렇게 규명된 덕을 도덕 심리학과 심리철학, 행위 철학, 선택 이론이라는 분석철학의 틀에서, 어떻게 하면 '획득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규명하는 것. - 즉, 일종의 자기 계발서가 되고 있는 듯 합니다.
어쩌면 이것이 구체화된 푸코의 '실존 미학'처럼 느껴집니다.

(4) 여담이지만, 푸코의 이론 중에서 '실존 미학'보다 '통치성'이나 '생명 정치'가 더 주목받은 이유는, 대륙은 여전히 맑시즘과 그와 유사한 사회 변혁의 방향성을 보다 고민했기 때문이라 여겨집니다. 푸코 다음 세대의 유명해진 학자들 (발리바르, 랑시에르, 바디우 등)이 모두 알튀세르의 영향이 강한 것은 우연이 아니라 여깁니다.

2개의 좋아요

저와 많은 부분 생각이 비슷하시네요.

(1) 저도 실존의 미학에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있고, 석사논문을 니체의 실존의 미학을 주제로 썼습니다.

(2)저도 동일한 이유로 덕윤리에 관심이 있습니다. 석사때 덕윤리 수업을 들었고, 그때 매킨타이어가 니체는 덕윤리로 재구성불가능하다고 지적한 것에 대한 반박을 기말 레포트로 썼었어요.

(3)그 세미나를 계기로 덕윤리와 니체의(푸코포함) 실존의미학 관계에 관심을 계속 갖고 있어서 또다른 덕윤리 대표학자인 swanton의 <흄&니체 윤리(정확한 이름이 기억안나네요)>도 봤구요. 최종적으론 이에 관한 학술지 논문을 하나 쓰려고 합니다.

(4)그리고 아직 접수 상태인 이번에 쓴 논문에도 swanton의 다른 논문을 주요 참고 문헌으로 사용했습니다. 제출 논문의 핵심은 (덕윤리의 핵심 주제인) self-regarding과 other-regarding 관계라는 문제가 니체에게도 존재하고, 둘이 불가분의 관계이기에 니체는 공동체를 중시하는 철학으로 독해가능하다였습니다.

(5) 그리고 self-regarding virtue와 other-regarding virtue의 불가분 관계가 니체에게 존재하는 것처럼, 이를 정치의 문제로 번역하면 푸코에게서 중요한 문제인 타자 통치와 자기 통치의 문제가 된다고 봅니다.

(6) 아래는 위 내용과 관련한 것들이 담겨있는 예전에 작성한 유학용 sop 중 일부입니다.

My main focus lies in Nietzsche’s philosophy, including his political philosophy, Ethics, and Aesthetics. Based on these, particularly his aesthetic of existence theory and concept of agon, I pursue to examine whether Nietzsche can give us valuable insight into political philosophy and Ethics.

My second interest is Ethics and Ancient Greek philosophy. I had a chance of attending the Virtue Ethics seminar. In the seminar, I knew that Virtue Ethics can make an alternative to Duty Ethics, Act-based Ethics (like Kantian Ethics), and utilitarianism which achieve a dominant position in ethics. In particular, What drew my attention to Virtue Ethics is that it seems to solve a difficulty in those Ethics, so it can supersede existing ethics. Moreover, the presence of disputes about whether Nietzsche's ethics can be regarded and can be combined with Virtue Ethics fascinates my mind. The other kind of alternative ethics called ethics Self-fashioning which Foucault traced back to Ancient Greek may expand my horizons by the same token. And what also attracts me is that there are many academic works that analyze the interrelation between Foucault's ethics of Self-fashioning and Nietzsche's. For such reasons, I admire learning about existing ethics Nietzsche criticized and studying alternative ethics that have the possibility of interconnecting with Nietzsche.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