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와 시간을 제가 잘 독해하고 있나요? (1)

제가 아직 가입한지 얼마 안되어서 그런지 요약문 작성이 안돼네요. 그래서 이곳에라도 올리겠습니다. 번역서는 이기상 교수님의 번역서를 읽고 있고 박찬국 교수님의 존재와 시간 강독도 사긴 샀습니다만.. 보니까 하이데거가 한 말을 그냥 풀어쓴거 같아서 이럴바에는 그냥 1차자료에 충실하자는 생각이 들어 번역서만 읽고 있습니다. 어떤 피드백이든 감사히 받겠습니다.

1-1 존재에 대한 물음을 분명하게 다시 제기해야 할 필요성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존재에 대한 물음은 망각되었다. 왜냐하면 존재물음에 대한 3가지 선입견이 생겼기 때문이다.

(1) 존재는 가장 보편적인 개념이다.
(2) 존재는 정의할 수 없는(공허한) 개념이다.
(3) 존재는 자명한 개념이다.

하이데거는 이러한 존재망각을 일으킨 선입견이 오해임을 밝히며 다시금 존재물음을 반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역설한다.

  1. ‘존재는 가장 보편적인 개념이다’
    하이데거는 존재의 보편성이 유의 보편성과 구별된다고 주장한다. 유의 보편성은 존재자들을 어떤 범주에 넣어 한정시키며 갖는 보편성인 반면에 존재의 보편성은 언제나 한정시키는 것을 혹은 그 한계를 뛰어넘고 초월하기 때문에
    유적 보편성도 뛰어넘는다. 이러한 존재의 초월적 보편성을 아리스토텔레스는 유비의 단일성으로 인식하였다. 다시 말해 존재는 유비적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전히 이 존재의 범주적 연관을 무시하였다. 헤겔 또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볼 때 아직 “존재”라는 개념은 오히려 가장 어두운 개념이다.

의문점: 유비의 단일성이 정확히 어떤 개념인지 모르겠다. 내가 보는 번역서의 주석을 보면 이 개념을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건강하다"는 다양한 주어에 쓰이며 비슷하지만 다르게 사용된다. 예컨대 논리가 건강하다, 몸이 건강하다, 등등, 이는 존재는 술어인데 그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하는 것 같다. 따라서 다양한 의미도 가진다. 그렇다면 유의 보편성은 이러한 다양성을 무시하기 때문에 비판받는 것인가? 그렇다면 헤겔의 존재개념(무규정적인 직접적인 것)을 비판한 것이 이해가 되긴 한다.물론 여전히 저 직접적인 것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 직접적인 것인지는 모르겠다. '적나라하게 드러난다'라는 뜻인가?그렇다면 결국 아리스토텔레스도 이러한 다양성을 무시한 것인가? 이 둘의 철학을 하나도 모르기 때문에 이 비판이 옳은지는 모르겠다.

  1. ‘존재는 정의할 수 없는(공허한) 개념이다’
    존재자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이다‘라는 정의항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다‘는 이미 존재를 함축한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범주(최근류와 종차)를 통해 존재자를 정의하는 것처럼 존재를 정의할 수는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존재는 다른 개념과 달리 자신보다 상위의 범주를 갖고 있지 않고 작은 범주들은 이미 그 안에 모두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존재는 전통적인 정의 방법으로는 정의할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결론으로 말미암아 귀결되는 것은 존재와 존재자의 개념을 파악함에 있어서 이 둘이 구별된다는 것뿐이다. 이것이 어떤 내용도 지니지 못하는 공허한 개념이라는 귀결은 비약이다.

의문점: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이 개념(존재)을 정의하는 가? 그것도 전통논리학의 방법과 같은 오류에 빠지지는 않은가? 이 의문은 책을 더 읽으면서 해결해야하는 문제일 것 같다. 더 읽어보자.

  1. ‘존재는 자명한 개념이다’
    우리는 존재에 대한 평균적 이해를 가지고 있다. 이는 우리가 존재자들과 맺는 관계나 인식, 발언 등을 통해 찾을 수 있다. 예컨대 “하늘은 푸르다”, “나는 기쁘다” 등등. 그러나 하이데거에 따르면 이는 완전한 이해가 아니다. 오히려 이런 이해는 우리의 몰이해를, 이해의 행동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선험적 구조를 모른다는 것을 드러낼 뿐이다. 또한 존재라는 개념을 자명한 것으로 놓고 주제로 삼지 않는 것도 문제다. 칸트의 정신에 따라 ‘자명한 것’이라고 판단 되는 것을 주제로 삼고 분석하는 것이 우리 철학자의 임무이다 . 따라서 존재는 그저 자명하기에 주제가 될 필요 없는 개념이 아니라 오히려 가장 불투명한 가장 연구가 필요한 개념인 것이다.

의문점: 평균적 이해라는 것이 왜 잘못된 것인가? 하이데거는 존재가 술어이고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이 맥락을 무시한 이해가 이 평균적 이해인가? 그런데 “하늘이 푸르다”, “나는 기쁘다”라는 사용은 맥락을 무시한 게 아니지 않은가? 하늘이 푸르다는 하늘에 먹구름이 없고 미세먼지가 없으며 해가 떠있고 등등 여러 맥락을 따져봐야만 사용 가능하다.
내가 뭔가 잘못 이해하고 있나? 잘 모르겠다. 역시 철학은 어렵다.

총정리: 하이데거는 3가지 오류를 3개의 선입견으로부터 도출해낸다. 존재의 보편성을 유적 보편성으로 본 오류가 첫째, 존재자와 존재를 구별하지 않은 오류가 둘째. 존재를 자명한 것으로 놓고 이것이 주제가 되지 못한다고 잘못 파악한 오류가 셋째이다. 이 오류들이 존재 망각의 이유이다. 따라서 존재물음은 다시 물어져야 한다.

1개의 좋아요

저보다 하이데거와 아리스토텔레스를 더 잘 아시는 선생님들이 계셔서 좀 부끄럽지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하이데거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유비의 단일성(Einheit der Analogie)'를 포착했다고 말하죠. 이 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서 등장한 "'있는 것'은 여러 가지 뜻에서 말해진다(to de on legetai men pollachos)"는 문장에 대응합니다. 이 부분을 좀 인용해볼게요.

'있는 것'은 여러 가지 뜻으로 쓰이지만(to de on legetai men pollachos), 하나와의 관계 속에서 , 즉 어떤 하나의 자연적인 것과의 관계 속에서쓰이는 것이지 동음이의적으로 쓰이는 것이 아니다. -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제4권(Γ), 1003a32-34.

이와 마찬가지로 '있는 것' 역시 여러 가지 뜻으로 쓰이지만 그 모두가 하나의 원리와 관계를 맺고 있으니, 그 까닭은 어떤 것들은 실체라는이유에서 있는 것이라 불리고, 어떤 것들은 실체의 양태들이라는 이유에서, 어떤 것들은 실체에 이르는 과정 , 실체의 소멸이나 결여성질 , 실체를 만들어내는 이나 낳는 이라는 이유에서나 혹은 실체와의 관계에 따라 일컬어지는 것들 가운데 속해 있다는 이유에서, 또는 그것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부정이거나 실체의 부정이라는 이유에서 있는 것이라고 불리니, 그런 이유 때문에 우리는 있지 않은 것에대해서 그것이 '있지 않다'고 말한다. -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제4권(Γ), 1003b4-11.

인용문은 대강 이런 내용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있는 것', '있음'이라는 말이 다의적으로 쓰인다고 주장합니다. 우리는 어떤 대상이 이러저러한 상태에 있거나, 이러저러한 속성이나 성질을 지니고 있다고 말을 하죠. 술어들을 통해서 말이에요. 예컨대, "석탄은 까맣다"라고 말할 때, 우리는 석탄이 검은색을 갖고 있다고 이해하고, 또 그렇게 말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것이 있다'고 말할 때, 우리는 그 어떤 것에 대한 다양한 술어들을 갖고, 그 술어들을 통해 그러한 존재가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죠. 근데 이 술어들은 그 어떤 것과 연관될 때 의미를 지닐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까맣다"라는 말은 자기 혼자 덩그러니 있을 때는 의미를 갖기 어렵겠죠. 분명 어떤 실체가 있어야 "까맣다"라는 말이 올바르게 쓰일 수 있지 않을까요? 이를테면, "이 말까맣다"라는 식으로 말이에요. 그렇다면, 실체를 서술하는 다양한 말(술어)들은 실체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의미나 실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왜냐하면 이 술어들은 오로지 실체에 대한 일정한 판단을 하게끔 만드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유의해야 할 점은 '있다'라는 말이 동음이의어이기 때문이 다의적인 것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있다'라는 말이 유비적, 또는 파생적인 유비관계(paronyma)라고 말해요. 즉, 존재를 서술하는 10가지 범주에서 제일 으뜸가는 것은 실체이고, 나머지 술어들은 이 '실체'와 맺는 연관 속에서 의미와 실재성을 갖게 된다는 거죠! 그래서 실체는 이 유비적 관계들을 통일하도록 만드는 것이 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하이데거가 '유비의 단일성'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성취물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3개의 좋아요

답글 정말 감사합니다! 덕분에 유비의 단일성 개념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요약문을 꾸준히 올릴테니 거리낌 없이 피드백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