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지성사(intellectual history)는 50년대에 구미권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어서, 이제는 완전히 학계에 편입된 영역입니다.
철학과 동일한 '사상'을 다룬다는 점에서, 영역이 겹치지만 두 분야 간의 면밀한 이해는 부족해보여 짧게나마 글을 적게되었습니다.
(이들은 리처드 왓모어의 "지성사란 무엇인가"을 기반으로, 제 맘대로 이것저것 덧붙인 글입니다.)
(1) "지성사"라는 학문 영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성사가 나오기 전 사학계 상황을 간략히 알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a) 전통적인 역사관인 헤겔적 역사관이 있습니다. 헤겔적 역사관은 a) 인류의 역사는 진보하고 있고 b) 이 진보는 각 시대라는 명확한 구분을 통해서 알 수 있으며 c) 이 시대는 각기 공유하는 '시대 정신'을 가지고 있고, 이 시대정신을 명확히 드러내주는 '영웅'(과 같은 인물)이 있다.
이러한 헤겔적 역사관에 대한 공격으로 (b) 마르크스주의 역사관이 대두합니다. 이들은 헤겔적 역사관이 가지는 엘리트-관념 위주의 발전 단계('상부구조')를 거부하고, 이들이 드러나게 된 사회적/경제적 토대('하부구조')에 집중을 합니다.
(2) 이렇게 마르크스주의가 휩쓸던 시기에, 학자들인 한 가지 의문에 빠집니다. 과연 '하부구조'가 역사의 발전의 모든 것일까? 그래도 '사상'(관념)이 인간의 행동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친다고 봐야하지 않는가?
이렇듯, 관념과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동시에, 헤겔적 역사관에 대한 반성 역시 지속됩니다. 헤겔적 역사관에 대한 반성은 크게 (a-a) 정말 인류의 역사는 '목적론적으로 발전하는' 역사인가? 달리 말해, A-B-C라는 변화에서, B는 단순히 C를 위한 예비 단계에 불과한가? (a-c) 그리고 한 시대를 온전히 정의할 수 있는 '시대정신'이라는게 진정 존재하는가? 이들은 그저 학자들이 구성물에 불과하지 않는가?
[헤겔적 역사관에 대한 이 두 가지 반성은 꼭 명심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여타 시간적 변화를 다루는 다른 학문들 역시 이 두 가지 반성을 통해서, 많은 변화를 이루었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생물 진화론에서도 더 이상 목적론적 해석을 사용하기를 꺼려합니다.
리처드 프럼의 [아름다움의 진화]에서 나온 예시인데, 새의 깃털에 있습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새의 깃털로의 진화는 날기 위한 '목적'을 위해 차근차근 진화해온 것처럼 보입니다. 허나 이는 오늘날의 관점에서 과거를 투영한 것에 불과합니다. A-B-깃털이라는 단계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과연 A가 한 B로의 변화는, 깃털이라는 최종 결과물을 염두한 변화일까요? 이것이 가능할려면, A가 예언을 해야했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이 변화는 '깃털'과 무관한, 당대 환경에 대한 적응으로 해석하는 게 훨씬 타당해보입니다. 실제로 깃털의 전 단계인 솜털은, 단순한 보온과 방수의 목적으로 인해 털에서 진화한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또한 시대정신 역시 많은 비판을 받습니다. 왜냐하면 인과가 역전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개별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서 '시대정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구성할'뿐이지, 역으로 시대정신이 존재해서 그게 '개별 작가들을 꼭두각시마냥' 조종해 자신을 드러낸다고 생각하는 것은 위험해 보입니다. 이와 같은 지적은 미술사/영화 이론에서 주로 나왔습니다.]
(3) 지성사는 이러한 분위기에서, 다른 여타 역사학들의 변화와 함께 등장합니다. 간략하게 이 시기에 나타난 '광의의 사상사'들과 함께, 지성사'들'의 흐름을 개괄하겠습니다.
(3-1) 우선 '망탈리테'(심성사), 특정 집단의 문화(혹은 사고방식)을 다루는 역사학이 대두됩니다. 특히 프랑스 2세대 아날 학파에 의해서 주도되는데, 자크 르 고프, 에마뉘엘 르루아 라뒤리 등이 있습니다.
(3-2) 그리고 이들의 영향을 받은 미셸 푸코가 있습니다. 푸코는 모두 알다시피, 실제로 개념/심성이 어떻게 제도를 통해서 실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력을 탐구했습니다.
(3-3) 영미권 문화사학자들이 또 있습니다. 이들은 관념이 어떠한 방식으로 생성되고, 전달되는지 그 밑바닥에 있는 물리적 조건들과 관념의 관계를 다룹니다. (예컨대, 학교나 출판물, 번역 등이 이들의 연구 대상입니다.) 대표적으로 피터 버크, 로버트 단턴 등이 있습니다.
(3-4) 이제 협의의 지성사'들'에 대해서 논의합시다. 이들은 앞의 흐름들보다는, 보다 '명확하고' '잘 정의된' 개념들의 역사를 추적합니다. 그 중 한 흐름은 독일의 개념사입니다. 코젤렉으로 대표되는데, 이들은 사전이나 옛 문헌들을 중심으로, 단어의 의미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탐구합니다.
(3-5) 그리고 대망에, 우리가 여기서 다루는 '지성사'를 의미하는 케임브리지 학파가 등장합니다. 대표자로는 퀜틴 스키너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