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철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 휴학생입니다. 그동안 학교에서는 동서양 철학의 개요만 간단히 살펴보았는데, 이제 시간적 여유가 생겨 철학 도서를 읽으려고 합니다.
솔직히 제가 철학에 관심이 있다기보다, 가장 첫번째 목표는 전공 학점을 수월하게 따기 위함이며, 다음으로야 철학사 전반에 관한 지식을 얻어, 타인에게 설명해주고 싶은 그러한 욕심이 두번째 목표입니다.
음.. 사실 제가 궁금한 건, 여러가지인데, 글 아래 부분에서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다음은 제가 가진 책 목록입니다.
이정우 - 개념 뿌리들
이진경 - 철학과 굴뚝 청소부, 철학의 모험
러셀- 서양철학사, 철학의 문제들
워버턴- 한권으로 읽는 철학 고전
데카르트- 성찰
한국 강좌 철학
처음읽는 현대철학 독일, 영미, 프랑스
슈워츠 - 분석철학의 역사
쉽게 읽는 언어 철학
철학의 주요 문제에 대한 논쟁
등등 입니다.
지금 현재 제 수준은, <철학과 굴뚝 청소부> 와 <철학의 모험> 책을 통하여 근대 철학을 집중적으로 읽고 있으나, (1) 한달 내내 이 책을 읽으니 지겹기도 하고, (2) 헤겔, 그리고 구조주의 파트에서 너무 어려워 막히게 되었습니다.
학교 다닐 때 기호논리학은 재밌게 공부하였는데, 이와 관련된 철학흐름을 보니 분석철학이 있더군요.
얼른 근대 철학을 해치우고, 분석철학으로 넘어가고 싶은데, 기본기(고대-중세-근대 철학)를 잘 잡아야 이후 현대 철학도 잘 이해될거라는 일종의 멍에 처럼 느껴지고 있습니다.
(1) 지금 제 수준에서 앞서 설정했던 두 가지 목표를 만족시키기 위해선 철학을 다시 공부해야할까요? 다시 해야한다면 어떤 책 순서로 읽어나가면 좋을까요...
(2) 지금 수준에서 분석철학과 관련된 서적들을 읽는다면, 또 다시 실패하려나요?
(3) 철학 책을 읽어나갈 때 철학자들의 사상을 메모하는 것을 추천하시나요?
(4) 철학을 진심으로 좋아하는 게 아닌지라 앞으로 스스로 어떻게 공부를 해나가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휴학기간동안)
(5) 개인적으로 철학 고전들 - 당장 떠오르는 건 스피노자의 에티카,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 등등... 이러한 책들을 독파하기위해선 얼마나 큰 노력을 들여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데카르트 성찰을 읽어보았는데, 진짜 겨우겨우 1회독을 했었는데, 후반갈수록 내용이 어려워 난립으로 읽게 되더군요. 이런 철학 고전을 읽어내려면, 인내심과 철학적 어휘의 이해, 그리고 문해력이 필요하겠지요? 이에 대한 아무 조언 부탁드립니다.
되게 막막한 상태라 제가 무슨 질문을 하고 싶은지도 명확히 하지 않은 상태에서 글을 써 죄송합니다. 이러한 철학 커뮤니티를 인터넷 서칭하다 알게 되어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만약 철학 공부와 독서에 대한 조언을 주신다면, 열심히 읽고 또 카페 활동도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