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예전에 윤님과 라쿤님 등이 메이야수, 그레이엄 하먼 등으로 대표되는 '사변적 실재론', 즉 오늘날 시점에서는 대체로 "신유물론"으로 표현되는 사조에 대해 논의하셨던 바가 있습니다. 최근 (분석) 철학 (혹은 그에 기반한 철학사적 재해석) 이외의 글들을 읽다보니, 신유물론이 출현하고 각광받는 배경에 대해서 몇 자 적는게, 나쁘지 않겠다 느꼈습니다.
(1) 우선 '이론'(theory)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해야할 것 같습니다. 흔히 대륙철학을 영미권에서 다룰 때, 대체로 이들은 철학과가 아닌 문학 이론, 혹은 다른 예술 매체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하는 학과를 통해 수입된 것을 다들 꽤 잘 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21년 현재 이 이야기는 살짝 오래된 감이 있습니다. 대륙철학과 분석철학을 동시에 전공한 학자들은 물론, 다문화적 배경으로 철학을 하는 학자들과 과학과의 통합을 위한 실험 철학 등등이 등장한 시점이니깐요.)
여하튼 문학 이론에서 "이론"의 지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조너선 컬러 (예일대 교수로, 예일대는 미국에 프랑스제 이론들을 수입하는 창구로서 유명한 학교입니다. 데리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폴 드만이 예일대 교수였습니다. 조너선 컬러는 폴 드만 다음 세대 정도에 해당하는 학자입니다.)는 자신의 책 <문학 이론>에서 이리 설명합니다.
"이론"은 1) 검증할 수 없지만 2) 흥미로운 논의점을 가져다주는 3) 가설이다.
네. 문학 이론에서 주장하는 속칭 "이론"은 애당초 검증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고 (적어도 컬러는) 학자들은 생각하는 셈입니다.
(2) 실제로 이처럼 검증과는 무관한 반-과학적(자연과학이든 사회과학이든 말이죠) 태도, 즉 (흥미로운 논의점을 중요시하는) 비평적 태도는 여러 이론 서적들의 서문에 미묘한 뉘앙스로 기술되어있습니다.
제인 베넷의 <생동하는 물질>의 서문에서도, 저자는 이 책이 당면한 긴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쓰였다고 스스로 선언합니다.
이 형태의 가장 급진적인 책은 레자 네가레스타니의 <사이클로노도피아>일겁니다. 이 책은 저자 자신도 "이론-픽션"으로 불렀으며, 픽션과 난삽한 음모론, 철학적 사변이 마구 뒤섞인 책입니다. 허나 이 책은 그레이엄 허먼 등에 의해서 극찬을 받았고, 이들의 이론이 주로 응용되는 분야의 매체인 현대 미술 비평지 아트 포럼에서 극찬을 받습니다. 이 책 부록에 수록된 인터뷰에서, 레자는 스스로 "블로그 잡상 - 중간 철학"으로 책을 의도했으며, 그러한 형태가 왜 나쁘냐고 반문합니다.
네. 이제 미국에서도 블로그 잡탕글이 극찬을 받는 시대가 온겁니다.
(3) 어떤 의미에서 이러한 학계의 변화는, 대학 혹은 아카데미에 대한 일반 대중들, 혹은 중간 이론가들 (비평가들, 저널리스트들, 논픽션 작가들)의 압력에서 생존하려는 자연스러운 반응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도 인문학 기금을 고갈되고 있고, 인문학이 돈을 벌려면 사람들이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서, 그럴듯한 말을 하는게 필요합니다.
당장 BLM 이후, 미국 흑인에 대한 서적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제 아프리칸 아메리칸 철학, 혹은 아프리칸 철학도 학계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 역시 굉장히 중요한 테마죠.
(4) 여러 "이론"들 중에서 신유물론이 부상한 배경에는 20세기 프랑스 철학을 미국 학계 전반이 소화한 후, 그에 대한 영향을 한번쯤 종합해서 거창한 "브랜드"를 붙일 필요가 있어서 그렇다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제인 베넷이나 마누엘 데란다, 레자 등이 생각하는 핵심에는 비-인간 행위자가 있습니다, 즉, 인간 말고도 다른 것들이 단순히 "수동적"인 것이 아니라, 그 나름대로 행위를 한다는 것입니다. 다만 이들은 그 중에서 가장 극단적으로 동물 등의 준-의식적 행위자뿐 아니라, 물질 등의 비-의식적 존재들도 "행위"를 한다 주장할 따름입니다.
제인 베넷은 돌, 쇠, 원자 등도 인간과 동일한 행위자로 봐야한다고 주장합니다. (정확히 말하면,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는 모두 [니체-베르그송-들뢰즈에서 가져온] 힘을 기반으로 행위하며, 이 두 행위자의 경계는 힘이라는 요소를 통해 보면 동일하다고 주장합니다.) 데란다는 살짝 결이 다르지만, 드론과 (디지털) 네트워크가 행위자라 생각합니다, 레자 같은 경우에는 석유고요.
이들의 참조점은 들뢰즈와 브루노 라튀르입니다.
(5) 사실 이와 같은 주장은 다른 분야에서는 썩 놀라운 주장은 아닙니다. 푸코 이후, 70/80년대 사학, 인류학, 과학사회학, 영화-미디어학은 모두 기관, 체제, 생태, 동물 등의 다른 생물체, 도구, 미디어 등등이 인간 행위자와 함께 복잡한 '계', 즉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이들의 중요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조합니다.
따지고보면, 신유물론은 이걸 종합해, 환경 - 뉴미디어라는 트렌드에 맞게 다듬어서,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가 사실상 동일하다는 급진적인 주장을 하고, 이를 '옹호하려는' 나름의 복잡한 형이상학적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라 전 이해하고 있습니다.
(6) 사실 어떤 의미에서, 철학과 이론의 역할과 전범, 아카데미의 역할과 경제적 구조의 변화 등 미국 학계의 복잡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상징적인 징후처럼 전 읽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