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대한 카벨의 해설에 대한 코넌트의 해설에 대한 나의 해설

(1) 제가 지적하고 싶은 핵심은, "내가 참여하는 언어게임을 내기 기술"할 수 없다거나 "행위나 상태들을 유형화할 수조차 없다"는 게 아닙니다. 오히려 형이상학자와 비트겐슈타인주의자가 서로 대립하는 상황에서, 비트겐슈타인주의자의 주장이 옳다고 손을 들어줄 수 있는 아무런 객관적 기준이 없다는 사실입니다. 단순히 형이상학자에게 다양한 언어게임을 보여주면서 "너는 문법을 일목요연하게 조망하지 못하고 있어!"라고 말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비트겐슈타인주의자의 본인의 일방적 주장일 뿐이지 형이상학자를 납득시키는 설명이 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2)그래서 저는 voiceright님이 지적하신 것과는 달리 단순히 언어게임을 일목요연하게 나열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고 "회의주의자 본인의 언어 게임이 얼마나 엉터리 같이 돌아가고 있는지, 혹은 회의주의자 본인의 문법이 얼마나 자기 모순적인지를 지적"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저는 이런 방식의 접근이 매우 비트겐슈타인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여기에 "비트겐슈타인"이라는 이름을 붙일 것인지 말 것인지는 솔직히 저에게 그다지 중요한 문제는 아닙니다. 이 접근을 "실용주의적"이라거나 "해체주의적"이라고 부르신다면 저는 얼마든지 그런 이름을 받아들일 의향이 있습니다. 제가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제는 저의 접근법과 voiceright님의 접근법 중 무엇이 진정으로 회의주의자를 비판하기에 적합한지입니다. 적어도 제가 보기에, "너는 문법을 일목요연하게 조망하지 못하고 있어!"라고 일방적으로 주장만 하는 태도는 ‘직관 싸움’ 이상의 생산적 논의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3) 저로서는 카벨에 대해 더 자세하게 설명하신 부분의 내용이 제가 주장한 내용과 본질적으로 어떠한 점에서 차이를 지니는지 모르겠습니다. 특정한 기본 전제를 상정한 채 이론을 쌓아올려가고자 하는 욕망은 소위 '형이상학’을 한다는 사람들이 지닌 기본 성향입니다. 따라서 회의주의자 본인은 자신이 특정한 언어 게임에 참여하고 있다고 믿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참여하는 언어 게임에 부합하는 발화를 하기 위해 노력하죠. 그럼 비판자는 이러한 작업이 회의주의자 본인이 상정한 전제들의 충돌이나 그 전제들로부터 귀결되는 결론들의 충돌 때문에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면 될 뿐입니다. 그래서 회의주의자가 따른다고 믿었던 규칙들이 사실 아무 규칙도 아니었다는 사실을 폭로하는 거죠. 저는 회의주의자가 이런 모순 속에서 내뱉는 말들을 “언어게임 바깥에서 하는 말”, “뜻이 통하지 않는 말”, “불명료한 말”, "이해할 수 없는 말"로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