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 올빼미 여러분께,
안녕하세요 Le Croissnat입니다.
1.1. 연말 학술대회 개최 제안
철학 공부에 대한 열정으로 모인 회원 수가 어느덧 50여명에 이르렀습니다. 많은 회원분들께서 석박사과정 재학 중이며 몇몇 분들께서는 최종학위를 취득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관심사를 가진 학술적 커뮤니티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역시 학술대회 개최가 아닐까 싶습니다. ZOOM 또는 Skype 화상 채팅을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학술대회를 열면 어떨지 제안을 드려봅니다.
1.2. 학술대회의 형태
1.2.1. 개최 시기 및 장소
- 개최시기: 2020년 11월 또는 12월 마지막 주말 양일 (28-29 NOV Sat/Sun; 26-27 DEC Sat/Sun)
- 개최장소: ZOOM 또는 Skype Online meeting
- 원고 모집: 1/July/2020 ㅡ 15/Oct/2020
- Keynote speaker 및 발표자 명단 확정: 개최일로부터 30 Business day 이전
1.2.2. 개최 형태
1부: Keynote speaker 1-2명 (외부 강사 혹은 커뮤니티 내부에서 섭외)
2부:
다음 두 가지 가운데 하나 또는 모든 유형의 원고 투고를 받아 발표
(a) Abstract 발표
(b) 5,500 word count 내외 분량의 논고 발표
-
진행시간:
Keynote speaker는 50분, 질문 시간 10분; fulltext 논고 발표자는 40분, 질문시간 20분; abstract 발표자는 15분, 질문시간 15분 -
원고 작성 및 발표 언어:
영어 (American English) -
원고 작성 가이드라인:
(a) Philosophical essay/Article: MS office word count 5,500 Word 이내, Times New Roman, 10-11pt, double space (200%). 세부전공 불일치자도 논의 맥락, 문제제기, 핵심논증을 알아들을 수 있도록 가능한 한 layman's terms으로 쓸 것.
(b)Abstract: MS office word count 1,000 Word 이내, Times New Roman, 10-11pt, double space (200%)
(a) 와 (b) 둘다 투고 받는 방식도 있고 둘 중 하나만 투고 받는 방식 역시 가능할 듯 합니다. -
진행 최소 필요인원:
Moderator (1), administrative staff (1), Technical Staff (1), Keynote Speaker recruiter (1-2)
1.3. 기획 제안
1.3.1. 영어 학술대회의 개최 동기
원고 작성 언어를 영어로 제안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이유입니다.
-
(a) 전세계적 학술표준어로 영어가 쓰이며, 영어 화자의 논의방식을 표준으로 학술적 토론이 이루어진다.
-
(b) 유학을 목표로 하거나, 차후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직장을 구하고자 한다면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고 학술적 토론 능력을 배양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이하 상술:
(a) Peer-Review Journal의 경우 영어권 화자의 논의 방식이 이미 표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서론에서 (1) 자신이 다루고자 하는 제문제의 논의 배경과 핵심 쟁점, (2) 관련된 선행연구동향 리뷰 및 비판, (3) 자신의 입장 제시를 순차적으로 하고, 본문에서 본인의 입장과 대립되는 입장들과 치열하게 논박을 벌이며 ongoing discussion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기술하는 수많은 영어논문들을 예시로 들 수 있겠지요.
(b) 전업학자의 길을 걷고자 하는 분들에게 있어 영어로 학술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은 생존기술을 기르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위와 같은 작금의 현실을 미루어 고려할 때, 국내학회지를 통한 영어논문의 출판과 국제학술대회개최가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는 국내철학계의 현황은 다소간 아쉽게 다가옵니다. 서강올빼미를 장으로 삼아 국제적 표준으로 자리잡은 학술적 트렌드를 따라가고 생존기술을 연마하는 의미에서 영어 컨퍼런스를 기획해보면 좋을 듯하여 제안 드려봅니다.
1.3.2. 학술대회의 대주제 선정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회원분들의 관심사와 전공이 다양한 것을 고려해볼 때, 컨퍼런스가 의미있는 토론의 장이 되기 위해서는 분석철학 및 대륙철학 전공자 모두가 배경을 갖추고 논의 맥락을 알아들을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논의 맥락을 가능한한 구체적으로 좁히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학술계에서 서로 다른 전통의 방법론으로 훈련 받은 학자들이 공통의 지반 위에서 첨예하게 논의를 주고받는 주제로는 conceptualist vs. non-conceptualist reading of Kant; Husserl 등을 대표적인 예시로 들 수 있겠지요. 다양한 훈련배경과 관심사를 망라해 공통의 지반과 좌표 위에서 이뤄지는 학술적 토론을 를 모범으로 삼아 주제를 선정하면 좋을듯 합니다. Springers collected edition of X의 기획을 보다 느슨하게 학회의 형태로 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 대주제 분류: 철학적 제문제 설정 (e.g. The problem of immanence and transcendence, The problem of intersubjectivity and otherness, Empiricist and idealist approach of Meno's paradox, etc.)
(2) 소주제 분류: 요구될 배경지식과 토론의 배경이 될 철학자와 구체적인 텍스트 (e.g., Kant, KrV; transcendental deduction).
이렇게 두 가지 조건 아래에서 주제를 정하면 좋을 듯합니다.
Kant reading의 conceptualism vs. non-conceptualism을 논의의 배경으로 삼으면 어떨까 싶습니다.
먼저 학술적 논쟁의 배경 맥락을 잘 모르더라도 스탠포드 철학사전에 상세하게 정리된 내용을 통해 이를 문제제기방식, 핵심쟁점 그리고 이를 풀어나가는 구도에 관해 손쉽게 overview와 detail을 습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Kantian Conceptualism/Nonconceptualism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더 나아가 이 문제는 칸트 해석을 놓고 벌이는 기술적인 토론 뿐만 아니라, 분석적 칸트독해 또는 현상학적 칸트 독해 모두에 걸쳐 유효하기 때문입니다. Kant Studien, Husserl Studies, Journal of British Society for Phenomenology, Continental philosophy 등의 다양한 성격의 저널에서 관련주제에 관한 논문이 지속적으로 출판되는데서 볼 수 있듯 다양한 전공과 훈련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공통의 배경을 바탕으로 layman's terms으로 최대한 쉽게 설명한다면 큰 어려움 없이 토론을 주고받을 수 있는 주제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론 조사를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주제 선정 관련:
- Kant: conceptualism vs. non conceptualism
- 다른 주제 모색 제안
0 투표자
! "다른 주제 모색 제안"란에 체크해주신 분들 가운데 주제선정에 관한 아이디어가 있으신 분들께서는 댓글란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7월 1일까지 투표를 진행한 결과, 대다수가 다른 주제를 모색하기를 원하므로 새로운 수요조사를 위해poll을 아래 댓글에 열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발표문 형식 관련
- Max. 5,500 word full text
- Max. 1,000 word Abstract
- Both
0 투표자
위 글은 사업제안서 가안 정도로 받아들여주시면 좋겠습니다. 의견을 청취 및 수렴하여 프로젝트를 보다 구체화하고자 합니다. 비판과 제언 역시 언제나 환영입니다.
Sincerely,
Le Croissn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