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ud or Fraud?

이전에 이런 포스팅을 본 적이 있어요.

프로이트의 이론 및 그의 실제 치료 경력 등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긴 했지만 철학 전공자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계신지는 모르고 있었어요. 그래서 다소 놀랍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프로이트에게 문제가 있다면 과연 어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또, 라캉이나 (프로이트의 문제를 역시 가지고 있는) 현대 철학자/정신분석학자들은 어떻게 보아야 할까요?

여러 선생님들의 혜안을 빌리고자 합니다.

3개의 좋아요

심리학자들 사이에서는 프로이트의 이론이 거의 사장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적용하기 어렵다거나, 이론이 맞다고 보기 어렵다던가 하는 등의 이유가 있겠지요. 하지만 철학자들 사이에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마르크스, 니체, 프로이트를 같이 엮어서 생각하기도 하고,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프로이트 식으로 읽기도 합니다. 저도 예전에 철학과에서 프로이트 수업을 들은 적이 있는데, 텀페이퍼를 principle of contradiction과 프로이트에 대해서 썼던 기억이 있네요. 프로이트의 이론 자체가 맞는 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이런저런 철학 이론을 생각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와 별개로, 프로이트 이론의 가장 유명한 문제는 진단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것 아닐까요? 무의식에 있는 내용은 우리가 repress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어떤지 알 길이 없으니깐요.

2개의 좋아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영어가 더 편하실테니 영어로 쓸게요.

(1) In psychology academia, psychoanalysis is a non-mainstream, and I think it is a situation where the expression "dead" is actually correct. However, I don't think that's because there are reasons such as overcoming Freud's theory or finding errors in his theoretical work. So maybe this is why the tradition of psychoanalysis still remains in academia.

(2) Freud's psychoanalysis is still widely used in the humanities. But if Freud's main theory is fiction, many discussions in the humanities may become meaningless or face serious changes.

(3) The fact that many philosophical hypotheses, too, have no way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right or wrong, is probably a challenge in common with Freud's theory.

(4) Thank you for the excellent reply. It helped me a lot.

1개의 좋아요

(1) Maybe. I just don't know what is going on in psychology, so I should refrain from making any further comments.

(2) I think in philosophy, Freud's theory is significant even though it turns out to be incorrect. I think so because Freudian theory has provided us with a possibility that we cannot know what is going on our mind. It is definitely possible that we negate that we have certain mental states and that these mental states really are our mental states. Even though Freud's version of unconscious turns out to be incorrect, therefore, Freud still would have opened up the possibility that we don't know our own mental states.

(3) I think Freudian theory is especially susceptible to such objection because of the very nature of unconscious. We just don't know what we have in our unconscious, and we can't check it. For example, Freud diagnosed that Dora was sexually aroused to Herr K. Dora vigorously rejected that diagnosis, but Freud replied by saying that there is no 'no' in unconscious. Dora's conscious state cannot help us verify the mental state. But if one's conscious cannot help us identify their own mental state, then there isn't much that can do so. We never know whether Dora really hated Herr K or was in fact unconsciously aroused by Herr K (or so the objection goes). I think this peculiar nature of unconscious makes the objection more pressing to Freudian theory (although I think the objection ultimately fails).

(4) I'm happy that you found my comment helpful. If you are interested and haven't read it yet, I suggest that you read Freud's essay "Negation." It is a very short essay yet contains the core of Freudian philosophy.

1개의 좋아요

I really appreciate your kind answer. I will definitely read Freud's essay "Negation". Hope you are well in this weather.

"왜 프로이트는 살아남는가?"라는 제목의 글도 한번 읽어볼만한 것 같습니다.

2개의 좋아요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유료라서 앞부분만 겨우 읽긴 했는데요(죄송), 뉴요커에 기사가 나간 후로 이 기사를 반박하는 다른 기사 등이 있고...논란이 이렇게 지속되는 힘을 여전히 프로이트는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시조를 부정하면 그 아래도 다 부정되니까 여전히 프로이트를 지키려는 사람들도 있는 것 같고요, 정신분석학이 프로이트만의 것은 아니니 자신들의 작업은 프로이트와 별 상관 없다고 보는 견해도 있는 것 같네요. 제 생각에는 알게 모르게 프로이트가 자신의 영향력을 현대 문명 여기저기에 워낙 깊숙히 행사해서 쉽게 제거하기 어렵게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wildbunny 님의 도움 감사드립니다.^^

1
"지금쯤은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이 주류 심리(과)학의 일부로 인정받고 있지 못 하다고 딱 잘라 말하기 곤란하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90년대 말부터 프로이트의 이론들의 과학성을 옹호하는 학술적 작업이 주류 심리(과)학 내부, 특히 주류 정신의학 내부에서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다음 웹페이지에 그 학술 작업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위 웹페이지에 링크되어 있는 글 중 심리(과)학에 문외한인 이가 읽을 만한 글은

Therapy wars: the revenge of Freud

입니다.

위 웹페이지에 링크되어 있지 않은 글 중에서는 역시 다음 가디언 글들을 추천합니다.

100 years old and making a comeback – Freud’s theories of the unconscious

How we feel about Freud: Susie Orbach and Frederick Crews debate his legacy

지젝의 다음 글도 the undying relevance of Freud 을 주장하는 글입니다만 (저를 포함해) 지젝에 (충분히) 입문되어 있지 않은 이들은 (온전한) 이해가 쉽지 않은 글입니다.

Freud Lives! (By Slavoj Žižek)

2
100 years old and making a comeback – Freud’s theories of the unconscious (Mark Vernon)
100년 된 것이 컴백하고 있다 -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들 (마크 버논)

The unconscious has had a bumpy ride since Sigmund Freud first described the extent of his discoveries in a seminal paper published 100 years ago this month. Sceptics sneer at its mention, assuming it’s as discreditable as penis envy. Others, who sense the father of psychoanalysis was on to something, prefer to hedge their bets and not be tarnished by Freud’s mixed reputation: they refer limply to the subliminal or subconscious. Yet it could be the case that far from being past its sell-by date, the time of the unconscious is yet to come.

무의식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100년 전 이맘때 출간한 한 핵심 논문에서 그의 발견들의 범위를 처음으로 기술한 이래 부침을 겪어 왔다. 회의론자들은 그것이 남근 선망과 마찬가지로 신용을 떨어뜨리는 것이라고 가정하면서 무의식 운운을 비웃는다. 정신분석의 아버지가 [진짜 있는] 무엇인가를 향하고 있었음을 알아채는 다른 이들은 양다리를 걸쳐 프로이트의 착잡한 명성에 의해 오명을 뒤집어쓰는 것을 피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들은 맥없이 잠재의식 운운한다. 그렇지만 무의식의 유통기한이 지났기는커녕, 이제야 무의식의 시대가 시작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The reasons are twofold: science and necessity. First, neuroscience has demonstrated conclusively that there’s far more going on in the mind than the owners of those minds are generally aware. Mark Solms, a professor of neuropsychology and psychoanalyst who has pioneered much of the effort to test Freud’s findings against the neuroscientific, often points out that the conscious mind is capable of attending to six or seven things at once, while the rest of the nervous system is performing thousands. In that light, it seems perverse to deny that much of psychic life lies over the horizon of our awareness, doubly so when you consider experiences such as dreaming and slips of the tongue, or ordeals from infancy that can’t be remembered and yet demonstrably shape adult life.

그 이유들은 이중적이다: 과학과 필요. 첫째, 신경과학은 마음에서 그 마음의 소유자들이 일반적으로 알아차리고 있는 것들 훨씬 이상의 것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실하게 입증했다. 프로이트의 발견들을 신경과학에 비추어 시험하려는 노력의 상당부분을 선구적으로 수행한 신경심리학 교수이자 정신분석학자인 마크 솔름즈는 종종 의식적 마음은 동시에 여서 일곱 가지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는 반면 신경계의 나머지는 수천 가지 일을 수행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 점에서 보면, 심적 생활의 상당 부분이 우리 자각의 지평 너머에 있으며, 꿈이나 말실수, 또는 기억될 수 없지만 명백히 성인이 된 후의 삶을 모양 짓는 유아기의 시련 같은 경험들을 고려하면 더더욱 그렇다는 것을 부인하는 것은 부당해 보인다.

So the real debate, today, is whether the mechanisms that Freud ascribed to the unconscious – the so-called dynamic unconscious – were right. Take repression, the purposeful forgetting of memories that subsequently return as neurotic or psychotic symptoms. Freud argued this happens because an experience or thought is unpalatable or overwhelming, whereas cognitive psychology tends to resist such a notion. It prefers a static conception of unconscious contents. Memories can be lost, for sure, and linked to unexplained symptoms. But those symptoms cannot be read in meaningful or symbolic ways as Freud and his followers have contrived in the “talking cure”.

따라서 오늘날의 진짜 쟁점은 [무의식의 존재 여부가 아니라] 프로이트가 무의식에 귀속시킨 메커니즘들 - 소위 동태적 무의식 - 이 맞는지 여부이다. 억압, 즉 신경증이나 정신병적 증상들로 그 후 계속 귀환하는, 기억들의 의도적 망각을 예로 들어 보자. 프로이트는 이것이 어떤 경험이나 사고가 불쾌하거나 압도적이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주장했던 반면 인지 심리학은 그러한 의견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인지 심리학은 무의식적 내용들에 대한 정태적 개념화를 선호한다. 확실히, 기억들은 상실될 수 있고 [달리는] 설명되지 않는 증상들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증상들은 프로이트와 그의 동료들이 “상담 치료”에서 도모한 의미심장하거나 상징적인 방식들로 해독될 수 없다.

The science, though, is building to challenge this view. One line of research examines certain amnesic conditions in which patients fabricate memories and deny they can’t recall what actually happened. Such confabulations have been shown to follow the rules that Freud identified in a dynamic unconscious. They carry meaning. Alternatively, there are those who suffer from paraphasia, a syndrome in which forgotten words are substituted by others. The substitutions similarly show patterns that mirror those Freud detected in dreams and slips. The evidence is that repression is a key characteristic of the unconscious.

그렇지만 과학은 이 견해에 도전하기 시작하고 있다. 한 연구 노선은 환자들이 기억들을 꾸며내 그들이 실제로 일어났던 것을 떠올릴 수 없음을 부인하는 기억상실 상태를 검토한다. 그러한 [환자와 연구자 사이의] 허물없는 대화들은 프로이트가 동태적 무의식에서 확인한 규칙들을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어 왔다. 그것들은 의미를 나른다. 달리, 부전(不全) 실어증, 즉 망각된 낱말들이 다른 낱말들로 대체되는 증후군에 시달리는 이들도 있다. 그 대체들은 유사하게 프로이트가 꿈과 말실수에서 간파했던 것들을 반영하는 패턴들을 보여준다. 그것은 억압이 무의식의 핵심적 특징이라는 증거이다.

The second reason that the unconscious is worth exploring has to do with medical necessity. Take the phenomenon of medically unexplained symptoms. These are widespread and everyday. In her recent book, It’s All in Your Head, neurologist Suzanne O’Sullivan reports that up to a third of people who go to the doctor have them. Their distress is real; the patient is not making it up. And yet no biological cause can be found. When you consider how much this costs – one 2005 study for such psychosomatic disorders estimates an annual cost of over $250bn in the US alone – it’s clear that any reasonable candidate for explanation should be investigated with urgency.

무의식이 탐구할만한 가치가 있는 둘째 이유는 의학적 필요와 관계있다. 의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증상들을 예로 들어 보자. 이것들은 만연해 있고 일상적이다. 자신의 최근 저서인 <그것 모두는 당신 머리 속에 있다>에서 신경학자 수잔 설리반은 의사를 찾는 사람들의 삼분의 이까지가 그런 증상들을 갖고 있다고 밝힌다. 그들의 심통(心痛)은 진짜다; 환자는 그것을 꾸며내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아직 아무런 생물학적 원인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 증상들에 얼마나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지 고려하면 - 미국에서의 그러한 정신신체 장애들에 대한 한 2005년 연구는 일년간 비용이 2,500억 달러에 달한다고 평가한다 - 어떤 것이든 그것들을 설명해줄 수 있는 합당한 후보가 긴급히 조사되어야 함은 분명하다.

The unconscious is one candidate, and conversion disorders provide a case in point. Also known as hysteria, these too are remarkably prevalent. All neurology clinics, for example, will have on their books many individuals with lives severely limited by seizures, but for whom an EEG reveals no epileptic activity in the brain. Other patients will be impaired by breathlessness, blindness, pain, paralysis. As O’Sullivan admits, even though there’s now technology to see inside the brain, the science is barely providing leads, let alone explanations.

무의식은 후보 중 하나이며 전환(轉換) 장애들은 딱 들어맞는 사례이다. 히스테리로도 알려져 있는 이것들 또한 현저히 만연해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신경증 상담소들의 환자명부에는 발작에 의해 극심하게 제한된 생활을 하고 있지만 뇌파 검사를 해도 뇌에서 아무런 간질 활동도 발견되지 않는 수많은 개인들이 기재되어 있을 것이다. 숨 가쁨, 눈 멈, 고통, 마비에 의해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는 환자들도 있다. 설리반이 인정하는 것처럼, 현재 뇌 속을 들여다보는 기술이 있기는 하지만 과학은 설명을 제공하고 있지 못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실마리조차 거의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But Freud’s central idea on conversion disorders – namely that a trauma, or perceived trauma, lies at the origin – is now routinely shown to have clinical efficacy. At a recent debate on this subject at the Freud Museum in London, Richard Kanaan, a neuropsychiatrist, and Stephanie Howlett, a psychotherapist, made the case. When you examine patient histories carefully – which of course takes time, training and money – the dissociations and meaning of the symptoms often emerge. They advise treating patients across disciplines: Howlett works in conjunction with psychologists, physiotherapists and neurologists. As Kanaan put it, if Freud had referred to 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ather than hysteria, he would now be remembered as a pioneering hero.

반면 전환 장애에 대한 프로이트의 중심적 견해 - 즉 하나의 외상(外傷), 또는 지각된 외상이 전환 장애의 시발점에 있다는 견해 - 가 임상적 효력을 내고 있음이 뻔질나게 확인되고 있다. 런던의 프로이트 뮤지엄에서 이것을 주제로 해 개최된 한 최근 토론회에서 신경정신과학자 리처드 카난과 정신치료의 스테파니 하울렛은 이 점을 입증했다. 환자들의 이력을 주의 깊게 검토하면 - 이것은 물론 시간, 훈련 그리고 비용을 요구한다 - 종종 [의식 상의] 분열들, 그리고 증상들의 의미가 드러난다. 그들은 학제적 접근을 통해 환자들을 치료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하울렛은 심리학자들, 물리치료사들 그리고 신경학자들과 협동한다. 카난이 말하는 대로, 프로이트가 히스테리 대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라고 말했다면, 그는 지금쯤 개척 영웅으로 기억되고 있을 것이다.

No one is saying that the unconscious is a magic bullet. These are often complex conditions. Freud himself stressed that working with the unconscious is painstaking precisely because it is unconscious. Further, psychoanalysis has itself radically revised Freud’s original conclusions. But it now holds a century of wisdom on engaging this hidden and sometimes devastatingly powerful part of ourselves. Freud believed his work was only a beginning. Scientific research and sheer human need suggest we should energetically continue what he started.

무의식이 마법 탄환이라고 말하고 있는 이는 없다. 사태는 종종 복잡하다. 프로이트 자신은 무의식을 다루는 것은 바로 그것이 무의식이기 때문에 힘들다고 강조했다. 더욱이, 정신분석 자체가 프로이트의 원래 결론들을 근본적으로 수정해 왔다. 그러나 우리 자신의 이 숨겨져 있고 때로 파괴적으로 강력한 일부를 다루는 지혜가 등장한지도 한 세기가 지났다. 프로이트는 자신의 연구가 시작일 뿐이라고 믿었다. 과학적 연구와 순수한 인간적 필요는 우리가 그가 시작했던 것을 정력적으로 계속해 나가야 함을 시사한다.

6개의 좋아요

다양한 article들을 소개해 주시고, 가디언지의 기사까지 번역해 주셔서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cittaa 님. 제가 가지고 있던 의문이 하나 해소되는 느낌이에요. 많이 느끼고 배우게 되었어요.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1) 조심스러운 견해이긴하지만, 주류 심리학이라는 단어는 오해의 소지가 있어보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환자의 (비-신경학적 이상 증상인) 정신과적 문제를 치료/진단하는 임상 심리학(clinical psychology)에서는

상황에서,

이기에, 프로이트의 이론을 "일종의 실용주의적 측면"에서 수용/인정하는 듯합니다. 실제 뇌며 마음이 어떻든 간에, 일단 이 이론을 가정하고 치료하니 되더라, (그러니 어느정도 타당성이 있는 것 아니겠나?) 라는 것이죠.

한편 신경과학, 인지과학처럼 보다 실질적인 마음의 생물학적 기반에 집중하는 학문에서는 조금 미심쩍게 보는 것 같습니다.
이제 (과거 행동주의 시절과 다르게) 무의식이 있다는 것은 부정하기가 힘들테지만, 과연 이 무의식이 "프로이트의 이론"처럼 되어있을지는 의문이니깐요. 지금은 무언가 과학적인 탐구를 하기에 한계가 있으니, 다들 어느정도 불가지론적 입장을 고수하는 듯합니다. (그러니 프로이트에 대한 반대 의견보다는 찬성 의견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져 보이는 것 같기도 하고요.)

3개의 좋아요

@Mandala 님의 신중한 견해에 저도 동의합니다. 그런데 제가 깊이 알지는 못하지만, 현재 정신의학계에서는 거의 물리주의적 관점이 지배적인 것 같아요. 한국 정신의학계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미국의 정신의학계도 그런 쪽으로 많이 경도되어 있고요. 그래서 임상에서도 상담보다는 약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되고요. 의대생들하고 이야기 나눠봐도 '뇌가 전부'라는 말들을 하더군요...

2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