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데이비슨의 무법칙적 일원론이 자유의지와 결정론의 양립가능성을 부정하는 결과논변에 대한 하나의 반박으로 인정돼야하지만, 그 반박이 성공적이지는 않다고 주장하는 논문을 거칠게 요약하고 제 나름대로 비판한 글입니다. 읽고 피드백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 텍스트 : 홍지호. (2005). ‘결과논변’과 무법칙적 일원론. 철학적분석, (11), 33-60.
결과논변이란 결정론이 참이라면 우리의 행위들은 과거의 사건들과 자연법칙에 따른 결과물이므로 자유의지란 성립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를 논리적 필연성 기호라고 하고, 행위자가 존재하기 전의 특정한 시간의 세계 상태를 P, 그리고 L을 자연법칙들의 연접이라고 하고 그 시각 이후의 또 다른 특정 시각에서 참인 임의의 명제를 F라고 하고, N(x)를 "X는 참이고, 모두가 X가 참이라는데에 자유롭지 않다"를 나타내는 기호라고 하며 N(x)와 □(x ⊃ y)로부터 N(y)를 도출하는 것을 정당하다고 가정하는 베타규칙을 상정하면 다음과 같은 논증이 성립한다.
P1. □[(P&L) ⊃ F] (결정론 전제)
P2. N(P&L) (과거 및 법칙 고정성 전제)
C1. NF (P1과 P2, 그리고 베타규칙)
이 논변을 풀어서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P1은 P와 L이 동시에 참이고, F가 둘이 동시에 참일 때 참이라는 것은 논리적으로 필연적이다. 그리고 P2는 N&L이 모든 사람에게 참이라는 것이고, 그에 따라 나온 결론이 F는 모든 사람에게 참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데이비슨은 무법칙적 일원론으로 대항한다. 무법칙적 일원론은 세 가지 전제를 조화시킨다.
(1) 어떤 정신적 사건들은 물리적 사건들과 인과적으로 상호작용한다.
(2) 인과성이 있으면 법칙이 있다.
(3) 정신적 사건들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엄밀한 결정론적 법칙은 없다.
이 세 가지를 조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법칙이 사건 기술들 사이의 관계라는 것을 포착하는 것이다. 사건을 기술하는 방식에 따라 그 사건이 법칙에 포함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정신적 용어로 기술된 사건은 법칙에 포섭될 수 없지만 그것을 물리적 용어로 재기술하면 법칙에 포섭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주장할 경우 실체이원론을 주장하지 않으면서도 정신적 사건의 무법칙성을 지킬 수 있다.
이 무법칙적 일원론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정신적 사건들은 법칙과 과거 사건에 포섭되는 사건들이 아니기에 자유의지도 이런 정신적 사건 중 하나로서 유지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주장할 경우 다음과 같은 반박이 제기될 수 있다. 데이비슨의 논변을 따르면 데이비슨은 정신적 사건에 대한 결정론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다. 즉, 데이비슨은 결정론과 자유의지가 양립할 수 없다는 양립불가론을 지지한다는 것이다. 이런 지적에 대해 데이비슨은 정신적 사건이 물리적 사건으로 재기술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고 반박할 경우, 다시 그 재기술된 물리적 사건은 결과논변에 포섭된다는 점에서 데이비슨은 결정론과 자유의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데 실패하게 된다.
그런데 이 반박은 "재기술"에 대한 중요한 사실을 은폐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재기술이 환원이 아니라는 것이다. 데이비슨은 분명 정신적 사건, 정신적 속성 언어를 활용하여 기술된 사건이 결정론에 포섭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것은 물리적 사건으로 재기술되고, 그 두 사건은 물리적 차원에서는 동일하지만 속성적 차원에서는 동일하지 않다. 그렇기에 정신적 사건이 물리적 사건으로 재기술 된다는 것이 곧바로 정신적 사건이 결과논변에 포섭된다는 주장은 데이비슨의 논지에 대한 왜곡 내지는 은폐를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물리적 사건들로 재기술 가능한 정신적 사건들이 바로 자유의지가 성립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 물론 이것을 통해 문제가 전부 해결된 것은 아니다. 이렇게 주장할 경우 정신적 사건이 물리적 사건과 인과적으로 상호작용한다는 전제 자체가 의심스러워질 수 있다. 정신적 사건이 물리적 사건에 영향을 주고 정신적 사건을 배제할 경우 물리적 사건의 결과가 달라졌을지에 대해서 제대로 해명하지 못한다면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것이다. 결국 이 문제는 다시 데이비슨의 무법칙적 일원론이 일종의 부수현상론이 아니냐는 문제로 귀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