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년 동안 게시글 눈팅만 하던,, 철학아마추어 19살 학생입니다
수능이 끝나서 본격적으로 철학 공부를 좀 해보고 싶은데
과학철학이나 환경철학 관련된 자료를 찾기가 어려워서 조언 구해봅니다..
혹시 과학철학 쪽은 어떻게, 무엇을 중심으로 공부를 시작해보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1년 동안 게시글 눈팅만 하던,, 철학아마추어 19살 학생입니다
수능이 끝나서 본격적으로 철학 공부를 좀 해보고 싶은데
과학철학이나 환경철학 관련된 자료를 찾기가 어려워서 조언 구해봅니다..
혹시 과학철학 쪽은 어떻게, 무엇을 중심으로 공부를 시작해보면 좋을까요?
수능 치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제가 과학철학 전공자는 아닙니다만, 국내에 번역된 과학철학 관련 도서 중에 처음 보시기에 괜찮은 것으로 몇 가지를 추천드리자면
이 두 책을 권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금 더 본격적인 책으로는
정도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은 어떻게 공부할지를 막연히 생각하기보다 처음 잡고 읽는 책을 (1) 즐겁게, (2) 꼼꼼히 읽어보면서 느낌을 알아가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추천 감사합니다!! 즐겁게 읽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과학을 학부 때 전공했던 (철학 비전공 출신) 과학철학 전공자입니다.
위에 추천해주신 책들이 입문서로 아주 훌륭하다고 생각하며, 저도 피터 고프리스미스의 <이론과 실재>로 과학철학을 접했습니다.
혹시나 사람에 따라 조금 다른 방향에서 과학철학을 접근하는게 편할 수도 있어, 다른 과학철학 관련 번역서들도 추천드려봅니다.
전반적으로 위에서 소개주신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와 <이론과 실재> 사이 정도의 난이도입니다.
사실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도 읽는 목적에 따라 아주 어렵게 읽을 수도 있는(?) 책이라서요, 적절히 관심 분야에 맞게 병렬로 독서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최근 과학철학은 과학자들의 연구 사례에서 철학적 함의를 끌어내는 연구가 많습니다.
이런 방향으로의 접근은 논리학적 사전지식을 고전적인 과학철학보다는 적게 요구하기 때문에 비전공자가 읽기에 좋습니다.
위의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를 쓰신 장하석 교수님의 저서들이 많이 번역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온도계의 철학이 비전공자가 읽기에 더 쉬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고전적인 과학철학은 과학 이론을 "입증"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설명"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더 나아가서 "과학"이란 무엇인가? 같은 질문들에 대한 답변입니다.
해당 고전적인 내용들은 최근 한국 과학철학 교수님들이 직접 쓰신 책들이 <이론과 실재> 등을 읽고 난 이후에 추가적으로 읽기 좋았습니다.
<입증> <인과> <설명> <과학혁명> 등 시리즈가 있습니다. 내용은 조금 어렵습니다;;
혹은 과학철학에서 심리철학으로 확장하는, 약간은 교양서 느낌의(?) 책도 있습니다.
위의 <이론과 실재>를 쓰신 피터 고프리스미스의 저서입니다. 다큐멘터리 같은 책이라 과학철학에서는 이런 공부도 하는구나, 하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후속작도 두 권 더 번역되어 있습니다.
환경철학에 관심이 있으시다길래 추천드리는 목록입니다.
과학철학과 환경철학이라고 하셨기 때문에, 아마도 분석철학과 영미윤리학 계통의 환경윤리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아래 책이 전반적인 환경윤리 논의를 접하기에 좋았습니다. 난이도도 대학교 학부 교양~전공 수준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환경철학을 이해하려면 과학기술철학적 기반이 필요하다고 느끼실 수도 있어, 추가로 소개드립니다.
해당 책에도 소개가 되어있지만, 환경철학은 대륙철학 기반의 기술철학과 영미분석철학 기반의 윤리학/과학철학이 섞여 있습니다.
윤리학에서는 대표적으로 피터 싱어의 실천윤리학과 동물해방이 있습니다.
과학철학/기술철학 기반의 난이도가 너무 높지 않은 책은 다음이 있습니다.
다양한 추천 감사합니다 !! 원래 분석철학에 관심이 많아서 추천해주신 책들 모두 재밌어보이네요,, 재밌게 읽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