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학 기간동안 읽을 책들

(슈토이프의 현대 인식론 입문, 김재권 선생님의 심리철학은 배송중입니다)
건강 문제때문에 대학에 들어가자마자 1년 휴학을 하게 되었는데, 할 것도 없겠다 책이나 왕창 읽으려고 합니다. 저는 뭔가 머릿속에서 끼워맞추기하는 학문이 실험하면서 실제로 움직이는 학문들보다 매력적이어서, 수학이랑 철학에 관심이 많은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수학책, 철학책 중에 뭐가 더 읽기 어렵냐고 하면 아무래도 철학책인 것 같습니다. 형이상학 강의, 철학적 논리학, 현대 언어철학 모두 읽는데 절반을 넘기질 못하고 접게 되더라구요. 수학책은 꾸준히 잘 읽히는데, 제일 큰 문제는 제가 철학책 특유의 화법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수학책에서 주로 사용하는 화법인 “여기 규칙이 있고, 이 규칙을 보면 무조건 이 생각이 떠오를 수 밖에 없어”식의 설명을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이에 비해, 철학은 “여기 여러가지 생각들이 많은데, 나는 이거 골라볼 거고 타당하다는 증거가 많으니까 설득력 있는 의견으로 받아들여줘” 식의 논법이라,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사람의 마음이 되어보는 게 많이 어렵고, 이때문에 읽을수록 재미도 점점 줄어들더라구요.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면서 직접 그 발상의 필요성을 느끼면서 공부하면 참 재미있을 것 같은 학문인데, 혼자 공부하다 보니 의문도 해결되지 않는 것이 많고 흥미도 점점 사라지는 기분이 드네요. 혹시 저처럼 수학과 철학에 동시에 관심 많으신 회원분들께서 비슷한 고민을 하셨던 적이 있으신 분이 계신가요? 있으시다면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7개의 좋아요

수학책이 더 읽기 쉬우시다면 스피노자의 <에티카>가 접근성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1개의 좋아요

와 알짜배기들이네요! 서강올빼미에서 같이 공부할 인원을 모아보시죠! 매주 스터디를 위해 읽어가야할 분량이 정해지면 좋은 강제력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같은 흥미가 있는 다른사람과 교류하며 공부하면 더 나을거에요.

2개의 좋아요

수학 전공자이신가요? 철학적 논리학과 현대언어철학은 저도 읽는 중인데 여기서 보니 반갑네요

1개의 좋아요

훌륭하네요. 책을 한 권을 골라서 깊이 있게 여러번 읽으라고 권하고싶습니다.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