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기초 지식이 매우 다를 거에요. 철학과 박사생에게 요구되는 논리학 이수조건은 학교 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완전성 정리 내지는 불완전성 정리를 포함하는 약간의 메타정리까지의 내용을 기본으로 조금 전통적인 학과는 양상논리가 추가되는 정도입니다. 이마저도 요즘은 논리학 요구조건이 아니라 형식적인 방법론 요구사항 등으로 많이 변경되어 통계학 같은 걸로도 이수조건을 채울 수 있게 해두는 곳이 많아졌어요. 특히나 인식론, 심리철학, 윤리학에서도 실험철학과 같은 방법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경험 연구를 인용하거나 실제로 경험연구를 하는게 요즘은 대세이다보니 이와 같은걸 하려고 한다면 사실 논리학보다는 통계학이나 프로그래밍을 미리 공부해두시는게 여러모로 도움이 됩니다.
3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