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에도 답변을 달아주셨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매번 감사합니다.
우선, 제가 집합론을 언급한 것은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에 있는 집합론의 범위를 뜻한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초급논리학이라는 말은 처음 접해봤습니다. 대학교 학사 과정에서 다루는 논리학을 말씀하시는 것 같기도 한데 저는 철학이 아닌 다른 학과를 전공 중이어서 초급논리학과 초급양상논리학이 어느 정도의 범주와 깊이를 말씀하시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초급논리학에 해당하는 범주가 혹시 어떻게 될까요? ‘코어논리학’이라는 책으로는 부족한지, 부족하다면 무슨 자료를 어느 정도 깊이로 봐야할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중고등학교 수준의 집합론, 명제논리, 1차술어논리, 무모순성과 완전성 개념, 가능과 필연 개념, 튜링기계 개념, 무한집합의 크기, 몇몇 패러독스, 직관주의 논리가 배중률을 거부한다는 것, 모순허용논리와 다치논리 등의 비고전논리가 있다는 것, 변증법의 개념… 지금 생각나는 저의 논리학 관련 배경지식은 이 정도인 것 같습니다.
추가로 마이클 루의 ‘형이상학 강의’, 김재권의 ‘심리철학’과 같은 책들을 읽을 때 논리학과 관련한 배경지식이 부족해서 이해가 안 된 적은 많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혹시 조금 더 구체적인 조언을 구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