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형이상학에 대한 두 측면 해석

칸트의 형이상학에 대한 ‘두 측면 해석(two-aspect interpretations)’을 대표하는 연구서나 논문으로 어떤 것을 읽으면 좋을까요? 앨리슨이 이 주제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자라고 알고는 있지만 아직 읽어본 적은 없네요. 혹시 추천하시는 연구자나 텍스트가 있다면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4개의 좋아요

"두 측면 해석"도 강조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갈래가 좀 나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Allison (2004)은 두 측면 해석의 고전이면서도, 강조점을 "인식론적"인 것에 좀 더 두면서 물자체에 대한 꽤나 modest 한 독해에 속합니다. 반면 두 측면 이론 중에서도 소위 물자체적 측면을 대상의 내재적 속성 (intrinsic properties)으로 독해하는 이들은 좀 더 "형이상학적" 독해에 가까워집니다. Langton (1998)이 이 지점에서 많이 읽히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형이상학적 측면을 더 강조하게 되면, 즉 대상의 내재적 속성의 역할을 더 인정하게 되면 Van Cleve (1995)와 같이, 꽤나 "두 세계 해석"과 유사한 지점에까지 이릅니다.

Allison, Henry E. (2004).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An Interpretation and Defense. Yale University Press.

Langton, Rae (1998). Kantian humility: our ignorance of things in themselv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Van Cleve, James (1999). Problems from Kant. New York, US: OUP Usa.

7개의 좋아요

CPR B65-66 이 관련이 있겠군요.

4개의 좋아요

오오, 감사합니다!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