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가 용모가 뛰어난 청년들을 좋아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죠.
그런데 <국가>를 보니 이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구절이 있네요.
소크라테스는 통치자를 기르기 위한 과목(산술, 기하 등)을 얘기한 후, 누가 그러한 과목들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해 논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Do you remember what sort of people we chose in our earlier selection of rulers[자네는 앞서 통치자의 선발에 있어서 우리가 어떤 사람들을 선별했는지 기억하고 있는가]? (535a6)
Well then, as regards the other requirements too, you must suppose that these same natures are to be chosen, since we have to select the most secure, the most courageous, and—as far as possible—the best-looking[여느 경우들에는 그런 성향들을 지닌 사람들이 선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게나. 즉 가장 견실한 자들과 가장 용감한 자들을, 그리고 되도록이면, 가장 잘 생긴 자들을 선택해야만 하니까 말일세.] (535a9, 강조는 저의 것)
여기서 535a6에서 언급된 "앞선" 선발은 402d1-4를 지칭하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n, if the fine habits in someone’s soul and those in his physical form agree and are in concord with one another, so that both share the same pattern, wouldn’t that be the most beautiful sight for anyone capable of seeing it? (강조는 저의 것)
결국 플라톤은 스승의 가르침에 따라 자신이 미남이라 철인 통치를 시도할 자격이 있었던 것이네요.
아래는 소크라테스와 그의 아주 유명한 제자인 알키비아데스를 묘사한 그림입니다. (Alcibiades Being Taught By Socrates, painted by Marcello Bacciarelli (c. 1731–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