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로슨은 망각되었는가?

작년 말부터 스트로슨의 글들을 조금씩 찾아 보고 있습니다. "On Referring" 같은 고전적인 논문은 석사 초년생 시절에 읽었고, The Bounds of Sense도 석사 시절에 김영건 선생님의 대학원 수업을 통해 읽었지만, Individuals는 작년에 처음 읽어보았네요.

종종 분석철학의 역사와 관련된 책들을 보면, 1960년대 무렵부터 지금까지 계속되는 '분석 형이상학'의 부흥을 주도한 인물로 콰인, 스트로슨, 루이스, 크립키가 언급되고는 합니다. 콰인은 존재론적 개입 기준을 제시하여서 형이상학 논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고, 스트로슨은 칸트적 사유에 근거한 기술적 형이상학을 수행하여 관심을 얻었고, 루이스와 크립키는 가능세계와 본질 개념에 대한 새로운 논의 지평을 열어 형이상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고 하죠.

그런데 이 철학자들 중에서 스트로슨이 오늘날에는 제일 많이 망각된 것 같습니다. 칸트 철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을 제외하면, 요즘 스트로슨을 진지하게 읽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하네요. 스트로슨의 일상언어철학도 이론 구성적 취향을 지닌 오늘날 언어철학에서는 주목 받지 못하고, 기술적 형이상학도 주변 형이상학 전공자들 사이에서 전혀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 같아서요. (심지어 스트로슨의 칸트 연구조차 '고전'이라고 평가받기는 하지만 앨리슨 이후로는 '구식'으로 취급되는 것 같습니다.)

저 역시 스트로슨을 철학적으로 진지하게 발전시키려고 읽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몇 가지 철학사적 이유와 취향 때문에 읽는 것이지만, 그래도 스트로슨 같은 철학자가 망각되는 것은 좀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글을 읽다 보면, 스트로슨이 상당히 논의 폭이 넓고, 체계적이고, 통찰력 있는 주장을 많이 하는 인물인 것 같아서요. 일단 "우리의 개념적 구조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Strawson, 1959: 9)을 밝히겠다는 기술적 형이상학의 기획 자체가 굉장히 야심찬 데다, 그 기획을 '칸트'라는 철학사의 거인으로부터 끌어오는 방식도 일반적인 분석철학자들 답지 않죠.

또 그렇게 수행된 기술적 형이상학에서 스트로슨이 제시하는 단칭어 이론도 독특한 면이 있고요. 크립키, 도넬란, 카플란 같은 외재주의적이고 인과주의적인 철학자들이 비슷한 시대에 제시한 직접적 지시 이론과는 상당히 다른 특징이 있죠. 스트로슨은 대상에 대한 지시를 위해 '시공간적 위치'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하는데, 저는 이 논의가 칸트의 초월론적 감성학이 오늘날에도 꽤나 강력한 힘을 지닐 수 있다는 구체적인 예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즉, 스트로슨에 따르면, 특정한 지각 상황에서 "이것"이라고 지칭된 대상은 다른 지각 상황에서 "저것"이라고 다시 지칭될 가능성이 있어야 합니다. 전체 시공간에서 '이' 위치와 '저' 위치가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어떠한 직접적 지시도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이 스트로슨의 주장이죠. "이것"이라는 말은 "저것"이라는 말과 함께 연결될 때에야 시공간적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보니, 단독적으로 "이것"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정확히 무엇을 지칭하는지가 드러나지 않는 거죠. 스트로슨의 이런 논의는 '직접적' 지시조차도 '개념적'으로 매개되어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거죠.

여하튼, 저는 스트로슨이 여전히 꽤나 재미있는 철학자라고 생각하는데, 스트로슨의 형이상학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아서 조금 아쉽네요. 영어권 형이상학 부흥의 시발점인데도, 이제는 형이상학계에서 잘 언급되지도 않고, 국내에는 스트로슨의 형이상학과 관련된 논문도 거의 없어서요.

12개의 좋아요

저도 스트로슨은 칸트 관련해서 들어보고, moral responsibility에 관련해서 들어봤지만, 스트로슨 형이상학 연구에 관해서는 딱히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예전에 서점에서 Individuals한 번 본 게 끝이네요.

3개의 좋아요

저도 최근에 여러 글들을 보면서 스트로슨의 칸트 해석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한번 The Bounds of Sense를 '직접' 읽고 판단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특히 YOUN님께서 언급하신 '시공간적 위치'에 관한 지시이론도 상당히 흥미롭네요.

4개의 좋아요

스트로슨의 저 책이 여전히 칸트 연구에서는 가장 많이 인용되는 고전이긴 한 것 같아요. 물론, 앨리슨이 스트로슨의 해석을 비판해서 지금은 스트로슨이 예전만큼 받아들여지지는 않는 것 같지만, 그래도 맥도웰은 그런 앨리슨을 비판하면서 스트로슨을 더 옹호하기도 하더라고요.

스트로슨의 지시 이론은 투겐트하트가 매우 중요하게 인용해요. 또 그 둘의 지시 이론을 바탕으로 최근에 클라우디오 코스타라는 분이 철학적 의미론에 대한 포괄적인 저서를 내기도 하였더라고요.

4개의 좋아요

어디선가 스트로슨의 The Bounds of Sense가 가장 많이 인용되는 칸트 연구서라는 수치를 보았던 것 같았더니, 이 게시물에서 본 것이었네요.

3개의 좋아요

스트로슨에 관심(만) 갖고 있는데 특히 individuals는 저도 올해 안에 읽고 싶네요ㅜ

아마 형이상학자들이 여기에 동의하지 않아서 그러지 않을까란 생각이..ㅋㅋㅋ
콜린 맥긴은 아예 기술적 형이상학은 형이상학이 아니라 잘못 라벨링된 심리학 또는 인류학이라고 평가하더군요.

3개의 좋아요

확실히 스트로슨의 저작 그 자체를 오늘날 진지하게 연구하는 작업은 거의 보지 못했지만, 의외로 지각철학 같은 분야에서는 스트로슨적-칸트적 냄새가 나는 곳이 꽤 있는 것 같아요. 지각경험에서 시공간의 역할이라던가 개념적 도식의 역할을 강조하는 경향이 여기에 속하겠죠. 저는 이것이 옥스포드에서 (특히 칸트) 철학을 가르쳤던 스트로슨의 영향을 통해 다른 옥스포드 출신 철학자들에게 퍼진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 생각나는 인물들만 해도 G. Evans, C. Peacocke, J. Campbell, Q. Cassam, J.McDowell이 있고 이 외에도 수많은 옥스포드 칸티안들이 있죠. 언급하신 직접적 지시에 대한 논의만 해도 에반스가 이걸 이어받고, 피콕도 이걸 이어받고, 이걸 맥도웰이 지시사 개념주의를 통해 이어받는... 뭐 그런 연결이 있는 것이죠.

직접적인 칸트연구에서는 사실 스트로슨이 많이 거론되기는 하지만 항상 "잘못된 해석"의 선례로 인용될 뿐 제대로 된 주목을 받지 못하는 것 같긴 합니다. 언급하신 맥도웰 역시 나중에 자신의 <마음과 세계>에서의 칸트비판이 스트로슨의 (잘못된) 칸트 해석에 전적으로 의존한 자신의 무지의 결과였다고 고백하죠 (물론 앨리슨의 해석에는 그 후로도 여전히 비판적인 것 같기는 합니다.)

4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