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질 리딩 리스트

요즘 본질에 꽂혀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갖고 있는 리딩 리스트를 조금 공유해볼까 합니다. 아주 간략하게 설명도 덧붙일게요. 하지만 리딩 리스트인만큼 모든 논문을 읽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부정확한 설명이 있을 수 있습니다.

Fine - Essence and Modality, Senses of Essence

Essence and Modality가 킷파인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본질이 필연성을 설명한다고 주장하는 페이퍼이지요. 그 유명한 소크라테스가 {소크라테스}의 원소라는 것이 필연적이지만 본질적이진 않다는 주장을 합니다 (조금 어렵기 때문에 Vetter - Modality Without Possible Worlds에서 요약해놓은 것을 보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 그대로 본질이 필연성을 주장하는 페이퍼기 때문에 본질에 대해서 많은 설명을 하지 않습니다. 두번째 논문이 본질에 대한 이해를 위해 쓰여진 논문입니다.

Denby - Essence and Intrinsicality, Teitel - Contingent Existence and the Reduction of Modality to Essence

킷 파인에 반박하는 논문들입니다 (다른 논문들은 다음에 설명할 리치의 논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덴비는 본질적 성질이 내재적 성질이라는 점에 기반하여 킷 파인의 반례가 실패한다고 하지요. 또 타이텔은 킷 파인의 주장이 modal logic 공리에 반한다고 주장을 합니다.

Leech - Essence and Mere Necessity
파인, 덴비, 타이텔이 본질과 필연성 중 하나를 다른 것으로 환원시키려는 시도를 하는 동안, 리치는 본질과 필연성은 별개의 개념이기 때문에 환원시키려는 시도를 하면 안 된다고 주장합니다. 이 논문이 여러 주장들을 요약도 해놨기 때문에 이 논쟁의 지도로 보기에도 굉장히 좋다고 들었습니다.

Rosen - Metaphysical dependence, grounding and reduction, Raven - Ground, Wilson - No work for a theory of grounding

본질에 대해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게 기반 개념입니다. 제 짧은 이해로는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겠네요. 하지만 확실히 관계가 있어보이긴 합니다.

Dasgupta - Metaphysical Rationalism, Raven - Explaining Essences, McDaniel - The 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 and necessitarianism

기반과 관련된 재밌는 주제는 충분이유율 (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이죠. 반 인와겐이 충분이유율에 대한 반박을 제시한 후로 충분이유율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일부 학자들에 의해서 '이유'가 원인이 아닌 기반으로 이해되면 충분이유율은 지켜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다스굽타와 레이븐의 논문이 이를 주장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맥 다니엘은 이런 주장에 반해, 반 인와겐의 주장을 조금만 바꾼다면 '이유'를 기반으로 이해하더라도 충분이유율에 충분히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일단 제가 아는 논문은 여기까지 입니다. 철학사를 나열하려면 진짜 끝도 없을 것 같아서 현대철학 논문들만 써놨습니다.

12개의 좋아요

Leech 교수님한테 형이상학 강의를 들었는데... 그 분 이름을 여기서 보게 될줄은 ㅋㅋ

1개의 좋아요

우와... 부럽네요. 리치가 독일철학과 형이상학으로 둘 다 유명해서 제가 롤모델로 삼고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입니다. 리치 밑에서 형이상학을 공부하셨다니, 정말 부럽네요.

1개의 좋아요

그렇게 대단한 분이셨나요? 독일철학과 형이상학에 별 관심이 없다보니 몰랐는데 ㄷㄷ;

1개의 좋아요

네, 엄청 대단하신 분입니다. 제가 주 전공이 헤겔이 아니라 칸트였다면 어떻게 하면 리치 밑에서 공부할 수 있을까 고민 엄청 했을 것 같네요.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