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감벤의 테러리스트?

고 김영건 선생님의 블로그를 둘러보다가, 요즘 관심 있는 아감벤의 『장치란 무엇인가』에 대한 서평(장치란 무엇인가 2)이 있어서 흥미롭게 읽어보았습니다.

당신께서는 도중에 이런 부분을 인용하고 계신데,

후기산업 민주주의의 시민이 주문 받은 것은 뭐든지 열심히 수행하면서도 일상적인 몸짓이나 건강, 휴식이나 일, 영양섭취나 욕망을 가장 미세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장치들에 의해 지휘되고 통제되도록 내버려둘 때, 권력은 이런 독도 약도 되지 않는 시민을 잠재적 테러리스트로 간주하게 된다. 전자지문에서 인상기록 사진에 이르기까지 인체인식 테크놀로지는 ... 유럽의 새로운 규범에 의해 모든 시민에게 부과된다. 이렇게 생각하면 비디오카메라를 통한 감시는 도시의 공적 공간을 거대한 감옥 내부로 변형시킨다. 당국의 관점에서 보면 보통의 일반인들만큼 테러리스트와 닮은 자도 없다.

이 대목을 읽으면서, 아감벤이 유럽에서 발생하고 있는 충격적인 사태로 묘사하고 있는 대목이, 한국에서는 너무나 일상화된 장치들임에 위화감이 느껴지네요. 그런데 이러한 통치장치들이 시민을 즉시 테러리스트로 전락시키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듭니다.

이에 대해서 선생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게 계십니다.

적어도 속죄 장치가 기능하기 위해서도 속죄할 수 있는 주체의 능동성이 전제되기 마련이며, 이 점을 인정한다는 것은 지적되는 것만큼 장치들의 구성력이 결정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가령 학교에서 피교육자들을 사회가 원하는 이념에 맞추어 제아무리 엄격하게 교육시킨다고 해도, 언제나 자유로운 영혼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실천적 처방"을 촉구하는 결론에는 동의하지 않지만, 선생님께서 지적하신 주체의 능동성에 대해서는 더 깊은 고찰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1개의 좋아요

(1)

한국처럼 전국민 지문 날인을 하는 국가는 유럽과 미국에서는 굉장히 드문 편이긴 합니다.

사실 저희야 한국에서 태어나고, 계속 이리 살았으니 별 문제 의식을 못 느끼지만 유럽/미국 사람들, 특히 국가권력의 비대함을 거부하는 입장인 사람이라면 굉장히 불편해할 포인트이긴 하죠.

(따져보면 한국이라는 나라는 정말 독특한 나라 중 하나입니다. 징병제도 그렇고, 전국민 지문 날인이라던다, 국경 검문을 이렇게 빡세게 하는 것이나. 어떤 의미에서 병영 국가라고 불리는게 참 적합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2)

이처럼 유럽이든 미국이든 어디든 자신이 가진 세계를 바탕으로 무언가를 평가한다는 한계/문제를 누구도 피할 수 없다는 점에서, 모든 견해 - 특히 사회적 맥락에 많은 영향을 받은 주장들을 (저는) 미심쩍게 보는 편입니다.

뭐 미국 교수 중에서 적어도 중국은 표면적으로/행정상으로는 소수민족을 보호하기 때문에, 인디언 말살을 추진했고 지금도 사실상 자연사멸을 바라는 미국 정부보다는 '도덕적으로 낫다.' 라고 주장하는 분도 계셨고
(개인적으로는 티베트와 위구르 그리고 좡족을 제외하면 꽤 타당한 이야기라 생각합니다.)

나이지리아 같은 국가에서는 서양권과 다르게 국가의 통일과 효율성을 위해 "공통어"를 강하게 밀어붙어야한다는 주장도 꽤 강한 호응을 받기도 하고

저희가 일반적으로 '옳다'고 생각했던 견해들이 다른 지역으로 가면 꽤 타당한 이유에서 '옳지 않다'고 부정되는 경우를 왕왕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것저것 두서 없게 쓰긴했지만, 아감벤도 사람인 이상 자신의 세계라는 한계 위에서 글을 썼을 겁니다.

6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