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학에 올리자니 아주 뻘소리인데 어디에 올려야할지 고민하다가 잡념에 올립니다. 잡념 수준도 아닌 글이지만요. 아무튼 "라면 먹고 갈래?"라는 것이 논리학적으로 보기엔 참 이상한 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게 통하는 사람들은 참으로 논리학적이지 못하군요!
이야기를 시작해보죠.
어떤 여성이 있습니다. 그녀는 논리학을 좋아하는 남자를 짝사랑하고 있습니다. 그 남자는 논리짝남 또는 논리썸남이라고 부를 수 있겠군요. 그녀는 용기를 내서 그에게 "라면 먹고 갈래?"라고 말해봅니다. 이는 의문문이지만 이를 진술문으로 바꿔서 의미를 보자면 "라면 먹고 & 집에 가라" 는 거 아니겠습니까? 하지만 논리썸남에게 하필 이런 말을 하다니요?! 그는 여기서 논리적 타당성을 따지고 듭니다.
"라면 먹고 집에 간다"라고 하면... !
당연히 기초 논리학 따위는 우스우신 분들이시니 알겠죠?
경우의 수는 4가지가 되겠군요.
여기서 '라면 안 먹고 집에 가는 상황'이라 합시다. 논리썸남은 이런 부당한 상황 받아들일 수가 없어요! 진술문이 부정확하다며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라면 먹고 집에 안 가는 것'도 거짓...
라면 안 먹고 집에 안 가는 것도 거짓...
유일하게 타당한 상황은? 라면 먹고 집에 가는 상황! 그래서 라면 먹고 그냥 집에 가버립니다! 얼른 집에 가서 성스러운 교수님이 내주신 논리퀴즈를 풀어야 하니깐요! 아 '쉽지 않네'라고 생각하는 짝녀였습니다.
물론 우리가 바라는 므흣한 상황은 라면 먹든 안 먹든 집에 가지 말라고...! 겠지만 논리썸남에게 그딴 건 중요하지 않아요. 논리적으로는 거짓입니다! 그걸 참을 수가 없어요!
하지만 여기서 여자는 포기를 모릅니다. 그녀는 짝남이 논리학을 사랑한다는 걸 잘 알고 그녀도 배우기 엄청 싫었지만 사랑의 힘으로 논리학을 공부했습니다. 이제 썸(?)남의 논리학으로 절여진 뇌를 잘 작동시키는 일만 남았군요!
그렇다면 "라면 다 먹으면 집에 갈래?(=라면 다 먹으면 집에 가)"라고 말하면 어떨까요?
그럼 항상 타당성을 추구하는 논리썸남은 다음과 같은 경우들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우선 논리적으로 라면 다 먹고 집에 가버리는 생각을 먼저 해버리는 논리썸남...! 아, 역시 만만찮아요! 근데 이거... 어쩔 수 없지 않습니까? 이게 제일 타당해보이니까요! 하지만 논리썸남은 다른 타당한 고려사항들이 있으니 좀 더 생각해보기로 합니다.
그가 만약 라면을 다 먹었는데 집에 안 간다면?! 아뿔싸 타당하지 않아요!
그렇다면 이번에도 썸녀는 실패하고 말겠군요...
만약 논리썸남이 라면을 안 먹었는데 집에 간다면? 전건이 거짓인데 후건이 참이군요! 아뿔싸! 또 썸녀는 실패했습니다. 쉽지 않네요!
그럼 만약 내가 라면을 안 먹었는데 안 간다면? 이건 성공했네요! 그나마 조건언의 경우에는 성공의 가능성이 있었군요! 하지만 이거 썸녀 기준에선 너무 성공확률이 없는 거 아닙니까?
논리썸남을 휘어잡고 싶었던 썸녀는 이걸로 만족할 수 없었습니다.
그녀는 다른 수법으로 바꾸기로 결정합니다. 정교하게 말을 바꾸는 것이죠.
"그냥 갈 거라면 라면 먹을래?"
이게 뭔 소리죠? 그냥 가는 거면 가는 거지 무슨 라면을 먹습니까?! 하지만 논리썸남은 이 말을 그냥 넘어갈 수 없었습니다. 그에게는 이 말이 매우 거슬립니다. 진술문의 타당성을 지켜야 하거든요!
효과는 대단했다!
논리썸남은 이제 갈 거였어도 라면을 먹어야 합니다. 적어도 전건과 후건을 참으로 만들어서 저 말의 타당성을 지키고 싶어하거든요!
하지만 여기서 라면썸녀가 그가 집에 못 가게 막습니다. 논리썸남은 함정에 빠진 겁니다. 이러면 진술이 타당해서 논리썸남이 그녀의 말을 따라줄 수 있어요!
순진한 논리썸남이 갈 거라면 라면 먹고 가란 말만 믿고 그녀의 집에 들어왔지만, 이제 그녀가 라면을 안 끓여주면 할 말이 있지만, 썸녀의 머릿 속에는 그런 상황은 없을 것 같네요. 뭐가 됐든 라면만 먹이면 성공하거든요!
썸남에게 있어서 저 말이 거짓이 되려면 그냥 갈 거였는데 라면 끓여주지 않을 상황 뿐이네요. 근데 썸남이 그냥 가버리면 썸녀는 라면 안 끓여줄 거잖아요! 썸남은 그런 부당한 상상을 하니 도저히 참을 수 없었습니다!
이로써 지혜로운 그녀는 논리썸남과 관계가 발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 해피 엔딩이네요~
하지만
사실 논리썸남은 별로 논리적이지도 않았고 "그냥 갈 거'라면 라면' 먹을래?"이라는 말에 꽂힌 거였습니다. '라면 라면'이라는 거에 흥미를 느껴서 깊은 고뇌에 빠지다가 그렇고 그런 상황까지 간 거였지요. 한 문장에 라면이 두 개나 들어가다니! 역시 라면은 2개부터 시작아니겠습니까?
예, 뭔 왈왈소리냐면... 새벽에 라면 한 개 끓일까 두 개 끓일까 하다가 정신줄을 놔버렸습니다. 그러다 이 개소리를 하다보니 수치심에 라면 끓일 마음이 사라졌습니다. 이제 0개 끓이고 무사히 제 뱃살을 지킬 수 있었으니 해피엔딩이라고 볼 수 있죠.
근데 조금 더 생각해보니 애초에 나에겐 라면 끓여줄 썸녀 따윈 없으니 배드엔딩인 것 같네요. 눈에서 물이 주륵... 흘릴 거라면 차라리 라면이라도 끓여서 입에서 물이 주륵 흐르도록 할 걸 그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