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분석철학에서 모든 무의미가 치료 대상인가요?

논리실증주의/전기 비트겐슈타인과 일상언어학파/후기 비트겐슈타인은 모두 의미와 무의미를 명료하게 구분하고 무의미를 치료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이 '모든' 무의미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는지 확신이 서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1)논리실증주의자와 전기 비트겐슈타인에게 유의미한 명제는 검증가능한 명제, 다시 말해 분석명제와 경험적으로 관찰 가능한 과학의 명제에 한정되고 나머지는 무의미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논리실증주의자가 시나 윤리학의 명제들을 전부 제거하자고 주장한 건 아니지 않나요? 무의미한 명제가 유의미한 척할 때 치료 대상이 되는 건가요? 그럼 유의미한 척하지 않아도 '가벼운 사자 나는' 이런 대놓고 이상한 명제들은 해소해야 되나요 말아야 되나요? 가령 논고에 나오는 '헛소리' '무의미한 명제' '사이비 명제' 이 셋이 같은 개념인가요? 어떤 무의미가 해소 대상이라면 그 기준이 어떻게 될까요?

(2)일상언어학파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에게 유의미한 명제는 일상의 언어놀이, 즉 삶의 형식 안에서 사용되는 언어이고 나머지는 무의미합니다. 동시에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질병을 일으키는 철학적 문제들을 해소 대상으로 간주합니다. 여기에서 '무의미한 명제'와 '질병을 일으키는 철학적 문제'가 외연이 같은 개념인가요? 철학적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데(다시 말해 치료 대상은 아닌) 무의미한 명제는 가능한가요?

이렇게 써놓고 보니 어떤 명제를 치료, 즉 침묵의 대상으로 간주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그 명제가 무의미한 것을 넘어서 추가 조건이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런데 그 기준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모든 무의미한 말들이 정말 다 침묵의 대상이 된다고 봐야 할까요?

+) 분석철학과 비트겐슈타인을 공부하다 보니까 '헛소리' '사이비 명제' '무의미한 명제' '말할 수 없는 것' '철학적 질병' 뭐 이런 용어들이 명확히 정의되지 않고 제 머릿속에서 그냥 뭐 대충 다 똑같은 나쁜 애들 정도로 이해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가령 저번에 youn님이 말할 수 있는 것/없는 것 이분법이 후기 비트겐슈타인에는 유지되지 않지만 여전히 유의미/무의미 이분법은 유지된다고 했을 때 살짝 뇌정지가 왔습니다) 공부하면 할수록 파리통에 빠지는 기분입니다ㅜㅜ

'무의미(한 명제)를 치료한다/해소한다'가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추측컨대 이를 '무의미를 제거한다'와 같은 뜻으로 사용하시는 듯합니다. 근데 무의미를 제거한다는 게 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우리는 유의미/무의미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떤 발화를 무의미한 것으로 판명할 수 있습니다. 무의미한 발화를 무의미한 것으로 판명하기만 하면, 발화의 무의미함 및 발화자의 비합리성(특히, 발화가 무의미한지 몰랐던 경우)이 드러나게 되니, 충분하지 않나요? 만약 무의미 판별을 넘어선 어떤 "제거하는 활동"을 말씀하시는 거라면 전 그게 뭔지 모르겠습니다. 그런 명제들을 제거한다는 게 뭔가요? 그런 명제의 형성을 법적으로 금지하고 만약 이를 위반한다면 처벌하거나 언어 공동체에서 추방하자 뭐 이런 말은 아닐 거라 생각합니다. (농담입니다.)

침묵하라는 명령이 크게 중요한지는 모르겠습니다. 만약 헛소리인 것이 명확하게 드러나서 그 사실을 스스로 알게 되었다고 하면, 그런 헛소리를 굳이 말하고 싶으려나요? 어떤 행위가 비도덕적임을 보이는 작업과 나쁜 짓 하지 말고 살아라는 명령 사이의 관계와 비슷해 보입니다. Why be rational, why be moral 같은 것이 쓸데없는 물음은 아닐 수 있으나, 최소한 요지가 다른 물음이기는 해 보입니다.

이들에게 관건은, 어떤 무의미한 발화는 겉보기에 유의미해 보인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그 겉보기-유의미한 발화가 실은 아무 의미가 없는 헛소리임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 이들 작업의 목표인 것입니다. 겉과 속이 모두 무의미한 그런 명제들은 굳이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다들 헛소리인 걸 알잖아요.

철학적 명제들은 겉보기에는 유의미한 발화들입니다. 겉보기부터 무의미했으면 지금껏 그 많은 사람들이 이 판에 뛰어들진 않았겠지요. 철학적 명제들이 실제로는 무의미하다고 판명하는 것이 이들의 과제가 되는 것입니다.

치료의 대상은 질병입니다.
즉각적으로 떠오르는 해설은 이런 겁니다. 무의미한줄도 모르고 헛소리를 쏟아내는 것이 질병이니, 헛소리를 그만하도록, 혹은 최소한 헛소리를 할 거라면 그게 무의미한 줄은 알고서 하도록 하는 것이 치료일 것입니다.

물론 이것도 맞는 설명이지만, 한 가지 측면밖에 보여주지 못하는 설명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측면에서, 철학적 문제에 시달리는 것이 곧 질병입니다. 여기서 사람들이 시달리는 철학적 문제란 것은, 어떤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는 혼란과, 있는 줄 알았던/있어어 하는 것 같은 어떤 것이 실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우울입니다. 예컨대 소크라테스나 아우구스티누스가 보여주듯이, 우리는 경건이나 시간이 무엇인지 아는 줄 알았는데, 탐구를 시작하면 실제로는 그게 뭔지 전혀 모른다는 철학적 문제에 도달합니다. 또 다른 예로, 우리는 자연스럽게 원인과 결과에 대해서 말하고, 일견 과학은 인과법칙이 성립해야만 그 타당성을 갖는 것 같은데, 흄에 따르면 인과법칙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런 철학적 문제들에 대해서, 명쾌한 답을 제시할 수 있다면 그런 문제들은 해결됩니다. 그러나 그런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 문제들이 혼란해 하거나 우울해할 일이 아님을 보이는 것, 문제로 보였던 것들이 문제되지 않음을 깨닫는 것, 길 잃음의 상태에서 벗어나 돌아올 길을 아는 것, 이것이 문제의 해소이자 질병의 치유이고, 비트겐슈타인이 가려던 길이자 이르려던 곳입니다.

9개의 좋아요

비트겐슈타인을 존경하는 입장에서 voiceright님 글을 흥미롭게 잘 읽고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