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실증주의/전기 비트겐슈타인과 일상언어학파/후기 비트겐슈타인은 모두 의미와 무의미를 명료하게 구분하고 무의미를 치료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이 '모든' 무의미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는지 확신이 서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1)논리실증주의자와 전기 비트겐슈타인에게 유의미한 명제는 검증가능한 명제, 다시 말해 분석명제와 경험적으로 관찰 가능한 과학의 명제에 한정되고 나머지는 무의미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논리실증주의자가 시나 윤리학의 명제들을 전부 제거하자고 주장한 건 아니지 않나요? 무의미한 명제가 유의미한 척할 때 치료 대상이 되는 건가요? 그럼 유의미한 척하지 않아도 '가벼운 사자 나는' 이런 대놓고 이상한 명제들은 해소해야 되나요 말아야 되나요? 가령 논고에 나오는 '헛소리' '무의미한 명제' '사이비 명제' 이 셋이 같은 개념인가요? 어떤 무의미가 해소 대상이라면 그 기준이 어떻게 될까요?
(2)일상언어학파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에게 유의미한 명제는 일상의 언어놀이, 즉 삶의 형식 안에서 사용되는 언어이고 나머지는 무의미합니다. 동시에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질병을 일으키는 철학적 문제들을 해소 대상으로 간주합니다. 여기에서 '무의미한 명제'와 '질병을 일으키는 철학적 문제'가 외연이 같은 개념인가요? 철학적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데(다시 말해 치료 대상은 아닌) 무의미한 명제는 가능한가요?
이렇게 써놓고 보니 어떤 명제를 치료, 즉 침묵의 대상으로 간주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그 명제가 무의미한 것을 넘어서 추가 조건이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런데 그 기준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모든 무의미한 말들이 정말 다 침묵의 대상이 된다고 봐야 할까요?
+) 분석철학과 비트겐슈타인을 공부하다 보니까 '헛소리' '사이비 명제' '무의미한 명제' '말할 수 없는 것' '철학적 질병' 뭐 이런 용어들이 명확히 정의되지 않고 제 머릿속에서 그냥 뭐 대충 다 똑같은 나쁜 애들 정도로 이해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가령 저번에 youn님이 말할 수 있는 것/없는 것 이분법이 후기 비트겐슈타인에는 유지되지 않지만 여전히 유의미/무의미 이분법은 유지된다고 했을 때 살짝 뇌정지가 왔습니다) 공부하면 할수록 파리통에 빠지는 기분입니다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