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메타 철학 (철학이라는 학문을 대상으로 한 철학적 탐구)
(A) 철학에 대한 인식론
(a) 철학에 대한 인식론
(b) 양상 인식론
(c) 철학적 방법론
(B) 메타 철학적 관점들
(a) 경험주의
(i) 구성적 경험주의 (반 프라센의 과학 철학적 입장)
(ii) 논리 실증주의
(iii) 양상 경험주의
(iv) 타고남/내성(innateness)
(v) 경험주의적 태도(b) 자연주의
(i) 도덕 자연주의와 비자연주의
(ii) 유신론에 대한 자연주의 입장에서의 논박
(iii) 규범성과 자연주의
(iv) 자연주의와 지향성
(v) 경제학에서의 자연주의
(vi) 법학에서의 자연주의
(vii) 수학적 자연주의
(viii) 형이상학적 자연주의(c) 실용주의
(i) 진리에 대한 실용주의
(ii) 페미니즘 실용주의
(iii) 미국 실용주의 학파(d) 합리주의
(i) 도덕 합리론
(ii) 양상 합리론
(iii) 타고남(e) 실증주의
(i) 논리 실증주의
(ii) 경제학에서의 실증주의
(iii) 법 실증주의
(iv) 검증주의
(C) 철학의 방법론들
(a) 논쟁
(b) 개념 분석
(c) 개념 공학
(d) 계산적/컴퓨터적 철학
(e) 민족지학적 철학
(f) 실험 철학
(g) 형식 철학
(h) 계보학적 방법론(genealogical method)
(i) 계보학적 해체 (데리다의 해체주의와 혼동하지 말 것. 통상 debunking은 어떤 것을 포괄하는 개념 [형이상학, 종교 등등]이 잘못 설정되었기에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임) ; (i-1) 형이상학의 해체에 대한 주장, (i-2) 수학의 해체에 대한 주장, (i-3) 도덕성의 해체에 대한 주장, (i-4) 종교의 해체에 대한 주장
(ii) 계보학적 정당화
(iii) 역사 계보학
(iv) 픽션의 계보학(i) 직관
(j) 형이상학의 방법론
(k) 철학에서의 언어학적 분석
(l) 수사학
(m) 사고실험
(n) 초월론적 주장
(D) 실험 철학
(i) 실험 미학
(ii) 행위에 대한 실험 철학 ; (ii-1) 자유의지, (ii-2) 지향적 행위
(iii) 언어에 대한 실험 철학 ; (iii-1) 지칭, (iii-2) 의미론
(iv) 법에 대한 실험철학
(v) 마음에 대한 실험철학 ; (v-1) 의식
(vi) 종교에 대한 실험철학
(vii) 과학에 대한 실험철학
(viii) 윤리에 대한 실험철학 ; (viii-1) 생명윤리, (viii-2) 평범한 사람들의 도덕 개념들
(ix) 인식론에 대한 실험철학 ; (ix-1) 맥락주의와 불변주의
(x) 형이상학에 대한 실험철학 ; (x-1) 인과성, (x-2) 인간
(xi) 실험 철학의 기반 ; (xi-1) 실험 철학에 대한 비판
(xii) 실험 철학 기타 영역 ; (xii-1) 통문화적 연구, (xii-2) 말뭉치 분석
(E) 메타 철학 기타 주제들
(a) 철학에서의 의견 불일치
(b) 철학의 종류들
(c) 메타 존재론
(d) 철학의 본질
(e) 분석 철학의 본질
(f) 철학 분야의 언어
(g) 철학 분야의 진보
(h) 철학의 역할
(i) 철학의 가치
(j) 철학에서의 전통
(k) 언어적 논쟁
(l) 철학에서의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