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형이상학
(A) 인과
(a) 인과의 이론들
(i) 인과 제거주의
(ii) 인과 실재론
(iii) 인과 환원주의
(iv) 인과에 대한 반사실적 조건문 이론
(v) 인과에 대한 조작 가능성 이론 (X가 Y의 원인이다 - X를 조작함으로서, Y가 조작된다)
(vi) 인과에 대한 법칙론적 이론
(vii) 기회원인론
(viii) 인과에 대한 과정 이론
(ix) 인과에 대한 통계적 이론
(x) 기타(b) 다양한 인과들
(i) 행위자 인과
(ii) 인과의 방향성
(iii) 인과에서의 과잉결정
(iv) 인과에서의 선취(preemption)
(v) 없음을 통한 인과 (물을 주지 않음 -> 식물이 말라죽음)
(vi) 하향 인과
(vii) 심적 인과
(viii) 확률적인 인과
(ix) 단독 인과
(x) 수반 인과
(xi) 기타(c) 인과 기타
(i) 인과적 추론
(ii) 인과의 대상들
(iii) 인과적 설명
(iv) 법에서의 인과
(v) 인과와 자연 법칙
(vi) 설명
(vii) 흄적 수반
(viii) 기타(d) 우연과 객관적 확률
(e) 경향성(disposition)과 힘
(i) 맨 경향성 (bare dispositions, 일반적으로 경향성은 A의 미시구조 때문에 생기며, 이 미시구조와 경향성은 다른 것이다. 하지만 맨 경향성은, 이러한 미시구조 없이/혹은 구분이 되지 않는 경향성을 의미한다.)
(ii) 경향적/범주적 속성
(iii) 조건 분석
(iv) 경향성과 근본 구조(bases)
(v) 가려진 경향성
(vi) 힘(power)
(v) 법칙에 대한 경향성 이론
(vi) 기타(f) 자연 법칙
(B) 형이상학적 세계관 (Global metaphysical theory)
(a) 관념론
(b) 변증법적 유물론
(c) 이원론
(d) 범영역적 제거주의
(e) 질료 형상론
(f) 논리 원자론
(g) 일원론
(h) 형이상학적 자연주의
(i) 현상론
(j) 물리주의
(i) 물리주의의 여러 입장들
(ii) 물리계의 인과적 폐쇄성
(iii) 비환원적 물질주의
(iv) 수반과 물리주의
(v) 마음에 대한 물리주의
(vi) 사변적 유물론(신유물론, 사변적 실재론)
(vii) 유물론적 페미니즘(k) 과정 철학
(l) 흄적 수반
(m) 상대주의
(i) 가치 상대주의
(ii) 참/진리 상대주의
(iii) 존재론적 관습주의와 상대주의
(iv) 도덕 상대주의
(v) 인식론적 상대주의
(vi) 문화적 상대주의
(vii) 미학적 상대주의
(C) 중범위 형이상학 (Interlevel metaphysics)
(a) 개념 분석과 경험 독립적 함축
(b) 한정자와 한정 가능자 (determinates/determinables ; 빨강 같은 고유한 속성이 한정자라면, 색깔처럼 이 고유 속성의 일반적 범주가 한정 가능자다.)
(c) 창발/발현(emergence)
(i) 심리물리적 창발
(ii) 하향인과
(iii) 물리 과학에서의 창발
(iv) 인지 과학에서의 창발
(v) 창발의 개념
(vi) 생물학에서의 창발
(vii) 기타(d) 근본성(fundamentality)
(e) 근거 부여(grounding)
(i) 근거 부여의 본질
(ii) 근거 부여의 논리학
(iii) 근거 부여에 대한 찬반
(iv) 근거 부여의 적용
(v) 기타(f) 형이상학의 층위
(i) 층위에 대한 이론들
(ii) [자연] 선택의 층위와 단위
(iii) 인지 과학에서 분석의 층위
(iv) 기타(g) 물리주의
(h) 실현(realization)
(i) 한정자와 한정 가능자
(ii) 복수 실현
(iii) 계산의 실행 (implementing computation, 컴퓨터로 대표되는 계산이라는 것이 실행되는/실현되는 것의 물리적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생물도 포괄하는가?)
(iv) 기능적 실현
(v) 기계적 실현
(vi) 실현에 대한 부분집합적 관점(i) 환원
(j) 수반
(i) 도덕적 수반
(ii) 심리물리적 수반
(iii) 물리주의와 수반
(iv) 수반 전반
(v) 수반 인과(k) 개별자 동일론(token identity)
(l) 참 담지자 (truthmaker)
(D) 메타 존재론
(a) 존재론적 요구/승인(commitment)
(b) 존재론적 관습주의와 상대주의
(c) 존재론적 불일치
(d) 존재론적 픽션주의
(e) 존재론적 다원주의
(f) 존재론적 실재론
(g) 양화사와 존재론
(h) 형이상학의 방법론
(i) 형이상학의 해체(debunking)에 관한 주장
(E) 양상
(a) 대물[사물을 대상으로 하는, de re] 양상
(i) 사실주의와 가능주의
(ii) 상대역 이론(counterpart theory, 루이스에 의해 주장된 양상 이론. 크립키의 버전과 다르다.)
(iii) 헤세이티즘 (hacceitism, "A는 복실복실할 수 있다."의 '복실복실할 수 있음'은 질적 속성이다. 왜냐하면 특정 대상에게만 귀속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허나 "나폴레옹이 부시보다 작을 수 있음."의 가능성은 특정 대상에게만 귀속된 속성(가능성)이므로, 비-질적이다. 헤세이티즘은 [어떤 대상의] 최대 가능성은 오직 이 비-질적 속성에 의해서만 [다른 대상과]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주장이다.)
(iv) 반드시 주의와 그럴 수 있다 주의 (necessitism/contigentism [내 맘대로 번역] ; 모든 것은 반드시 어떤 것이여야 한다는 주장이 반드시주의. 이에 반대하는 것이 그럴 수 있다 주의)
(v) 본질과 본질주의
(vi) 기타(b) 다양한 양상들
(i) 인식론적 가능성
(ii) 개념적 필연성
(iii) 논리적 필연성
(iv) 형이상학적 필연성
(v) 법칙적 필연성(c) 양상에 대한 이론들
(i) 양상 결합주의 (modal combinatorialism)
(ii) 양상 관습주의 (conventionalism)
(iii) 양상 비인지주의
(iv) 양상 근원주의
(v) 양상 실재론(d) 양상에 대한 인식론
(i) 상상 가능성, 상상과 가능성 (conceivability, imagination, possibility)
(ii) 반사실적 조건문과 양상 인식론
(iii) 양상적 오류
(iv) 양상적 직관
(v) 양상 경험론
(vi) 양상 합리주의
(v) 양상 회의주의
(vi) 사고실험(e) 가능 세계
(i) 사실주의와 가능주의
(ii) 양상 대리주의 (modal ersatizism, 가능 세계가 추상적 개체로 보거나, 가능세계는 없지만 이에 대용이 될 수 있는 것들이 있다는 입장)
(iii) 양상 픽션주의
(iv) 양상 실재론
(v) 가능 세계 의미론
(vi) 불가능 세계
(F) 대상/사물(objects)
(a) 추상적 대상
(i) 속성
(ii) 음악의 대상
(iii) 픽션의 캐릭터들
(iv) 수학의 대상
(v) 단어
(vi) 집합의 본질
(vii) 숫자(b) 동일성/정체성(identity)
(i) 동일성으로서의 결합 (부분의 정체성과 전체의 정체성이 같다)
(ii) 상황의존적 동일성 (contingent identity, 다른 의미/뜻을 가지지만 지칭은 동일한, 그런 사물-정체성)
(iii) 정체성의 식별 불가능성
(iv) 개인의 동일성/정체성에 대한 이론
(v) 상대적 동일성
(vi) 모호한 동일성
(v) 동일성이 반드시 필요한가?
(vi) 정체성의 기준(c) 물리적 사물/대상
(i) 인공물
(ii) 우연한 사물
(iii) 동일성으로서의 결합
(iv) 상황의존적 동일성
(v) 질료형상론
(vi) 물리적 구성
(v) 메레올로지적 보편론
(vi) 메레올로지적 니힐리즘
(vii) 일원론
(viii) 다수의 문제
(ix) 더미(stuff)
(x) 삼차원 - 사차원론
(xi) 모호한 사물
(xii) 물리적 대상에 대한 제거주의적 입장
(xiii) 물리적 대상에 대한 허용주의적 입장(d) 메레올로지 (부분과 전체의 여러 관계에 대한 이론들)
(i) 동일성으로서의 결합
(ii) 메레올로지적 보편론
(iii) 메레올로지적 니힐리즘
(iv) 메레올로지적 본질주의
(v) 단순자와 겅크 (simple ; 더 이상 부분이 없는 것, gunk ; 자신의 부분이 제대로 된 하위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
(vi) 모호성에서 비롯된 주장들(e) 수학의 존재론'
(f) 음의 존재들
(i) 구멍
(ii) 반사된 상
(iii) 그림자(g) 존재하지 않는 대상들
(h) 대상과 속성
(i) 지속
(G) 존재론
(a) 응용 존재론 (존재론을 정보 과학의 측면에서 응용한 학문. 정보를 [도서관 자료분류처럼] 존재론의 개념들을 활용해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 사용한다.)
(i) 최상위 존재론 (top level ontology, 가장 최상위 도메인에 관한 학문)
(ii) 도메인 존재론 (도메인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지에 관한 존재론)
(iii) 생물 의학의 존재론
(iv) 금융의 존재론
(v) 정보 인공물의 존재론
(vi) 인지 존재론
(vii) 웹 온톨로지 언어
(viii) 시맨틱 웹(b) 사건(events)
(c) 존재(existence)
(d) 사실과 사태 (facts and states of affairs)
(e) 고차 형이상학 (고차 논리학을 활용한 형이상학)
(f) 메타 존재론
(g) 자연종
(h) 명제
(i) 사물
(j) 속성
(k) 존재의 범주들
(l) 실체/기체(substance)
(m) 참 담지자(truthmaker)
(n) 특정 영역의 존재론
(i) 음식 존재론
(ii) 개념의 존재론
(iii) 사회 존재론
(iv) 생물 의학의 존재론
(v) 집합의 존재론
(vi) 수학의 존재론
(vii) 문학의 존재론
(viii) 음악의 존재론
(ix) 영상의 존재론
(x) 금융의 존재론
(xi) 일시적인 것에 대한 존재론
(H) 인간
(a) 개별 인간 정체성에 관한 이론들
(i) 인간 정체성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
(ii) 인간 정체성에 대한 물리적/동물주의 이론
(iii) 인간 정체성에 대한 비 환원주의 이론(b) 인간 정체성 논의에서 문제가 되는 사례들
(i) 분할뇌
(ii) 해리성 정체감 장애 (흔히 말하는 다중인격)
(iii) 불멸
(iv) 뇌 이식
(v) 마인드 업로딩
(vi) 인간 정체성에 대한 사고 실험
(vii) 개심의 경험 (자신의 정체성을 완전히 바꾸는 경험. 흔히 신을 만났다고 하는 그것)(c) 자기 자신
(i) 자기의식
(ii) 자기 지식
(iii) 영혼(d) 인간 정체성과 가치
(i) 인간 정체성과 규범 윤리
(ii) 인간 정체성과 응용윤리
(iii) 생존에서 고려할 것은 무엇인가?(e) 실천적 정체성
(i) 서사적 정체성
(ii) 사회적 정체성(f) 인간종
(i) 인간 본성
(ii) 트랜스 휴머니즘
(iii) 인간 생태학
(iv) 인간의 권리
(v) 비인간화
(vi) 유년기 ; (vi-i) 아동을 위한 철학/(vi-ii) 아동기의 윤리
(vii) 부모됨
(viii) 임신
(ix) 출산
(x) 노화(g) 몸
(i) 신체적 경험
(ii) 체화된/상황적 인지
(iii) 체화와 스포츠
(iv) 체화된 기억
(v) 건강과 질병(h) 죽음과 죽어감
(I) 속성
(a) 한정자와 한정 가능자
(b) 성향과 힘
(c) 내적 속성과 외적 속성
(d) 자연적 속성
(e) 속성 유명론
(f) 양적 속성
(g) 관계
(h) 트롭
(i) 보편자
(j) 본질과 본질주의
(i) 본질주의와 양화 양상논리
(ii) 종에 대한 본질주의
(iii) 기원 본질주의 (origins essentalism ; 모든 유기체/인공물은 그 기원이 되는 본질이 있다)
(iv) 과학적 본질주의
(v) 반 본질주의
(J) 실재론과 반실재론
(a) 형이상학적 실재론
(b) 내적 실재론
(c) 모델 이론적 주장
(d) 도덕 실재론과 비실재론
(e) 존재론적 실재론
(f) 유사 실재론
(g) 과학 실재론
(h) 의미론적 반 실재론
(i) 미학적 실재론과 반실재론
(j) 제거주의
(i) 물리적 대상에 대한 제거주의적 접근
(ii) 일시적 존재에 대한 제거주의
(iii) 인과 제거주의
(iv) 인종에 대한 제거주의
(v) 젠더에 대한 제거주의
(vi) 성별에 대한 제거주의
(vii) 제거주의적 물리주의
(viii) 명제 태도에 대한 제거주의
(ix) 의식에 대한 제거주의
(x) 감각질에 대한 제거주의
(xi) 포괄적 제거주의(k) 실재
(K) 시간
(a) 일시적인 것에 대한 존재론
(i) 영원주의(eternalism, 과거 - 미래의 존재도 현재의 존재만큼 실재한다)
(ii) 성장 단지 관점(grwoing block view, 과거와 현재는 존재하지만 미래는 존재하지 않는다)
(iii) 현재주의(presentism, 현재의 존재만이 존재한다)
(iv) 열린 미래 (open future, 미래가 고정되어 있는지에 대한 논의들)
(v) 결정론
(vi) 숙명론
(vii) 일시적인 것에 대한 제거주의(b) 시간의 경과
(i) A 이론 (사건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움직임)
(ii) B 이론 (사건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움직이지 않음. 시간의 경과는 심리적 경험이 만들어내는 것)
(iii) 시간 경과에 대한 경험
(iv) 맥태거의 주장
(v) 시간과 변화(c) 시간과 관련된 양상들
(i) 지속
(ii) 시간의 물리학
(iii) 일시적 경험
(iv) 시제 논리
(v) 시제 표현
(vi) 시간의 방향성
(vii) 시간 여행
(L) 형이상학 기타 주제들
(a) 고차 형이상학
(b) 형이상학의 방법론
(c) 특정 영역의 형이상학
(i) 시공간의 형이상학
(ii) 생물 종의 형이상학
(iii) 인종의 형이상학
(iv) 마음의 형이상학
(v) 특정 분야의 존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