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가진 책 중(원래도 몇 없지만) 유일한 철학 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이번에 구매해서 읽고 있습니다.
문학이나 시는 비좁은 면에서 좋아하는 편이긴 했지만, 철학 서적을 읽는 것은 처음입니다.
읽은 책도 몇 없어 제 독해력이 형편 없을지도 모릅니다. '어린 왕자'와 '인간 실격'만 완독 해봤으니까요.
논고를 읽는 제 목표는 혼자의 힘(되..되도록이면..) 으로 책을 해독해내는 것입니다.
제가 철학이라는 문화에 대한 병아리라 멍청한 질문만 여러분께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의심도 돼요.
전 대충 철학이 어떤 흐름으로 전개됐는지에 대한 간략한 파악을 하고 있고, 윤리와 사상 지식이 있습니다. 논고 책만으로 독해가 잘 안되면 그의 스승 러셀과 프레게, 그가 작성했다던 철학 노트라도 찾아서 추리하는 작업을 하면 될 것 같은데, 이렇게 시간을 쏟아부어 이 책을 온전히 이해한다는 게 의의가 있을지 마음이 갑자기 흔들릴 때도 있네요. 아무튼 저는 논고를 함락 시키고 싶습니다.
그리고 도대체 훌륭한 철학을 만든다는 것이 이 책과 씨름 하는 과정에서 뭔지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네요.
그리고 본론으로 들어가서, 질문 드리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논고에서 말하는 '대상'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입니다.
그 뿐만 아니라 사태,사실,현실,세계,논리적 공간,표현,형식,구조와 배열...
제가 러셀의 기억을 가지고 비트겐슈타인과 대화하지 않는 한은 명확히 이해하긴 힘들어 보입니다.
대상이 실질적인 사물들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라고 하고...
그럼에도...
비트겐슈타인이 신문에서 사건을 진술하려고 모형을 사용하는 것을 본 뒤
이 그림이론을 고안했다는 것을 들어서 이 맥락을 바탕으로 좀 이해를 시도해본 것이 있어요.
대상은 단지 대상 연관인 사태를 기술하는 요소 명제 속에 있는 이름들과 짝 지어 집니다. 우린 명제를 읽는 순간에 사실을 보듯이 읽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모든 사태가 모인 논리적 공간이 아니라 비존립과 존립이 확정된 현실의 범위에서 문장이 뜻을 가지는지 가지지 않는지 판단하고 있죠. 때문에 문장 속에 드러난 이름들은 실질적 속성을 가진 사물로써의 대상으로 이해됩니다. 근데 사태라는 것은 둘 이상의 대상으로 연관할 수 있는 가능성들이기 때문에, 대상은 '논리적으로 가능한'의 '논리'를 책임질 수 있는 존재일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금 시계는 5시를 가리키고 있다' 에서 '시계', '5시', '지금' 이 대상이고 이 대상이 연관되어 만들어진 '지금 시계는 5시를 가리키고 있다.'가 사실일 때 우리가 인지하는 친숙한 사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대상이 현실에 결과로 드러난 사물은 아닙니다. 사태의 다양한 구조를 결정할 형식을 대상이 가지고 있는데, '시계' 자체가 대상인 것은 아니고 시계가 가지고 있는 내부적인 속성들(논리적 작용이 가능한) (속성도 명제로 기술되면 사태의 영역이기 때문에 내부적 속성을 가지게 하는 또한의 무언가 까지가 대상의 개념?)이라는 검을 주조할 '주형'으로 생각한 것이 아닐까 싶어요. 현실에서 보이는 시계는 존립하는 사태구요. 단지 결과적인 사실에 드러난 그 어떤 대상을 시계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것입니다. 대상은 이런 논리적인 개념이라 사태를 동원하지 않으면 설명이 안되는지도 모르겠어요. 또한 시계의 외부적 속성(외양)은 연관 속에서 생겨나는 것이고 비트겐슈타인은 이런 것을 크게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습니다. 내부적 속성을 형식으로 가지고 있는 대상들의 조합을 요리조리 고민 하는게(그 이상은 할 수 없는) 사람의 사고인 것입니다. 대상의 형식을 줄곧 따라가면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적으로 잘 사고할 수밖에 없다고 봤을 것이고 그에 맞게 배열을 다르게 하며 사태를 여러가지 상상하며 명제를 세운 뒤, 정말 세계 속에서 검증해봤을 때 짝지어지면 존립. 그렇지 않으면 비존립으로 판단하는 것이 인류의 학문이라고 생각한 것이 아닐까 싶네요. 대상은 사태를 논리적인 관계 위에 놓기 위해서, 또한 원자적으로 분해 할 때 반드시 필요한 구분이고, 다만 이 하위 구분된 모종의 어떤 것들이 사실 속에서는 감각되는 사물로써 드러나 직관적인'대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에 그 이름을 붙인 것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잘 이해한 것 같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