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겐슈타인 질문

안녕하세요! 비트겐슈타인을 읽다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후기 비트겐슈타인을 이해한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저는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말해질 수 있는 것은 명료하게 말해질 수 있다; 그리고 말해질 수 없는 것에 관해서는 우리는 침묵해야 한다" 가 후기 비트겐슈타인에게도 일관되게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단지 전기에서 말해질 수 있는 것은 자연과학의 명제들인데 반해 후기에서는 이조차도 말해질 수 없는 것이 되고 오직 삶의 형식 안에 위치한 일상언어만이 말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고 생각했습니다.

  2. 전기 비트겐슈타인은 1을 달성하기 위해 철학이 할 일로 말할 수 있는 언어의 조건을 명확히 하는 것, 즉 언어 비판 활동을 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언어를 형이상학적 사용에서 일상적 사용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일상 언어를 보여주고, 통찰하고, 기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여기에서 비트겐슈타인이 말하는 <보여주기> <통찰하기> <기술하기>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그저 언어를 형이상학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을 <치료>하고 <해소>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일상의 언어놀이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지 않나요? 일상 언어에 참여하고 뛰어들고 사용하는 것과, 그것을 보여주고 통찰하고 기술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지 않나요? 일상 언어를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관점은 일상 언어 바깥의 특권적 시선을 전제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비트겐슈타인은 형이상학을 없애기 위해 또 다른 형이상학을 가져온 게 아닌가 하는 기분이 듭니다.

제 이해가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요 ㅜㅜ

질문하신 내용 중에 비트겐슈타인 해석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이 개입되어 있다 보니 단정지어서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1)

오히려 '말해질 수 없는 것'이라는 개념 자체가 후기에는 폐기되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 같아요. 자연과학의 명제들이 말해질 수 없는 것이 된 게 아니라, 자연과학의 명제를 비롯한 모든 종류의 명제들이 '말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는 거죠. 이와 관련해서 예전에 유명한 비트겐슈타인 연구자인 P. M. S. 해커의 논문을 정리한 것과 제 생각을 써둔 것이 있습니다.

『논리-철학 논고』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해석 비판: P. M. S. 해커, 「그는 휘파람을 시도했는가?」(1)
https://blog.naver.com/1019milk/221606821661

『논리-철학 논고』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해석 비판: P. M. S. 해커, 「그는 휘파람을 시도했는가?」(2)
https://blog.naver.com/1019milk/221623117161

『논리-철학 논고』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해석 비판: P. M. S. 해커, 「그는 휘파람을 시도했는가?」(3)
https://blog.naver.com/1019milk/221630811405

P. M. S. Hacker, "Was he trying to whistle it?"
https://philpapers.org/rec/HACWHT-2

말할 수 없는 것들: 비트겐슈타인의 후기철학을 받아들이고서도 '말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을까?
https://blog.naver.com/1019milk/223304640696

(2)

이 점이 실제로 해커의 오랜 동료였던 또 다른 유명한 비트겐슈타인 연구자 G. P 베이커가 해커와 의견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베이커는 해커가 강조하는 '통찰(surview)'이라는 개념이 비트겐슈타인 해석에서 그다지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연세대 이승종 교수님의 『비트겐슈타인 새로 읽기』 제5장의 보론인 「베이커와 해커의 비트겐슈타인 해석」에 관련 내용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국내에는 이 논쟁이 하상필 교수님과 이승종 교수님 사이의 논쟁으로도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얼마 전에 나온 따끈따끈한 신간인 『철학의 길』 2강과 11강에도 관련 내용을 둘러싼 논쟁이 있습니다. '보여주기'라는 개념이 과연 얼마나 유효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 말이에요.

대략적으로만 말씀드리자면, 베이커는 Philadelphia님처럼 '통찰하기' 혹은 '보여주기' 같은 개념들에 대해 다소 회의적인 태도를 취합니다. 그런 개념들이 일종의 '신의 관점'을 상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고 의문을 가지죠. (아쉽게도, 베이커의 비판 대상으로 지목된 해커가 이런 문제제기에 대해 명확하게 대답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반면, 이승종 교수님의 경우는 그 개념들이 '치유하기' 혹은 '해소하기'를 위해서라도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무엇이 문제인지를 볼 수 있어야 그 문제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다는 거죠.

7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