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솔직히 난 제자백가 연구자들이 <묵경>을 읽지 않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a) 춘추전국시대 문헌 중에서 '철학적 개념'들을 가장 엄밀하게 정의한 책이 <묵경>이며 (2) 묵가에 대해서는 공자/노자 이후 거의 모든 학자들이 잘 알았다는 점에서 그들이 <묵경>에서 정의된 용어를 사용한 것은 이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사실을 바탕으로, 책들을 겹쳐보면, 우리는 단순한 이해를 넘어선 심도 깊은 논의가 가능하다.
(2) 대표적 예시 두 가지를 보겠다. 하나는 <맹자>의 [이루 상] 7.17이다. 이 구절은 순우곤이 맹자에게 '도덕적 패러독스'를 제시하는 내용이다.
순우곤 : 남녀가 물건을 직접 주고 받지 않는 것이 '예'입니까?
맹자 : 예입니다.
순우곤 : 그러면 형수가 물에 빠진 경우, 손을 뻗어 구해줘야 맞습니까?
맹자 : 형수가 물에 빠졌는데 구하지 않는 것은 짐승입니다. 남녀가 서로 주고받지 않는 것은 예입니다. (허나) 형수가 물에 빠졌을 때, 손을 뻗어 구하는 것이 권(權)입니다.
여기서 권은 보통 '저울질'로 번역된다. 그리고 이렇게 번역해도 내용은 잘 이해된다. 허나 이 권에 대한 <묵경>의 정의를 참고하면, 우리는 보다 깊은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묵경>의 [대취]에 권(權)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권(權) : 권은 바른 것을 위한 것도 아니며 바르지 않은 것을 위한 것도 아니다. 권이란 '올바른' 기준이다. 손가락을 잘라 팔을 보존했다면, 이로움 가운데 큰 것을 취함이요, 해로움 가운데 작은 것을 취함이다. 해로움 가운데 작은 것을 취했다면, 해로움을 취한 것이 아니고 이로움을 취한 것이다.
달리 말해, 권은 항상 올바른 정답이 아닌, 나쁜 것들 사이에서 차악을 고르는 방법인 것이다. 이 권의 용법을 통해 우리는 맹자가 왜 이 상황에서 '권'을 말했는지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 형수를 구하는 것이 예의 이상적 상황은 아니지만, 주어진 상황에서는 가장 '의로운' 행위라는 것이다.
(참고로 <맹자>에서는 이렇게 숨겨진 묵가적 용어들이 꽤 많다. 추도 그렇고, 변도 그렇다.)
(3) 다음 예시는 <장자>의 [제물론]이다.
말이란 단순히 숨을 내쉬는 것이 아니다. 말은 무언가를 말한다. 다만 말하는 바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우리는 과연 무엇을 말하는가? 아니면 말하는 바가 전혀 없는 것인가? (중략)
어떤 사물도 '저것'(彼)이 아닌 게 없고, 어떤 사물도 '그것'이 아닌게 없다. (중략)
'저것' 또한 그것이고, 그것 또한 저것이다.
<장자>의 이 구절은 단순한, 어떤 회의주의에 대한 표명 혹은 언어에 대한 불신으로 해석될 것이다. 허나 마찬가지로 <묵경>을 거치면 우리는 보다 명확히 이 비판 지점을 이해할 수 있다.
<묵경>의 [경][경설 상]에 피(彼)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피 : 두 가지(시/비 - 그것이다/그것이 아니다) 다 옳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한 마디로, 피는 사물을 지칭함에 있어서 적어도 '그것'이든 '그것이 아니든'이 가능해야한다는, 지칭의 기본적인 조건을 가리킨다.
이를 통해서 본다면, 장자는 이 지칭 자체가 불가함을 지적하는 부분으로 [제물론]을 독해 가능하다.
(참고로 정확히 이 독해가 무엇인지는 여전히 어려운 난제다. 당장 묵가에서도 이 부분이 명확히지 않고, 따라서 이 부분을 통해서 장자를 읽는 것 역시 어려운 일이다. [묵가를 통하지 않고 읽는다고 하더라도, 장자의 제물론은 명확히 읽기 어려운 부분이다.])
(4) 이처럼 <묵경>을 거쳐서 읽는 제자백가 문헌들은 보다 심도 깊은 해석을 가능케한다. 난 학자들이 이 가능성을 놓친다는 게 너무 아쉽다. 특히 <묵경>이 이런 식으로 쓸 수 있는 유일한 문헌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최초의 한문 사전인 <이아>도 <묵경>보다 늦으며, 대체로 고유명사와 동의어에 집중하고 있어서 정확한 의미 파악도 어렵다. 철학 사전의 경우, <묵경> 이후 <묵경>의 영향 아래에서 <순자><시자><할관자> 등이 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