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메니데스의 존재론 논증: 내용정리 및 문제제기(러셀 철학사)

철학사 스터디에서 공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저희 스터디에서는 < 러셀의 서양철학사 >를 주요 텍스트로 삼아서 함께 살펴봅니다.
이 외에도, 스터디 리더가 다른 철학사 텍스트를 참고하면서 혹시 러셀의 해석과 다른 내용이 있으면 함께 소개합니다.

파르메니데스의 존재론에 대해 잘 아시는 선생님이시라면,
5.3.2 항목이나 5.4.2 항목에 대해 어떻게 보시는지 코멘트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모든 철학자의 원전을 동시에 살피는 것은 매우 힘들어 2차 문헌만 참고했음을 말씀드립니다. )

----------------

5.3.1. 러셀이 인용하는 파르메니데스의 주장

  1. “너는 비존재를 알 수도 없고 발화할 수도 없다. 비존재는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사유될 수 있는 것과 존재할 수 있는 것은 같기 때문이다.”

解1) 존재할 수 없는 것은 사유될 수 없다. 사유될 수 없다는 것은 어떤 존재자가 정신적으로 그것에 대해 알 수 없다, 혹은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우리에게 알려질 수 없거나 생각될 수 없는 것은 존재할 수 없다. ‘없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그냥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닌 것에 불과하다.(코플스톤, <그리스로마 철학사>, p.80)

解2) 혹은 다음과 같이 이해해 볼 수 있다. “상대방의 ‘당신은 지금 어떤 종류의 것을 생각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만일 내가 상대방에게 그것이 무엇인지 말할 수 없거나 그것에 관해서 전혀 아무 말도 할 수 없다면 상대방은 당연히 내가 아무것에 관해서도 생각하지 않거나 아예 생각 자체를 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을 것이다.” (Kenny, <고대철학>, p.329)

  1. “그러면 존재하는 것은 어떻게 미래에 존재하게 될 것인가? 혹은 존재하는 것은 어떻게 존재할 수 있었는가? 만일 존재하게 되었다면, 그것은 존재가 아니다. 또 만일 그것이 미래에 존재하게 될 것이라면, 그것 역시 존재가 아니다. 이렇게 생성(becoming)은 무효가 되며 소멸(passing away)도 성립하지 않는다.”

解3) “만약 어떤 것이 생성된다면, 그것은 존재로부터 생성되거나 또는 비존재에서 생성될 것이다. 만약 그것이 존재로부터 생성된다면 그것은 이미 존재하는 것이 되는데, 이 경우 그것은 생성되는 것이 아니다. 만약 그것이 비존재로부터 생성된다면, 그것은 무(無)이다. 왜냐하면 무에서는 무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전화(轉化)와 운동은 환상이다. 복수성도 또한 환상이기 때문에, 존재는 단순히 있을 뿐이고, 일자이다.” (코플스톤, p.78)

  1. “사유될 수 있는 것과 그러한 사유가 있다는 것은 같다. 왜냐하면 너는 존재하는 어떤 것이 없는 사유를 찾지 못하고, 그것에 대해 발화하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問1) 과연 그러한가? [옥스포드대학교]라는 대상은 사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옥스포드대학교]라는 대상은 그것에 대한 사유 그 자체와 같은 것인가? 가령, [옥스포드대학교]라는 대상과 “나는 옥스포드대학교가 좋다”라는 생각은 같은 것인가?

5.3.2. 필자의 파르메니데스의 논증 재구성, 그리고 문제제기

  1. 사유와 언어표현은 그것들이 지향하는 대상이 필요하다.
    (주의: 이 대상들은 사유 자체와 언어표현 자체와 구별되지 않는다.)

  2. 왜냐하면, 사유될 수 있는 것과 존재할 수 있는 것은 같기 때문이다. (1번 인용구)

  3. 우리는 언제나(이때나 저때나) 생각(사유)하거나 말(언어표현)을 할 수 있다.

  4. 그 때마다 사유와 언어표현이 지향하는 대상들이 실존한다.
    다시 말해, 그것들은 언제나 모든 시간에 걸쳐 실존한다.

  5. 변화는 ‘없음’에서 ‘있음’으로, ‘있음에서 ‘없음’으로 이행하는 과정이다. (변화에 대한 파르메니데스의 정의)

  6. 그러나 모든 것은 이미 존재하고, 또 실존하고 있다. (3.에 의해)
    다시 말해, 모든 것은 ‘있음’에 지나지 않는다.

  7. 따라서 변화는 일어날 수 없다. 이 세계는 시간에 종속되지 않고 영원히 실존해왔고, 실존하고 있으며, 실존할 것이다.
    다시 말해, [존재]는 영원하다.
    (#주의: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변화는 대부분 존재의 변형일 뿐이다. (Kenny, 330))

問2) 사유될 수 있는 것과 존재할 수 있는 것은 동일한가? 사유능력과 언어능력이 없는 무기물로만 이루어진 세계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가령, 지구라는 행성이 탄생하기 이전의 우주를 생각해보자. 이 때의 우주는 사유능력이 분명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파르메니데스는 이 때의 우주가 존재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인가?

問3) 또한 사유능력과 언어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몇년에 한번씩 80억 인구가 모두 말도 하지 않고 생각도 하지 않는 순간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파르메니데스의 주장에 따르면, 이러한 순간에는 찰나적으로 모든 존재자가 존재성을 상실하게 되는 것인가? 즉, 세계는 그 찰나에 한하여 순간적으로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인가?

問4) ‘변화’라는 단어의 의미를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5.4.1. 파르메니데스의 주장에 대한 러셀의 지적

“우리가 어떤 것의 이름을 유의미하게 사용한다면(P), 그 이름을 가리키는 대상은 어떤 점에서 계속 실존해야한다.(Q)“ (러셀, p.94)
(P이면 Q이다)

註) 러셀은 1번 인용구의 내용을 위와 같이 해석한다.

“낱말은 불변하는 일정한 의미를 가진다.(R)” (러셀, p.95)

반론) 같은 낱말을 쓰는 두 사람이 마음속에 똑같은 생각을 품지는 않는다.(p.95)
가령, 2024년 7월 27일 오후에 “조지 워싱턴”이라는 낱말을 발화한 한국인과 1789년 미국이 독립하고 초대 대통령을 선출한 날의 오후에 “조지 워싱턴”이라는 낱말을 발화한 미국 성인 남성이 각자 이름에 대해 품는 생각은 전혀 다르다.

R이 성립하면, (P가 성립하면 Q가 성립한다.)

註) 러셀은 파르메니데스의 주장을 위와 같이 가능한 분명하고 명료하게 재해석한다. 그리고 그 주장의 이상하게 보이는 점을 보이기 위해 파르메니데스의 주장에 숨겨져 있는 전제(R)를 상정하고 그 전제에 대해 반론을 제기함(ㄱR)으로써 파르메니데스의 실존 명제가 성립하지 않음을 보이고 있다.

5.4.2. 러셀의 지적에 대한 질문

問) 러셀의 반론은 직접적 반론이 아니다. 왜냐하면 파르메니데스의 실존 명제를 직접적으로 반증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의 이름을 유의미하게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대상이 모든 관점에서 실존하는 것은 아님을 보여야하기 때문이다. 러셀의 논증의 논리적 형식을 따져보면 다음과 같다.

R -> (P -> Q)

러셀의 전략은 위 논리식에서 ㄱR을 보임으로서 ㄱ(P->Q)을 이끌어내려는 것이다. 그러나 조건언을 실질함의로 이해하면 러셀의 전략은 성공할 수 없다. 이러한 전략보다는 직접적으로 반증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가령, 전건이 참이면서 동시에 후건이 거짓인 경우를 제시하는 것이다. 즉, P와 ㄱQ가 동시에 성립함을 보이는 것이다.

5.5. 러셀이 말하는, 파르메니데스 논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

언어에서 형이상학적 결론(대부분 오류 논증)을 도출하는 일은 매우 쉽다. 따라서 언어에 대한 논리적 연구와 심리적 연구에 매진하는 것이 이러한 오류 논증을 피할 수 있게 해주는 유일한 길이다.

5개의 좋아요

러셀이 해석한 파르메니데스는 지극히 러셀의 개인적인 해석이라는 글을 어디서 본 적이 있는데,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파르메니데스의 단편들을 직접 보시면 파르메니데스의 논증은 언어에서 형이상학적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느끼실 겁니다.

1개의 좋아요

파르메니데스의 단편 8.7-11은 다음과 같습니다.

In what way, whence, did [it] grow? Neither from what-is-not shall
I allow / You to say or think; for it is not to be said or thought / That
[it] is not. And what need could have impelled it to grow / Later or
sooner, if it began from nothing? / Thus it must either be completely
or not at all.
(여기에서 'it'은 'what-is'입니다.)
(Gallop의 번역본입니다.)

저는 이 단편 안에 두 개의 논증이 있다고 해석했습니다.

첫 번째 논증:

  1. If what-is came into existence from what-is-not, then what-is was
    once not—that is, it once was that what-is is not;
  2. It is not that what-is is not;
    Therefore,
  3. What-is did not come into existence from what-is-not.

두 번째 논증:

  1. If what-is came into existence from what-is-not, then what-is was
    once not—that is, it once was that what-is is not;
  2. Every event (or change) needs a sufficient reason;
  3. What-is-not contains no sufficient reason to cause something to
    come into existence at one time rather than another, for it simply is
    nothing;
    Therefore,
  4. If what-is was once not, then what-is could not have come into
    existence;
  5. What-is is;
    Therefore,
  6. What-is did not come into existence from what-is-not.

제 해석이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2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