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 철학에서의 임재


안녕하세요, 하이데거 철학에 관심이 있는 한 학생입니다. 최근에 박찬국 교수님의 삶은 왜 짐이 되었는가와 하이데거 읽기를 읽고 있는데요. 여기서 계속 임재臨在라는 단어가 사용되는데 사전에는 없는 단어라 질문 드립니다.

찾아보니 임재라는 단어가 기독교쪽 용어로 에스겔 37:1에서 '여호와께서 권능으로 내게 임재하시고'에서 사용된다고 나오는데요. 여기서 임재하다가 '다가온다'라는 맥락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책에서 사용되는 맥락과 괴리되어 있는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사진은 하이데거 읽기-박찬국 (세창미디어) 18페이지입니다.

2개의 좋아요

(1)

제가 모르는 것일 수도 있지만, 하이데거 철학의 고유한 개념어 중에 임재라 불리는 것은 딱히 없는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한국 하이데거 학회에서 정한 번역어가 거진다 고유어로 되어있기도 하고요. 피투 기투 같은 것이 쓰이는 옛 번역본이라면 모를까, 저자가 굳이 임재 같은 한자어로 번역어를 고를 것 같지는 않네요.)

그래서 전체 맥락을 보고 추측해보면, 실제로 그 신학적 뉘앙스로 임재를 쓰신 것 같습니다. (전체 문장을 보면 철학을 "예술이나 종교와 같이" 라면서 철학을 종교와 동일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그렇습니다.)

다만 여기서는 어떠한 신학이나 기독교적 맥락이라기보단, 기독교에서 (어마어마하고 중요하고 대체 불가능한) 신이 임재하듯, (하이데거) 철학에서는 (마찬가지로중요하고 대체 불가능한) 전체로서의 존재가 임재하는 것이겠죠.

2개의 좋아요

그러면 저 문장의 '존재의 임재"를 존재의 들어남 혹은 존재의 등장과 같이 이해를 하면 괜찮을까요?

(1)

제가 전공자가 아니라서 조심스럽긴한데, 제 기억으로는 "드러남"은 하이데거 철학에서 꽤 특별한 뉘앙스가 있어서 대체할 수 있는지는 조심스럽습니다.

등장은 나쁘진 않긴한데, 그냥 한국어 화자로서 어감이 임재랑 좀 다른거같네요 하핳.

'임재(臨在)'라는 용어가 하이데거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임재'는 영어로는 'presence'이고 독일어로는 'Präsenz'이니, 하이데거가 이런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하이데거의 맥락에서 'Präsenz'는 우리말로 '현전(現在)'이라고 번역됩니다. '현전의 형이상학(Metaphysik der Präsenz)'이라는 표현에서처럼 말이에요.

저 글의 맥락에서 '임재'는 (굳이 하이데거 용어를 사용하자면) 존재가 '탈은폐'되는 사건이나 '개시'되는 사건 정도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 일상적인 표현으로는, (댓글에서 이미 언급하신 것처럼) 존재의 '드러남'도 나쁘지 않을 거예요.

그런데 저는 '임재'가 기독교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용어인 줄은 처음 알았네요. 제가 기독교인이다 보니 워낙 저 용어를 익숙하게 써서 다른 사람들도 일반적으로 쓰는 말인 줄 알았습니다;; 하긴, 생각해 보면, 저 용어가 히브리어로 '쉐키나(שכינה)'라고 하는 다소 특수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긴 하네요. 언약궤나 예루살렘 성전 위에 나타나는 야훼의 '거주함' 혹은 '머무름' 혹은 '함께 함'의 상태가 '쉐키나'이고, 그게 한국어로는 '임재'라고 번역되는 거라서요.

2개의 좋아요

경문사에서 나온 소광희 교수님께서 번역한 <존재와 시간> 서론에서

임재(파루시아) 와 현전은 다르다는 부분이 있기는 했던 것 같습니다.

기억에 의존하는 것이라 집에 가서 살펴봐야겠지만요.

하이데거가 신학에도 눈이 밝아 본인의 존재론이 신학의 임재 개념과 오해될 수 있어 구별했던 기억입니다.

박찬국 교수님의 저 파트는 '개시' 를 말하고 싶어하는 것 같은데, 하이데거의 후기철학은 '존재의 임재'가 느낌적으로 더 와닿기는 합니다.

<자크 데리다를 읽는 시간>의 나카마사 마사키의 말을 빌려 '존재의 임재'가 와닿는 이유를 대체해보고자 합니다.

하이데거의 경우 '사유'가 묻는 것은 '존재 그 자체' 인데, '존재 그 자체'는 파악하지 못하니까, 사유하는자 ≒ 철학자는 겸허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 시기의 하이데거는 일반적으로 '사유(사고)의 경건함'을 중시하게 된 것 같습니다. 형이상학적 전제에 얽매이지 않고, 소박하게 '사고하는'것을 통해서 '존재'에 대해 겸허해지며, '존재'가 보내온 메시지를 솔직하게 받아들이는 자세입니다. 독일어로 '사고하다'는 'denken', '감사하다'는 'danken' 인데, 하이데거는 이 두 가지 뜻을 모두 전하는 "사고한다는 것은 감사한다는 것이다" 라는 문구를 사용합니다. 이것은 하이데거가 처음 말한 것이 아니라, 프로테스탄트 경건파에서 사용했던 문구 같습니다. 그런 '사고의 경건'에 대한 헌신이 본질적으로 '정신'의 해방이라든가 부활에 관련된 문제라고 한다면, 여기에서도 얘기가 크게 달라집니다.

2개의 좋아요

경문사 소광희 교수님 역본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에서, 존재자의 존재의 해석은 "세계" 또는 가장 넓은 의미의 "자연" 에 정향해 있다는 것, 그리고 해석은 실지로 존재의 이해를 "시간"에 입각해서 얻고 있다는 것이 밝혀질 것이다.

이것을 증명하기 위한 외적 증거는 ㅡ그러나 물론 이것뿐이지만 ㅡπαρουσία (파루시아, 임재) 또는 ουσία(우시아, 현재, 진실 존재) 로서의 존재의 의미규정이다.

이건이 존재론적ㅡ존재 시간적으로 "임재성"을 의미한다. (현재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존재자는 그 존재에 있어서 "임재성" 으로 파악된다. 다시 말하면, 존재자는 일정한 시간양상, 즉 "현재"를 고려해야 한다.

(중략)

어떤 것을 순수하게 "현전화 한다"는 존재시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전화 속에서 사유를 향해 자기 자신을 드러내 보이고 그래서 본래적 존재자로서 이해되는 그 존재자는 '현 ㅡ 재' 를 고려해서 해석된다.

다시 말하면, 그 존재자는 '임재성(우시아)'으로서 이해되는 것이다.

(서론, 6.존재론의 역사의 해체라는 과제)

4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