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철학 공부하는 방법을 모르겠는 고등학생입니다

주장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대단합니다. 서강올빼미의 다른 글들을 읽어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철학은 오독의 위험이 높은 학문이라 독학하는 것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철학 공부의 목적이 단순 취미인지, 학업적인 목표인지는 모르겠으나 다음과 같은 조언들을 드릴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1. 철학사는 필수

A를 이해하려면 B를 알아야하고, B를 이해하려면 C를 알아야 하는 학문이 철학입니다. 우선 기본적인 철학사 서적들을 통해 철학의 역사를 짚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 사상가들을 접할수록 그들간의 유기성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게 보이기 시작한다면 철학이 이전보다 무척이나 즐거워지고 더 깊은 단계에서 사유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영어가 가능하시면 다음의 책들을 추천합니다. 제가 중학교때 가장 재미있게 읽은 책 두권입니다.

  1. 바로 원전에 도전하지 말자

물론 재능을 타고나신 분들은 해당되시지 않겠지만, 제가 처음 철학을 접할때 가장 많이 했던 실수입니다. 이해도 안되는 책을 하루종일 잡고있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특히나 입시가 중요한 고등학생이라면요.

저는 중학교 때 이해도 안되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몇달간 붙잡고 있다 결국 백기를 들었습니다. 철학은 특히나 조어와 한자어가 많은 학문이고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이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닐 때가 많거든요. 처음 원전을 읽게 된다면 단어 하나 이해하는데 시간을 많이 쏟을 수 밖에 없습니다. 당장 올빼미에 올라오는 글들 중에서도 많은 질문들이 단어의 쓰임을 물어보는 것이기도 하구요. 이렇기 때문에 저는 해설서를 먼저 접한 뒤, 원전을 읽으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단, 원전을 "사두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습니다. 해설서와 원전을 조금씩 비교해서 보면 이해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질문하고, 검색하자

인류 최강의 발명품, 인터넷을 이용하십시오. 여느 학문이 그렇듯 철학 또한 무척이나 어려운 학문입니다. 이런 저희를 위해 수없이 많은 지식인 분들이 인터넷이라는 보물창고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들을 많이 남겨주셨습니다. 당장 K-MOOC 에만 봐도 철학 강의들이 넘치구요, 모두가 애정하는 전기가오리, 짓다, 그린비 철학강의 등 공부에 도움이 될 자료가 많습니다.

또한, 서강올빼미에 올라오는 철학강좌 공고도 관심있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나 연세대 철학연구소에서 훌륭한 강좌들에 대한 정보가 올라옵니다. 철학에 첫 발걸음을 떼는 시점에서 이보다 더 동기부여가 되는 것이 없습니다. 저는 현강 찬양론자여서(...) 강의실에 있는 것 만큼 즐거운 게 없습니다. '비슷한 관심사로 모인 사람들이 같은 강의를 듣고 이렇게나 다른 생각을 할 수 있구나!'라는 즐거운 경험은 철학에 재미를 붙여주기에 최적입니다.

이렇게 인터넷을 잘 활용하기만 해도 공부하는 것이 풍부해지실 수 있습니다.


짧고 부족하지만, 제가 처음 철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을 때에 알았으면 좋았을 내용들을 담았습니다. 안그래도 외로운 학문을 더 외롭게 공부한 것 같아서요. 작성자분이 걷는 학문의 길은 고독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모쪼록 안온한 밤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5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