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철학 전공 아니라 질문에 대한 좋은 대답을 드리기는 힘들겠지만, 일단 써보기는 합니다.
- 학생이라고 하셨는데, 철학 전공이 아니라고 하시니, 다른 전공을 하시는 대학생이신가요? 아니면, 학부 내지 대학원 진학을 생각 중이신 분이신가요?
-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깊이까지 공부하실 생각이신가요? 진짜 가볍게만 볼 것이라면, 네이버 백과사전만 보셔도 되고, 진짜 깊게 들어갈 것이라면... 더 공부하셔야겠지요.
- 서양철학사를 거의 다 읽어간다고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책을 읽으신 것인지 말씀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가벼운 서양철학사도 있고, 꽤 밀도 있는 서양철학사 책도 있습니다. 책에 따라 참고문헌이나 더 읽어볼 문헌 목록이 있을 수 있으니, 그에 따라 더 공부를 진행하실 수도 있습니다.
-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얘기드리자면, 알라딘에서 나온 [알라딘: [전자책] 철학.책 : 서양철학]에서 로드맵이 제시되어 있기는 합니다. 그 로드맵에 따르면, STEP 1: 『소크라테스의 변론』과 『고르기아스』, STEP 2: 『라케스』, 『에우튀프론』, 『프로타고라스』, STEP 3: 아리스토파네스와 크세노폰의 저서 이런 식으로 진행되더군요. 동녘에서 나온 [알라딘: 세상을 바꾼 철학자들]에서는 소크라테스 파트에서 더 읽을 책으로 플라톤의 대화편을 이야기하면서, 그와 함께 루이-앙드레 도리옹의 『소크라테스』를 "간결하면서 분명하게 설명한 소크라테스 입문서"로 얘기하더군요. 하지만, 이런 것들은 일반적인 가이드인 것뿐이고, 님의 구체적인 관심과는 거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소크라테스가 제시한 삶의 방식으로서의 철학이 후세의 철학에 어떻게 흘러들어가는지가 궁금하시다면, 피에르 아도의 『고대 철학이란 무엇인가』가 좋았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이 님의 관심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 "소크라테스는 저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뭐를 읽으며 공부해야할까요?"에 대하여 단답적으로 대답을 하자면, 저 역시 플라톤의 대화편을 얘기할 것입니다. 하지만 다시 말씀드리지만, 저는 철학 전공이 아니라서 제 대답이 적절치 않은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천려일득의 마음가짐으로나마 혹시 님께 도움이 될지도 몰라 이렇게나마 글을 씁니다. 그러니 제 답변을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시지는 마십시오. 철학 전공하시는 분의 기준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대답을 들으실 수도 있습니다.
- 님과 약간이나마 관련된 질문이 올라온 바 있습니다. 거기에 있는 답변을 보고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원래 이 글은 제가 쓸 만한 글이 아닌 것 같아 삭제하였었으나, 원래 글 쓴 분께서 감사를 표하셔서 부족한 글이나마 다시 복원하였습니다. 제 글 대신에 6.에 있는 글을 참고하시면, 제 글보다 더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