셸링의 초월론적 관념론의 체계

독일철학은 공통적으로 다 어려운 것 같습니다. 헤겔은 모든 걸 논리적으로 풀어내는 쪽인데, 헤겔이 결코 쉘링보다 쉽진 않거든요.

그래도 독일철학이고 제가 헤겔 전공이기 때문에 언급하자면, 헤겔의 순수 존재가 쉘링을 염두에 두고 한 말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쉘링말고도 다른 많은 철학자들이 엮여있겠지요. 스피노자의 무우주론을 푸는 것이 헤겔의 순수존재라는 말도 봤는데, 아직 이해를 못했습니다. 스피노자의 무우주론에 대해서는 여기서 간략하게 논의됐습니다: 진태원, 『스피노자 윤리학 수업』, 제3강 요약):

Being, pure being – without further determination. In its indeterminate immediacy it is equal only to itself and also not unequal with respect to another; it has no difference within it, nor any outwardly. If any determination or content were posited in it as distinct, or if it were posited by this determination or content as distinct from an other, it would thereby fail to hold fast to its purity. It is pure indeterminateness and emptiness. – There is nothing to be intuited in it, if one can speak here of intuiting; or, it is only this pure empty intuiting itself. Just as little is anything to be thought in it, or, it is equally only this empty thinking. Being, the indeterminate immediate is in fact nothing, and neither more nor less than nothing.

이 순수 존재가 곧 말할 수 없는 쉘링의 절대자인 것이죠. 쉘링은 우리가 이 절대자를 음악과 시 등으로 알아야한다고 했지만, 헤겔이 이 절대자 안에서는 아무것도 직관될 것이 없다. 혹은 아무것도 생각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순수 존재 (이 맥락에서는 쉘링의 절대자) 는 무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고 말하는 것으로 읽을 수 있겠습니다. 물론 헤겔 관련 포스팅은 아니었지만, 제가 헤겔을 좋아하기 때문에 언급해봤습니다.

3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