셸링의 초월론적 관념론의 체계

안녕하세요.

기말 과제로 칸트와 셸링이 각각 자연을 인식론 내에서 어떻게 위치시키는지에 관하여 레포트를 작성하려 합니다.

칸트는 그나마 좀 익숙한데, 셸링은 정말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칸트는 '프롤레고메나'에서 서술한 내용을, 셸링은 '초월론적 관념론의 체계'를 참고하려고 하는데요..

셸링이 칸트의 철학에서 문제시 하는 바가 이분법적 구조라면 그것을 어떻게 극복하려고 했고
또한 그 과정에서 자기인식과 자연이 도대체 어떤 관련이 있는지, 간략하게나마 설명 구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칸트와 셸링의 공통점으로는, 셸링 또한 칸트처럼 자아와 물자체를 상정한다는 것(그러나 아마도 곧바로 '대립'이라는 성질로 그것이 곧 동일자라고 증명하는 것이 셸링이지만)을 들 수 있을 것 같은데요, 혹시 이에 대해서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셸링의 철학은 시기에 따라 입장이 크게 변화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기말 레포트에서 각 시기별로 셸링의 관점이 어떻게 구분되는지에 대해 아주 자세한 설명을 요구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 칸트와 달리 셸링의 경우에는 "이것이 셸링의 철학이다."라고 하나로 고정할 수 있는 도식을 제시하기가 어려울 거예요.

다만, "자연은 눈에 보이는 정신이며 정신은 눈에 보이는 자연"이라는 말로 셸링의 자연철학을 요약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헤겔과도 많이 비슷한데, 셸링은 자연이 인간의 정신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는 역동적인 체계라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자연의 이런 자기 인식 과정은 크게 세 가지 계기로 나뉘어집니다. 즉, 자연은 (a) 처음에는 사물들의 체계인 '소산적 자연'으로 드러나고, (b) 그 다음에는 인간적 앎 속에서 표상으로 드러나고, (c) 마지막에는 실재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 사이의 구별이 없는 유기체로서 드러난다는 거죠.

말하자면, 칸트는 '현상'과 '사물 자체'의 구분이 넘어설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한 반면, 셸링은 그 구분이 인간적 앎의 층위에서 나타나는 구분일 뿐이라고 주장합니다. '절대자'로서의 자연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단순한 물체로서의 자연도 절대자의 한 측면일 뿐이고, 인간에게 표상되는 보편적 메커니즘으로서의 자연도 절대자의 한 측면일 뿐입니다. 유기체로서의 자연인 절대자 안에는 애초에 그런 구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물론, 셸링에게 "너는 자연이 그런 절대자라는 걸 무슨 근거로 아는데?"라고 물으면 뭐라고 답할지는 모르겠네요. 실제로, 헤겔이 『정신현상학』의 서설에서 셸링은 지나치게 신비주의적 직관에 의존하여 자기 철학을 전개한다면서 "모든 소가 검게 보이는 밤"이라는 유명한 비판을 하기도 했고요.)

이 내용들은 니콜라이 하르트만이 쓴 『독일 관념론 철학』의 셸링 부분에서 참고한 것입니다. 저도 학부생 시절 독일관념론 수업을 들었을 때 과제로 셸링에 대해 발표를 했는데, 오랜만에 그때의 자료를 뒤져 보았네요.

5개의 좋아요

쉘링에게 절대자란 말로 할 수 없는 무언가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절대자가 무엇인지 말하려는 순간, 우리는 절대자에 도달할 수 없는 것이지요. 그래서 쉘링은 시나 음악같은 걸로만 절대자에게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논리적으로 절대자를 설명하는 헤겔과는 완전 대립하는 것이기 때문에ㅡ,

라고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 쉘링의 System of Transcendental Idealism 초반에 도움될 만한 인용구들을 추가하겠습니다 (설명을 다 하기엔 제가 쉘링을 충분히 모르네요.). 아마 레포트 쓸 때 이 인용구들을 쓰면 교수님이 좋아하실 겁니다. 1차 자료 싫어하는 교수님들은 세상에 없으니깐요.

"All knowledge is founded upon the coincidence of an objective with a subjective. --For we know only what is true; but truth is generally taken to consist in the coincidence of presentations with their objects" (5).

"In knowing as such -- in the fact of my knowing -- objective and subjective are so united that one cannot say which of the two has priority. Here there is no first and second ;both are simultaneous and one" (5).

"Hence there are only two possibilities... Either the objective is made primary ... [or] the subjective is made primary... If all knowledge rests upon the coincidence of these two, then the problem of explaining this coincidence is undoubtedly the supreme problem of all knowledge (5-6).

"If the real world is a thing wholly independent of us, to which our presentation must conform, it is inconceivable how the real world, on the contrary, could conform itself to presentations in us" (11).

"How can we think about both of presentations as conforming to objects, and objects as conforming to presentations? is, not the first, but the highest task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11).

"How both the objectvie world accomodates to presentations in us, and presentations in us to the objective world, is unintelligible unless between the two worlds, the ideal and the real, htere exists a predetermined harmony. But this latter is itself unthinkable unless the activity, whereby the objective world is produced, is at bottom identical with that which expresses itself in volition, and vice versa" (11-12).

"Nature, both as a whole, and in its individual products, will have to appear as a work both conscoiusly engaged, and yet simultaneously a product of the blindest mechanicsm; nature is purposive, without being purposively explicable. The philosophy of natural purposes, or teleology, is thus our point of union between theoretical and practical philosophy" (12).

"But now the system of knowledge can only be regarded as complete if it reverts back into its own principle. Thus the transcendntal philosophy would be completed only if it could demonstrate this identity -- the higehst solution of its whole problem -- in its own principle (namely the self)" (12).

"There is but one such activity, namely the aesthetic, and every work of art can be conceived only as a product of such activity. The ideal world of art and the real world of objects are therefore products of one and the same activity; the concurrence of the two without conscoiusness yields the real, and with consciousness the aesthetic world" (12).

"The objective world is simply the original, as yet unconscious, poetry of the spirit; the universe organon of philosophy -- and the keystone of its entire arch -- is the philosophy of art" (12).

책 정보: https://www.amazon.ca/Transcendental-Idealism-Friedrich-Wilhelm-Schelling/dp/0813914582
pdf는 알아서 구하실 수 있을 거라 믿지만, 필요하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5개의 좋아요

간결히 핵심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로 할 수 없는 것을 말로 설명하려고 하니 더 어려운 걸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ㅠ
인용 잘 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개의 좋아요

독일철학은 공통적으로 다 어려운 것 같습니다. 헤겔은 모든 걸 논리적으로 풀어내는 쪽인데, 헤겔이 결코 쉘링보다 쉽진 않거든요.

그래도 독일철학이고 제가 헤겔 전공이기 때문에 언급하자면, 헤겔의 순수 존재가 쉘링을 염두에 두고 한 말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쉘링말고도 다른 많은 철학자들이 엮여있겠지요. 스피노자의 무우주론을 푸는 것이 헤겔의 순수존재라는 말도 봤는데, 아직 이해를 못했습니다. 스피노자의 무우주론에 대해서는 여기서 간략하게 논의됐습니다: 진태원, 『스피노자 윤리학 수업』, 제3강 요약):

Being, pure being – without further determination. In its indeterminate immediacy it is equal only to itself and also not unequal with respect to another; it has no difference within it, nor any outwardly. If any determination or content were posited in it as distinct, or if it were posited by this determination or content as distinct from an other, it would thereby fail to hold fast to its purity. It is pure indeterminateness and emptiness. – There is nothing to be intuited in it, if one can speak here of intuiting; or, it is only this pure empty intuiting itself. Just as little is anything to be thought in it, or, it is equally only this empty thinking. Being, the indeterminate immediate is in fact nothing, and neither more nor less than nothing.

이 순수 존재가 곧 말할 수 없는 쉘링의 절대자인 것이죠. 쉘링은 우리가 이 절대자를 음악과 시 등으로 알아야한다고 했지만, 헤겔이 이 절대자 안에서는 아무것도 직관될 것이 없다. 혹은 아무것도 생각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순수 존재 (이 맥락에서는 쉘링의 절대자) 는 무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고 말하는 것으로 읽을 수 있겠습니다. 물론 헤겔 관련 포스팅은 아니었지만, 제가 헤겔을 좋아하기 때문에 언급해봤습니다.

3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