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모든 증거들이 하나의 결론을 가리키고 있다고 말한다. 비트겐슈타인이 『논고』를 썼을 때, 그는 다이아몬드와 그녀의 동료들이 거부한 바로 그 관점을 실제로 받아들였다고 말이다. "말로 옮겨질 수 없는 것들이 실제로 존재한다. 그것들은 자기 자신을 현시한다. 그것들은 신비적인 것들이다."(『논고』 6.522) 그것들은 말해질 수 없거나, 더 정확히 말해, 생각될 수 없다. (생각 역시 "일종의 언어"이기 때문이다.) […] 그가 이러한 입장의 얼토당토 않음을 마침내 자각하였을 때, 그의 반응은, 그 자신이 유지하길 원하였고 때로 재해석하기 원하였던 『논고』의 철학적 통찰을 버리기보다는, 사다리의 은유를 버리는 것이었다고 보인다.
I suggest that all the evidence points to the conclusion that when he wrote the Tractatus, Wittgenstein did indeed embrace the very view Diamond and her colleagues reject. ‘There are, indeed, things that cannot be put into words. They make themselves manifest. They are what is mystical’ (Tractatus 6.522). They cannot be said or indeed thought (for thought too ‘is a kind of language’) […] [I]t seems that when he did finally realize the untenability of this position, his reaction was to jettison the ladder metaphor, rather than to jettison the philosophical insights of the Tractatus that he wished to preserve and sometimes to reinterpret. (Hacker, P. M. S., “Was He Trying to Whistle It?”, The New Wittgenstein, A. Crary and R. Read(ed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0, 381-382.)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비트겐슈타인의 명언 중 하나가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인 것 같습니다. 우리의 삶에서 정말 중요한 윤리적이고 종교적인 것들은 '말할 수 없는 것'들이고, 이런 것들은 언어의 한계 바깥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신비적인 것'들이라는 주장이죠. 우리는 윤리적이고 종교적인 것들이 자신을 현시한다는 사실을 자각할 수는 있지만, 이것들에 대해 우리의 언어로 말할 수는 없다는 거예요. 단지,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어떻게든 말해 보려고 몸부림을 칠 수 있을 뿐이라는 거죠.
그런데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해커의) 표준적인 해석은 이런 '말할 수 없는 것'들 혹은 '형언할 수 없는 것'들이 비트겐슈타인의 전기철학 이후에는 폐기된다고 지적하죠. 비트겐슈타인이 『논고』의 논리적 통사론 개념에서 문제를 발견하게 되면서, 『탐구』에서는 더 이상 '말할 수 있는 것'과 '말할 수 없는 것'이라는 이분법을 엄격하게 유지하지 않게 되거든요. 물론, 비트겐슈타인은 무의미한 명제들을 치유하려는 『논고』의 철학적 통찰을 『탐구』에서도 유지하지만, 그러한 치유가 굳이 '말할 수 없는 것' 따위를 상정하지 않고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게된 거죠.
2000년대에 유행한 (다이아몬드의) 소위 '단호한 해석'도 '말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부정적이에요. 이 해석은 비트겐슈타인의 전기철학조차 '말할 수 없는 것'들을 전혀 상정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거든요. 오히려 『논고』는 『탐구』처럼 '말할 수 없는 것'이라는 개념을 비판하기 위해 모든 논의들을 전개하였을 뿐, 결코 '말할 수 없는 것' 따위를 옹호한 적은 없다고 이야기하죠. 쉽게 말해, 비트겐슈타인은 '말할 수 없는 것'에 도달하기 위한 사다리가 있는 것처럼 꾸며 놓은 다음에, 『논고』 마지막에 이르러 그 사다리를 걷어차 버리는 방식으로 '말할 수 없는 것'이란 사실 존재하지 않는고 폭로했다는 거죠.
개인적으로, 저는 단순히 주석적으로만 보자면 표준적 해석이 옳다고 평가합니다. 비트겐슈타인의 전기철학은 '말할 수 없는 것'을 상정하였지만, 후기철학은 '말할 수 없는 것'을 포기하였다고 생각해요. 적어도 비트겐슈타인의 텍스트 내부에서만큼은 '말할 수 없는 것'이라는 개념이 초기에는 옹호되다가 후기에는 폐기된다고 보는 거죠.
그렇지만 저는 비트겐슈타인의 후기철학을 받아들이면서도 여전히 우리 삶에는 존재하는 '말할 수 없는 것'들을 옹호할 수 있다는 생각을 요즘 자주 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때 '말할 수 없는 것'이란 언어의 한계 바깥에 있는 신비적인 무엇인가라고 할 수는 없겠죠. 오히려 우리가 일상에서 너무나 자주 직면하게 되는 "아무리 말로 상대방을 이해시켜 보려고 해도 그게 잘 되지 않는다."라는 한탄에서 '말할 수 없는 것'을 발견할 가능성이 있다고 봐요.
가령, (a) '말해도 소용 없는 것'들이 말할 수 없는 것들의 목록 속에 들어갈 수 있겠죠. 정치나 종교에 대한 논쟁에서 서로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관점들은 말로 바꿀 수 있는 것들이 아니잖아요. 이런 근본적인 관점들은 정말, 상대방에게 현시할 수는 있더라도, 그것들을 현시하는 일이 (적어도) '논쟁'이라는 언어게임에서는 아무런 효력을 발휘하지는 못하죠. 오히려 말을 꺼내는 게 괜히 갈등만 불러 일으키다 보니, 굳이 말을 하지 않게 되면서 말할 수 없는 것들이 되죠.
또, (b) '말해도 알 수 없는 것'들이 말할 수 없는 것들의 목록에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해요. 가령,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너무 자잘한 짜증이나 분노나 슬픔 따위가 그렇겠죠. 물론, 우리는 그 모든 것들을 하나하나 상대방에게 하소연할 수도 있겠지만, 그런 하소연이 우리가 원하는 동정이나 공감과 같은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데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죠. 한 마디로, 언어게임에서 그 하소연들이 굉장히 무의미한 일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결국 그런 말들은 말할 수 없는 것들로 남게 되는 거죠.
그 이외에도, (c) '말하지 않아도 아는 것'들도 말할 수 없는 것들의 목록에 들어갈 수 있다고 봐요. 가령, 상대방에 대한 사랑, 존경, 감사가 여기에 포함되겠네요. 이 말들은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들에 대한 반복이 될 뿐이잖아요. 말을 한다고 해도 뭔가 시원하지가 않은 기분이 들고, 진지함을 담으려 하면 할수록 그 말의 무게가 무거워져서 말하기를 망설이게 될 때가 많죠. 그래서 말할 수 없는 것들이 되어버리고요.
그렇지만 저는 이런 '말해도 소용 없는 것', '말해도 알 수 없는 것', '말하지 않아도 아는 것'이야말로 우리 인생에서 대단히 중요한 것들이라고 생각해요. 일상의 맥락에서 이런 것들을 말할 수 없다는 이유만으로, 이런 것들이 순전히 무의미하게만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오히려 너무나 중요한 것들이기 때문에 역설적이게도 일상의 맥락에서 이것들에 대해 말을 꺼내기가 쉽지 않죠. 말을 꺼내려면, 아무도 굳이 문제 삼지 않던 '일상'이라는 맥락 자체를 완전히 무너뜨리고 갱신시켜야 하니까요. 요즘, 이런 '말할 수 없는 것'들이 우리 삶에는 너무나 많다는 생각을 하면서 지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