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이상학적 ‘속성’의 제약에 대하여 의문이 있습니다

형이상학에서 어떤 대상의 속성에 대하여 논할 때, 한 대상에 귀속될 수 있는 속성에 제약이 없는 것은 아닌가라는 의문이 듭니다.

특히 제 의문은, 사실상 한 대상에 귀속되는 속성은 셀 수 없이 많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것에 있습니다.

가령, 어떤 S가 임의의 지점을 가르키며 ”저기 빨간 사과가 보인다.“라고 했을 때 ‘그 사과’에 귀속되는 속성이 여럿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그 사과’는 빨강임, 과일 종임, 300g임 etc.

그런데 이런 속성 귀속을 점차 확장시키다 보면, 무제약적으로 한 대상에 과도한 속성들이 붙을 수 있어보입니다.

가령, ‘그 사과’는 에든버러 과수원에서 수확됨, 농부 스미스가 가장 아끼는 사과임, 맨체스터 비료 공장에 제조된 비료로 성장함…과 같이 끝없이 이어지는 기술적 속성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점은 ‘그 사과’가 가지는 속성의 적절한 관계 제약이 없다면 너무나 많은 속성이 개입하는 것 같습니다.

또 다른 예로, 양상적 속성 등도 고려된다면, ‘그 사과’는 340g일 수도 있었음, 초록색이었을 수도 있었음, 런던 과수원에서 수확되었을 수도 있었음 etc.도 가능할 것이고, 단순한 부정적 속성(노란색이 아님, 보라색이 아님, 검은색이 아님 etc.)도 끝없이 늘어 놓을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한 대상이 가질 수 있는 속성은 셀 수 없이 많을 것 같습니다(이것이 한 대상의 속성이 무한하다는 것을 함축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제 개인적 차원에서 이러한 귀결은 반직관적인 것 같습니다. 물론, 어떤 형이상학 제약들은 작동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로, 빨강색이라는 속성을 가짐, 빨강색이라는 속성을 가짐을 가짐으로 이어지는 귀속은 무한연쇄를 막기 위해 토톨로지로 간주하고 중단시킬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도 한편으로는 정말로 위와 같은 귀속을 막는 실질적 제약이 존재하는가 라는 의문이 있습니다. 어쩌면 오컴의 면도날과 같은 검약성 원리를 적용할 수도 있겠지만, 보통 형이상학에서의 검약성이란 형이상학 체계의 ‘아름다움’을 위해 도입된다는 것(제가 오해하지 않았길 바랍니다)을 고려해본다면, 사실적 제약이라기보단 규범적 제약에 가까워보입니다. 즉, 속성에 대한 형이상학적 제약이 규범적인 것이라면 한 대상이 x라는 속성을 가짐을 가짐으로 이어지는 연쇄를 중단하는 것은 임의적인 것처럼 느껴집니다.

질문이 길었습니다만은, 정리하자면 제 의문은 과연 형이상학적 속성의 귀속에 있어 실질적인 제약 조건이 있는가? 입니다.

1개의 좋아요

(1)

한 대상이 무한한 속성을 가질 수 있다는 귀결이 왜 반 직관적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모순되는 속성을 동시에 가지지 않는한, 무한한 속성을 가진다는게 문제가 될까요?

질문을 바꾸자면, 무한한 속성을 가진다치면, 설명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나요?

그런 사례를 들어주시지 않는다면, 전 쉽게 질문자님의 직관을 수용하긴 어려울듯합니다.

(2)

또한 속성을 여러 가지로 구분하면 어느정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까요?
말하신 것처럼 지금 무한하게 늘어나는 속성들은 (a) 양상적 속성 혹은 (b) 다른 대상과의 연관성 속에서 발생하는 관계적 속성 (혹은 속성이 아닌 다른 카테고리인 관계)인듯합니다.

그렇다면 이 둘은 무한한듯해도 사실 무한하지 않겠죠. 관계적 속성이라면 모든 대상들과 관계가 되면 어찌되었든 끝나니 (적어도 한도끝도 없다는) 무한이라 하긴 어렵지 않을까요? (즉 집합으로 치면 나열법으로는 어려울지라도 조건제시법의 형태로는 제약이 생긴다는 의미입니다.)
양상적 속성도 가능세계의 한계가 존재하니 비슷하게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개의 좋아요

친절한 답문 감사드립니다.

(1)의 말씀을 곰곰이 생각해보니 은연중에 제가 아래와 같은 생각을 기저에 두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1. 실재적 대상의 속성은 유한하다.
  2. (만약 있다면) 신과 같은 절대적 대상의 속성은 무한하다. [아마도 신의 정의에 의해서 따라 나올 것 같습니다.]
  3. 그렇다면 ‘그 사과’와 같은 실재적 대상이 무한한 속성을 갖는 것은 반직관적이다.

즉, 제가 속성의 귀속 대상이 신과 같은 것이 아니라면, 절대적 대상과의 구별을 위해 속성이 유한할 것이라고 가정했었던 듯합니다.

SEP Properties 항목의 "The Sparse and the Abundant Conceptions" 절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plato.stanford.edu/entries/properties/#SparAbunConc

3개의 좋아요

감사합니다! 자세히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