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마스, 로티, 그리고 그 이후: 하버마스-로티 논쟁이란?(3)

2023년 11월 21일, 서강올빼미
하버마스, 로티, 그리고 그 이후: 하버마스-로티 논쟁이란?(3)

00:00-29:55 논문에 대한 발제
29:56-1:00:12 질의응답 및 토론

발제

윤유석(YOUN)

논문

위르겐 하버마스, 「진리와 정당화: 리처드 로티의 화용론적 전회에 대하여」, 『진리와 정당화』, 윤형식 옮김, 나남출판, 2008, 제5장.

5개의 좋아요

제 발제 차례는 아니었지만, 간략히 논문에 대해 써 둔 것이 있어서 여기에도 올립니다


  1. 플라톤적 동인에서 나온 반 플라톤주의자

로티의 철학은 모든 철학을 청산하려 기획한다. 그 기획은 동인은 언어학적 전회를 실용주의적으로 끝까지 밀어붙이고자 하는 계몽된 분석철학자의 자기비판이 아닌, 형이상학적 멜랑콜리이다. 그는 ‘논변을 통해 논증될 수 있는 철학적 진리가 존재하고 그것을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라는 보편적 기본 가정 –전통적 인식론- 을 고수하는 모든 플라톤주의자들에 대항하여 반 플라톤주의를 전개하는 듯해 보인다.

로티가 겪고 있는 상황을 묘사하면 다음과 같다. 그가 보기에 분석철학 또한 그 스스로가 무가치한 것으로 평가절하한 ‘아직도 발견될 수 있는 철학적 진리가 존재한다’라는 확신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진실되게 반플라톤주의적이려면 분석철학과도 결별해야 하고, “분석철학과의 결별이 가치를 상실한 형이상학으로 되돌아가는 것일 수는 없다. 그런 까닭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가능성은 철학 전체와의 결별을 극적으로 과장하는 것뿐이다. 결별행위 자체가 충격을 불러일으켜서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경우에만, 바로 ‘철학이 추락하는 순간에’ 철학 자체에 단순히 학술적인 수준을 넘어서는 중요성이 주어질 수 있다(292).” 그런데 문제는, “분석철학적 방법을 가지고 수행한 분석철학과의 결별이 무엇을 통하여 … 중요성을 획득”할 수 있냐는 말이다(292). 로티는 이에 대해 답해야 하고, 답하고 있다. 특히, 논증(überzeugen)과 설득(überreden)를 철저히 구분하는 플라톤주의에 대항해 그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것을 입증해야만 한다.

  1. 화용론적 전회

로티가 추구하는 화용론적 전회, 그것은 우리에게 반드시 인식에 대한 반실재론적 이해를 강요하는가? 이것이 주요한 물음이다.

(1) 주체철학은 하이데거와 비트겐슈타인 등을 통해 꾸준히 비판받아 왔다. 비판의 요지는 크게 세 가지 –소여의 신화, 표상적 사유의 신화, 진리가 확실성이라는 신화 –이다. 순서대로 그것들은 “우리는 다른 무엇보다도 우리의 심리적 상태를 더 잘 안다”, “인식은 본질적으로 대상을 표상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판단의 진리성은 확실성을 보장한는 명증성에 의거한다”를 의미한다(296). 이 비판은 ‘정신주의 비판’이라고도 칭할 수 있는데, 로티는 정신주의 비판을 언어적 전회 이후의 철학에도 적용한다. “주체-객체 관계를 단순히 명제-사실 관계로 전이시키는 한, 의미론적 답변들은 정신주의적 문제제기에 사로 잡혀 있”기 때문이다(296). 그래서 로티는 ‘주-객’의 구조를 갖는 이항적 관계를 삼항적 관계로 대체하면서, “객관세계는 더 이상 모사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단지 어떤 것에 대해 서로 의사소통하는 의사소통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상호이해과정의 공동의 준거점”으로 이해하길 요구한다(297).

(2) 지금까지가 로티 철학의 발단 과정에 대한 요약이다. 그런데 로티는 언어학적 전회의 화용론적 혁신을 올바른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는가? 어쨌든, 로티의 이론을 요약하여 말하자면, 그것은 ①인식론적 문제제기를 언어의 의사소통적 사용과 연결하고, ⓶세계 존재자들을 이해하는 독립된 접근통로가 없다고 말한다. 그 결과, ‘지식’은 이제 각각의 공동체의 잣대에 따라 각자에게 ‘합리적인’것이다. “‘우리의 사회적인 정당화 실천관행 속에서 그러한 실천관행 이상의 것을 보고자’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298).” 이렇게 지식을 맥락 속에서 파악하는 ‘맥락주의적 이해’는 “가능한 모든 사회적 실천형식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는 … 메타적 실천의 가능성”도 거부하길 요구한다(299). 하지만 로티는 하버마스 나 자신을 맥락주의적 이해에 반하는 사람으로 지목한다.

출처: 하버마스, 2008: 287- 299.

4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