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가] 마흔 살이 되어서 처음으로 봉급 받는 직장을 하나 갖게 되었는데, 대학 교수가 아니고, 그 도시 도서관의 부사서였습니다. 하도 [칸트의] 주변 사람들이 안타까워서, 그 자리를 칸트에게 주었다고 해요.
그리고 마흔 여섯 살이 되어서 비로소 교수가 되었는데, 예전에 제가 그 사람의 전기를 읽으면서 '이건 아주 특이하다.'하고 생각한 것이… 이 사람이 마흔 살에 비로소 봉급을 받았는데, 연봉 62 탈러라고 합니다. 연봉 62 탈러라고 하면, 세 끼를 먹을까 말까 할 정도의 봉급입니다. 그런데 그때 이 사람이 봉급을 받아서 맨 먼저 한 것이 자기 집에 도우미를 한 사람 쓴 겁니다. 이 사람이 봉급을 받자마자 한 게 도우미를 하나 구한 거였단 말이에요.
왜 그랬겠어요? '이제 정말 공부 좀 전념해 보겠다!' 저는 그렇게밖에 이해가 안 돼요. 이 사람이 남자 도우미인데, 죽을 때까지 40년을 [칸트와] 같이 있었습니다.
가끔 제가 그런 말을 하는데, 칸트가 최초의 프로 철학자입니다. 칸트가 처음으로 철학을 생계 수단으로 삼으면서 철학을 한 사람입니다. 엄밀한 의미에서 최초의 프로 철학자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시작이 마흔 여섯입니다. 그리고 그 당시 평균 연령이 마흔 여섯이었을 거예요. 그러니까 뭐, 평균만큼 살았으면 전혀 꽃을 못 피우고 말았겠죠.
10개의 좋아요
이번에도 영상 속 칸트는 칸트가 아니라 야코비네요 ㅋㅋ
일주일 전 즈음에 열린 칸트 학회에서도 칸트 대신 야코비가 현수막에 걸렸습니다
12개의 좋아요
지금 보니 정말 영상 썸네일이 야코비네요! 게다가, 칸트학회에서까지 야코비 그림을 걸 정도면, 이제 그냥 저 인물을 '칸트'라고 부르기로 하죠;;;
6개의 좋아요
괴델-슈미트 사례를 뛰어넘는 칸트-야코비 사례가 나왔군요
5개의 좋아요
ㅋㅋㅋㅋㅋ 비슷하게 게티어-드레츠케-티벳 승려 사례가 있는데요… 다음 중 게티어는 (주로 사진이 사용되는 2, 3이 아닌) 1번 인물입니다. 종종 퍼트남의 사진이 사용되기도 하는게 뻘하게 웃겨요. 데일리 누스에서도 부고에 2를 띄워서 망신살을 맞기도 했고요....
(2는 어떤 티벳 승려인데 이름을 잊었습니다. 3은 드레츠케.)
6개의 좋아요
헉 저도 지금까지 2번으로 알고 있었는데 1번이셨다니 충격이네요 ㅋㅋㅋㅋㅋ
1개의 좋아요
야코비가 핸섬했나 보군요. 바람둥이 같기도 하고 배우 같기도 하네요. 작고하신 남기호 선생님의 야코비 연구서가 곧 출간될 거라고 합니다.
7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