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레이슨, 『하버마스 입문』, 「근대성 이론」

하버마스의 사회이론은 근대적인 사회적 삶의 형식을 진단 및 비판하는 이론이고, 그의 논증대화윤리 또한 근대 도덕을 정당화하고 해명하는 윤리이다. 하버마스 사상에서 근대(modernity; 근대성)은 아주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다.

하버마스의 근대성에 관한 이론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 서구 사회의 역사적 발전사, 특히 기독교 전통에서 세속 도덕이 출현하는 과정을 논하는 부분과 둘째, 사회 발전의 논리인 사회진화론을 재구성하는 부분이 그것이다.

  • 역사적 해명

(1) 근대화와 가치 영역의 분화

근대화란 여러 관련된 발전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그 발전의 중심에는 이성과 자연과학의 권위의 상승이다. 이로부터 기술적으로 유용한 지식이 폭발적으로 늘어나 생활 세계의 세 가지 가치 영역(과학-기술적, 도덕-법적, 미학-표현적)이 분리됐다. 그리고 이러한 분화와 함께 각 영역의 지식은 일상생활이라는 정박지에서 자연스레 떨어져 나갔다.

(2) 근대라는 미완의 기획

하버마스는 근대를 통해 역사적 시기가 아닌 하나의 기획을 칭하곤 한다. 그 기획이란 앞서 말한 분화된 전문 지식을 생활세계 및 공동 이익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하버마스는 이 기획이 아직 완수되지 않았고, 또 완수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근대라는 기획을 꼭 완수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근대 기획이 다루는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으며, 또 진행 중인 근대화 과정을 중단하거나 되돌리려는 시도는 헛된 시도이며 여타 대안으로 제시된 것들(매킨타이어, 하이데거, 포스트모던 등)이 나쁜 선택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버마스는 다른 현대 사상가들과 달리 근대에 대한 호의를 여전히 갖고 있으며, 근대가 이룩한 성과를 결코 희생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한다.

(3) 세속 도덕의 출현

하버마스는 근대화 과정에서 사람들은 전통적 역할과 가치에서 해방되고 행위 조정과 사회질서 창출을 위해 의사소통과 논증대화에 더욱 의존하게 된다고 말한다. 그리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논증대화의 결과로 나오는 공유된 의미와 이해, 그것이 바로 근대를 의미한다. 핵심은 근대는 타당성 주장에 대한 상호 간의 인정에서 나왔으므로 그 규범성의 근거를 스스로에게 두고 있으며 합리적이라는 점이다.

논증대화의 이러한 특성은 윤리 논의로 이어진다. 하버마스는 근대 도덕의 출현을 밝히며 그것이 전통의 것과 어떻게 다른지 설명한다. 전통은 좋은 삶과 올바른 행위에 대한 객관적 기준 혹은 답을 제시한다. 하지만 근대에 이르러 도덕은 명령이 아닌 원리와 타당의 규범의 체계로 변모했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보편화 가능성을 핵심으로 하는 칸트의 철학이다. 하지만 근대가 미완의 기획이라고 생각하는 하버마스가 보기에 칸트의 도덕철학은 불충분하다. 그것이 비록 전통의 틀에서 벗어났으나, 도덕적 추론을 독백적 절차로 생각한 탓에 그것이 함유한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성질을 놓쳐버렸다는 점이 하버마스의 칸트 비판의 핵심이다. 따라서 근대라는 기획을 더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도덕을 집합적이고 대화적인 합의 도달 과정으로 여기는 논증대화윤리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에 이른다. <각자가 모순 없이 일반적 법칙으로 의욕할 수 있는 바에서 모든 사람이 보편적 규범으로 합의할 수 있는 바로 강조점이 이동한다 (MCCA, 67)>

  • 사회진화론

하버마스의 사회진화론은 개인의 발달 과정과 사회의 발전 과정의 유비 관계에 기반하여 사회 세계가 특정 방향으로 진보한다는 목적론적 발상을 비판하고자 등장했다. 개인의 도덕의식이 전관습적-관습적-탈관습적 수준으로 발달하므로, 사회 또한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며 그 끝에 논증대화가 있다는 것이 하버마스 주장의 핵심이다.

하지만 방법론의 한계로 인해 하버마스는 많은 비판에 직면했다. 그가 기반하는 유비 관계를 잘 설명할 근거가 있지도 않을뿐더러 그 끝에 논증대화가 있다는 주장 또한 받아들일만한 좋은 이유가 없었다. 이 때문에 그는 자신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논의 대부분을 거두었다.


출처: 핀레이슨 2022, pp. 106-123. 필요를 못 느껴서 영역본 참고 안함.

5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