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해석 질문이 있습니다

Western metaphysics has long championed the rational, autonomous, sovereign subject as the ideal of human consciousness and freedom. And this particular metaphysics of subjectivity has always been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Christian theology, even as the Enlightenment declared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the modern West. That is, even in what Charles Taylor has called the “secular age,”5 the very logic of that secularism is embedded in a Christian metaphysical claim about human subjectivity. Immanuel Kant is a good example of this logic: at stake in Kant’s metaphysical project is the possibility of human freedom. This freedom is constituted not only in the capacity of exercising one’s reason, but also in the will to do so. It is the possibility of this volitional capacity that human beings are thus ethical subjects; because without this matter of will, there would only be the laws of nature. For Kant, human freedom must be conceptualized as separate from the natural world; it is this dualistic metaphysics that could explain the possibility of moral agency. Here we can see that Kant’s ethics is also a theological ethics—a vision of human freedom that also offers a theodicy, a metaphysical system that could explain good and evil. If we thus situate the Enlightenment project in the broader history of Western metaphysics, we can understand that there were Christian theological stakes—in both religious and secular discourses—in the call to become awakened to human freedom.
Hannah Amaris Roh, Christianity, the Sovereign Subject, and Ethnic Nationalism in Colonial Korea (p.3)

서구 형이상학은 오랫동안 이성적, 자주적, 주권적 주체를 인간 의식과 자유의 이상적인 것으로서 옹호해왔다. 그리고 이 특정한 주체의 형이상학은 근대 서구에서의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선언했다. 즉, 찰스테일러가 "세속의 시대"라고 부른 것에서조차, 세속주의의 바로 그 논리가 인간 주체성에 관한 기독교 형이상학의 **주장(claim)**에 삽입되어 있다. 칸트는 이러한 논리의 좋은 예인데, 칸트의 형이상학적 기획에 인간 자유의 가능성이 걸려 있기 때문이다. 이때 자유는 이성의 행사하는 능력으로 구성되는 것일뿐만 아니라, 그렇게 할 의지에 의해서도 그러한 것이다. 따라서 인간이 윤리적 주체라는 것은 이러한 의지적 능력의 가능성이다. 의지적인 것이 없다면, 자연법칙만이 남을 것이기 때문이다. 칸트에게 있어서, 인간 자유는 자연 세계와 분리된 것으로서 개념화되어야 한다. 도덕적 행위의 가능성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이원적인 형이상학인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칸트의 윤리학이 신학적 윤리학이기도 한 것을 볼 수 있다. 변신론을 제공하기도 하는 인간 자유의 비전은, 선과 악을 설명할 수 있는 형이상학적 시스템인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계몽이라는 기획을 더 넓은 서구형이상학사에 위치시킨다면, 인간 자유에 대해서 눈을 뜨라는 요청에는 --종교적 언설과 세속의 언설 모두에-- 우리는 거기에 기도교 신학적인 연관(stakes)이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 줄이 해석이 잘 안 돼서 질문 드립니다. in the call to와 stake를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까요?

1개의 좋아요

stake는 연관이 있다는 뜻이고, in the call 도 요청이 맞는 해석으로 생각됩니다. 세속주의 주제들이 기독교의 영향이 있었다는 주장을 한다고 읽힙니다. 칸트는 그런 주장을 강화하기 위한 사례로 언급을 했고요.

앗, 올려 놓고 잊고 있었네요.

감사 인사가 늦었습니다

코멘트 대단히 감사합니다 hdelphi 선생님!

저는 이렇게 번역할 거 같습니다.

"우리는 인간의 자유에 대해 각성하라는 요구에 -종교적 논의와 세속의 논의 모두에서 - 기독교 신학적 이해관계가 있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