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르트르와 비트겐슈타인의 "가능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ㅎㅎ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와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논고』를 읽다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먼저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의 '보편적인 모랄은 있을 수 없다' 내용 중 한 부분입니다.
"절망으로 말하면 이 표현의 뜻은 극히 단순하다. 그 표현은 우리가 우리의 의지에 좌우되는 것에만 기대를 가질 뿐이라는 것, 우리의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능성 전부에 기대를 가질 뿐이라는 것, 우리의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능성 전부에 기대를 가질 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이 그 무엇을 원할 때에 거기에는 늘 가능의 요소가 개재한다. 나는 어떤 친구가 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논리철학논고』의 2.012~2.0124 부분인데요!
2.012 논리에서는 아무 것도 우연적이지 않다: 사물이 사태 속에 나타날 수 있다면, 그 사태의 가능성은 사물 속에 이미 선결되어 있어야 한다.
2.0121 만일 그 자체로 홀로 존립할 수 있을 터인 어떤 하나의 사물에 어떤 하나의 상황이 나중에 가서 들어맞게 된다면, 그건 말하자면 우연으로 보일 것이다.
사물들이 사태들 속에 나타날 수 있다면, 이 점은 이미 그 사물들 속에 놓여 있어야 한다.
(논리적인 어떤 것은 단지-가능한-것일 수 없다. 논리는 모든 가능성 각각을 다루며, 모든 가능성들은 논리의 사실들이다.)
우리가 공간적 대상들을 결코 공간 바깥에서, 시간적 대상들을 시간 바깥에서 생각할 수 없듯이, 우리는 어떠한 대상도 그것과 다른 대상들과의 결합 가능성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다.
만일 내가 대상을 사태라는 연합 속에서 생각할 수 있다면, 나는 그것을 이러한 연합의 가능성 바깥에서 생각할 수 없다.
2.0122 사물은 그것이 모든 가능한 상황들 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한 자립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립의 형식은 사태와의 연관 방식, 즉 비자립의 형식이다. (낱말들이 서로 다른 두 방식으로-단독으로, 그리고 명제 속에서-등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2.0123 만일 내가 대상을 안다면, 나는 그것이 사태들 속에서 나타날 가능성들도 전부 안다.
(이러한 가능성 각각은 모두 대상의 본성 속에 놓여 있어야 한다.)
나중에 가서 새로운 가능성이 발견될 수는 없다.
2.01231 어떤 하나의 대상을 알기 위해 내가 그 대상의 외적 속성들을 반드시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나는 그 대상의 내적 속성들은 모두 알아야 한다.
2.0124 모든 대상들이 주어진다면, 그와 더불어 모든 가능한 사태들도 또한 주어진다.


<질문>

  1. 위의 두 내용을 읽으며 공통적으로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가 있는 것 같다고 느꼈는데요. 사르트르가 비트겐슈타인의 가능성에 대한 내용에 영향을 받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1-2. 제가 잘못 짚은 것이 아니고, 실제로 사르트르가 비트겐슈타인에게 영향을 받은 것이라면 어떤 영향을 받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1-3. 만약 제가 잘못 이해해서 두 내용이 비슷하다고 느낀 거라면, 위의 사르트르와 비트겐슈타인의 가능성 이야기에서 어떤 점이 다른 것인지 궁금합니다!
  2.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그런 가능성이(?) 사르트르의 실천적인? 그런 측면의 가능성(?)으로 이어져서 실존주의까지 왔을 수도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비트겐슈타인과 사르트르에 대해 거의 모르고 있기도 하고,
서치 능력이 아직 많이 부족해서 찾아보았는데도 잘 모르겠더라고요ㅠㅠ
아는 게 거의 없어서 이런 질문밖에 하지 못함에 죄송한 마음을 전합니다..

3개의 좋아요

1. 비트겐슈타인과 사르트르 사이에는 실제적 영향 관계가 없습니다. 두 철학자는 각각 분석철학과 현상학이라는 크게 상이한 철학사적 조류에 속해 있으며, 그 당시에 두 흐름 사이에는 이렇다할 교류가 없었습니다. (이에 따라 1-2에 대한 답변은 생략합니다.)

1-3. 2번 질문에서 지적하셨듯이, 비트겐슈타인의 가능성은 논리적 규칙들과 관련되어 정의되는 논리적 가능성이고, 사르트르의 가능성 개념은 (적어도 여기서의 피상적 문맥으로 봤을 때) 주체가 처한 행위를 조건 지우는 일존의 실존적 내지 실천적 가능성입니다. 나아가 전자는 개변되거나 변화할 수 없는 항구불변한 것인 반면, 후자는 실존하는 주체의 태도나 결단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것입니다.

(덧붙이자면, 확인해보니 인용하신 국역본에서 "가능성"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단어들이 원문에서 "possibilité"가 아니라 "probabilité"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우리말로 "가능성"보다는 "개연성"에 더 가까워 보입니다. 물론 저 "개연성"이 인용하신 부분 이후에 나오는 "가능성"에 관한 이야기와 연관되기 때문에 두 단어가 이 맥락에서는 엄청나게 이질적인 것 같지는 않습니다.)

2. 『논리철학논고』는 실존하는 주체의 결단에 대한 별다른 설명이나 이론을 내놓지 않으며,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는 논리적 법칙과 세계의 한계의 이론적 관련성에 대해 말하지 않습니다. 만일 양자를 굳이 연관 지워야 한다면, 『논고』의 후반부에서 드러나는 말할 수 없는 것, 윤리적인 것, 심미적인 것 등의 영역을 비트겐슈타인이 중요하게 여겼다는 점에서 출발하는 것이 괜찮아 보입니다. 예컨대 스티븐 툴민과 앨런 재닉의 『비트겐슈타인과 세기말 빈』(석기용 역, 필로소픽, 2013)은 비트겐슈타인이 당대 오스트리아에서 유행했던 쇼펜하우어, 키에르케고어의 철학이나 톨스토이의 소설 등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음을 지적하며 『논고』를 일종의 윤리적인 관점에서 독해하려고 합니다. 그럼에도 앞서 이야기되었듯, 두 철학자의 비교는 둘 사이에 영향 관계가 없다는 점을 염두에 둔 채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

Ps. 현상학과 분석철학이라는 상이한 두 조류를 연관 지워 해명하고 평가하는 저작으로는 대표적으로 박이문, 『현상학과 분석철학』(지와사랑, 2007)이 있습니다.

9개의 좋아요

우와...!!!
정성 가득하고 유익한 답변에
정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ㅠㅠ

제 무지로 비롯된 얕은 질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탁월하고 놀라운 답변을 주시다니..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실존주의와 논리실증주의가
다른 궤의 철학이라는 것을 잘 알지 못했던 것 같네요ㅠ

깨우쳐 주시고 가르쳐 주심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추천해 주신 책도 꼭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heart::heart::heart: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