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업 관련 도서 추천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갑작스레 흥미가 생겨서 프랑크푸르트 학파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싶은데요
관련한 도서를 무작정 읽기 보다는 입문서를 추천받아 읽어보려고 합니다.

혹시 학자별로 잘 정리된 국내 텍스트가 있을까요?

6개의 좋아요

'테제들' 시리즈를 추천드립니다. 이 책뿐만 아니라 시리즈의 다른 책들도 상당히 좋습니다. 분야별 전문가 분들이 각 철학자들의 입장을 간결하고 정확하게 잘 정리해 두셨습니다.

6개의 좋아요

위의 책과 더불어, 2권을 더 추천해 드립니다.

  1. 우선 마틴 제이(Martin Jay)가 쓴 『변증법적 상상력: 프랑크푸르트학파와 사회연구소의 역사, 1923~1950』(1973)을 추천합니다. 분량이 오백 쪽이 넘어서 입문서 치곤 양이 많긴 하지만,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탄생과 전개 과정을 충실하게 서술한, 교과서와 같은 책입니다. 하버마스가 활동한 1960년대 이후의 역사를 담고 있지 못한 점이 아쉽긴 하지만, 아마 그 내용까지 담게 되면 분량이 천 쪽을 훌쩍 넘길 겁니다. '문화산업'에 대한 설명은 제6장 「비판 이론의 미학 이론과 대중문화 비판」에 나옵니다.
  • 여담을 덧붙이자면, 이 책은 1979년에 시인 황지우(본명 황재우)와 다른 2명의 공역으로 국내에 처음 소개되었는데, 당시에 번역서들이 대게 그러했듯, 판권 구입 없이 간행되었습니다. 그래서 마틴 제이가 자신의 웹사이트에 자기 책이 외국어로 얼마나 많이 번역되어 있는지를 소개하면서, '한국어판은 해적판'(Pirated Korean editions)이란 문구를 집어 넣기도 했습니다(찾아보니 아직도 이 문구가 있네요). 어쨌든 판권을 정식으로 구입한, 노명우 교수의 새 번역본이 2021년에 나와서 뒤늦게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1. 게르하르트 슈베펜호이저(Gerhard Schweppenhäuser)의 『아도르노, 사유의 모티브들』(1996)도 추천합니다. 호르크하이머, 마르쿠제와 함께 프랑크푸르트학파 1세대를 대표하는 아도르노의 철학을 주제 별로 나눠 소개한 개론서입니다. 책의 내용엔 슈베펜호이저 자신의 관점과 해석이 상당히 강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문화산업에 관한 내용은 제8장 「문화의 실패」에 실려 있습니다. 슈베펜호이저는 (국내엔 번역되어 있지 않은) 『아우슈비츠 이후의 윤리학: 아도르노의 부정적 도덕철학』(Ethik nach Auschwitz: Adornos negative Moralphilosophie, 1993)을 쓴 유명한 아도르노 연구자이기도 합니다.
6개의 좋아요

두 분이 좋은 책을 추천해주셨네요.
두 분은 비판 이론을 전공한 자가 쓰거나 옮긴 책을 추천해주셨는데, 다른 관점에서서 저는 글 제목에 있는 문화산업(사회미학) 쪽 분이 쓴 책을 추천합니다.
요책 6장과 7장이 베버, 짐멜, 벤야민, 아도르노, 하버마스 등등 프랑크푸르트 관련된 양반들 사회미학을 다룹니다.

4개의 좋아요

아무래도 이 책이 가장 유명한 것 같더라구요. 거의 대부분 다 이 책을 추천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크... 고민고민하다가 여기 물어보기 잘했다는 생각이 드는 답변입니다 ㅜㅜ 너무 감사합니다!

1개의 좋아요

너무 감사합니다! 꼭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ㅜㅜ 벌써 흥미롭네요

1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삶과 죽음 - 21세기 비판이론
스튜어트 제프리스 (지은이), 강수영 (옮긴이) 인간사랑 2019-05-10 원제: Grand Hotel Abyss (2016년)

--
원서를 대조해서 읽고 다 읽은 뒤 영문 리뷰를 서 너개 찾아 읽기를 권합니다.

2
이곳에서 아도르노 로 검색하면 어떻게 아도르노에 입문하는 것이 좋은가에 해당하는 제 댓글이 나옵니다.

3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문화산업론은 국역되어 있지만 추천할 만한 수준으로 국역되어 있지는 않은 <계몽의 변증법>의 한 장인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문화산업: 대중기만으로서의 계몽'과 아도르노가 1967년에 쓴 '문화산업 재고'로 대표됩니다. 관심이 깊다면 언젠가 최근 영역본을 국역본과 대조하는 방식으로라도 읽어야겠죠. '문화산업 재고'는 아직 국역되어 있지 않은 듯 합니다.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은 오해되기 쉽고 그래서 비판되기도 쉽습니다. 다음 글은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의 상당히 훌륭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Against popular culture (Owen Hulatt)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이 받은 비판 중 가장 미학적으로 정교한 것은 저명한 미국 철학자인 노엘 캐롤 Noël Carroll 이 A Philosophy of Mass Art (Clarendon Press: Oxford, 1998) 의 1장에서 한 비판입니다. 물론 캐롤의 비판도 얼마든지 비판될 수 있습니다.

아드로노의 문화산업론은 Social Text, No. 1. (Winter, 1979), pp. 130-148 에 처음 발표되었고 추천할 만한 수준으로는 아니지만 국역되어 있는 Signatures of the Visible, (London: Routledge, 1992) 의 1장에 수록되어 있는 프레드릭 제임슨 Fredric Jameson 의 "Refication and Utopia in Mass Culture" 에 제시된 대중예술론으로 보완되어야 합니다.

5개의 좋아요

캬 서강올빼미의 순기능... 다시한번 느끼네요! 선한 조력자들 모두모두 감사합니다!

2개의 좋아요